"부수입이 월급 추월"
"힘은 들지만…스스로 택한
'저녁 없는 삶' 후회 없죠"
직장인 사이에 ‘1인 1직업’이라는 개념이 점점 약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투잡을 통해 새로운 적성을 찾거나 부업으로 벌어들이는 수입이 월급보다 많아지면서 퇴사를 고민하는 사람도 있다. 최근에는 여러 직업을 가진 사람을 가리키는 ‘N잡러’라는 신조어도 등장했다. 저녁이 있는 삶을 포기하고 부업에 뛰어든 김과장 이대리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육아휴직자 김대리도 부업 전선으로
통신업체에 다니는 박 과장(38)은 틈틈이 중국어 번역 일을 하는 N잡러다. 번역 일거리가 들어오면 퇴근 이후나 주말에 짬을 내 일한다. 아직 일감이 많지 않아 수입은 월 30만~40만원 정도에 불과하다. 박 과장은 “대학생 때 중국어를 전공했는데 직장에선 딱히 써먹을 일이 없다”며 “단순히 돈을 더 벌기 위해서라기보단 커리어를 확장할 수 있어 번역 의뢰가 들어오면 거절하지 않고 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부업으로 번 돈으로 평소 갖고 싶었던 비싼 물건을 사거나 해외 여행을 가는 ‘욜로(자신의 행복을 추구)’형 투잡족도 있다. 디자인 회사에 다니는 웹디자이너 안 과장(35)은 주말이면 재택 근무를 하는 프리랜서로 변신한다. 휴일을 반납하고 번 돈으로 지난겨울 그는 호화 북유럽 여행을 다녀왔다. 1박에 100만원 가까이 하는 이글루 호텔에서 숙박하고 개가 끄는 썰매 타기 등 건당 수십만원에 달하는 관광 상품도 즐겼다. “주말에 일하는 게 좋을 리 없죠. 하지만 나중에 원하는 걸 할 수 있는 경제적 보상이 있어 만족해요.”
육아휴직 중인 김과장 이대리들도 투잡에 뛰어들고 있다. 공유 승차 플랫폼인 ‘타다’의 운전기사로 일하고 있는 유통회사 김 과장(34) 얘기다. 타다 기사는 파견 기사(월급제)와 프리랜서 기사(시급제)로 나뉜다. 프리랜서 기사는 근무 시간이 고정적이지 않아 법적으로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김 과장처럼 직장에 다니는 사람도 프리랜서 기사로 일할 수 있다. 그는 “심야에 7시간 일하면 11만원 정도 번다”며 “연극배우, 일용직 근로자 등 다양한 직군이 기사로 투잡을 뛰고 있다”고 전했다.
퇴사 고민하는 투잡족
출판 회사에 다니는 유모씨(33)는 최근 대학생 때부터 꿈꿔 온 소설가가 됐다. 문예지 공모전이나 언론사 신춘문예 등 전통적인 방식으로 등단한 것은 아니다. 그는 6개월 전부터 온라인을 통해 웹소설을 연재하고 있다. 매일 퇴근 후 세 시간을 소설을 쓰는 데 투자했다. 1주일에 두 번 ‘웹소설 전문 사이트’에 소설을 올렸다.
웹사이트에서 유씨의 소설은 큰 인기를 끌었다. 무료로 제공되던 소설은 유료로 전환됐다. 그 덕분에 고료 500만원을 벌었다. 단행본 출간 제안도 받았다. “작가님 소설 너무 재미있어요” “다음 작품은 언제 또 나오나요” 등 독자들의 반응이 뜨거웠다. 유씨는 “필명을 따로 쓰기 때문에 내가 평범한 직장인이라는 것을 아무도 모를 것”이라며 “취미로 시작했지만 앞으로는 ‘제2의 직업’이라고 생각하고 소설을 쓸 생각”이라고 말했다.
중견기업에 다니는 김 대리(37)는 회사 밖에서는 김 작가로 불린다. 퇴근 후 틈틈이 쓰던 웹툰 원고가 한 플랫폼에 연재되면서다. 김 대리가 시나리오를 써 그림 작가에게 보내면 웹툰 한 편이 완성된다. 매주 연재하기 위해 퇴근 이후는 물론 휴일에도 시나리오 작업에 매달리고 있다. 휴식이 부족해 그만두고 싶었던 적도 많았지만 매주 자신의 글이 웹툰으로 바뀌어 완성될 때마다 보람을 느낀다고 그는 강조한다.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작가로서 입지를 다진 뒤에 퇴사하고 전업 작가로 일하는 게 목표입니다.”
창업에 뛰어든 투잡족도 있다. 에너지 회사에 다니는 김모씨(28)는 2주째 저녁 없는 삶을 살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시작하면서다. 창업 계기는 인스타그램이었다. 그는 종종 옷을 차려입은 사진을 인스타그램에 올렸는데 팔로어가 5000명이 넘을 정도로 적지 않은 관심을 받았다. 자연스럽게 옷을 파는 데 눈을 돌리게 됐다.
그의 쇼핑몰은 1인 기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인스타그램으로 상품을 홍보하고 포장과 배송은 직접 한다. 하루 평균 20건의 판매 실적을 올리고 있다. 김씨는 “쇼핑 사업으로 버는 돈이 월급과 비슷하다”며 “쇼핑몰이 잘 돼 규모나 수익이 커지면 지금 다니는 회사를 그만둘 생각도 있다”고 귀띔했다.
본업 못지않은 부업 스트레스
투잡을 뛰면서 본업 못지않게 스트레스를 받는 일도 적지 않다. 디자인 회사에서 일하는 유모씨(31)는 지난달 ‘진상 고객’을 만났다. 그는 부업으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이나 대학교 동아리 등에 로고를 만들어주는 일을 하고 있다. 그런데 한 스타트업 고객이 로고 디자인의 사소한 것까지 트집을 잡으며 ‘무한 수정’을 요청했다. 하룻밤에 로고를 열 번 이상 고치다 보니 다음날 회사에 출근해선 하루 종일 비몽사몽일 수밖에 없었다.
유씨는 앱(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일감을 구하는데 “무료로 무한 수정해 드립니다”는 홍보 문구를 넣은 게 화근이었다. 그는 “겨우 5만원 더 벌려고 하다가 본업에까지 지장을 받았다”며 “돈 버는 게 쉽지 않다는 것을 다시 한번 체감했다”고 했다.
유통회사에서 근무하는 김모씨(33)는 지난해부터 주말마다 결혼 사진 촬영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취미로 친척이나 친구들의 결혼 사진을 찍어 인스타그램에 올리면서 촬영 의뢰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여자친구와 함께 여행도 하고 돈도 벌 겸 지방에도 결혼 사진을 촬영하러 간다.
수익은 거리와 의뢰인에 따라 다르지만 회사에서 받는 월급의 절반 수준이다.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결혼 사진을 찍어준 커플은 약 80쌍에 달한다. 김씨는 “결혼 성수기인 요즘은 이미 받아놓은 예약 때문에 토·일 이틀 내내 쉬지도 못하고 촬영에 매달리고 있다”며 “회사 일 때문이 아니라 부업 때문에 주중 휴가를 써야 할 것 같다”고 토로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