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휴가지원사업에 뿔난 여행업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선우 레저스포츠산업부 기자 seonwoo.lee@hankyung.com
정부의 ‘근로자 휴가지원사업’에 대한 여행·레저업계의 반응이 차갑다. 지난해 모집인원의 다섯 배가 넘는 지원자가 몰린 데 이어 올해 11만 명이 지원해 흥행 대박을 터뜨렸다는 정부의 자체 평가와는 온도차가 크다.
이 사업은 근로자가 20만원을 적립하면 정부와 기업이 10만원씩을 더 내 한 명당 40만원의 휴가비를 조성해주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근로복지 사업이다. 2014년 한 차례 시범 운영을 거쳐 지난해 근로자 2만 명에게 정부 예산 20억원을 지원했다.
공돈 20만원이 생기니 참여 근로자의 평가가 후한 건 당연하다. 98%가 재참여 의사를 밝혔다. ‘직장 내에 건전한 휴가분위기 조성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87%에 달했다. 문체부는 이 사업의 소비촉진 효과가 예산 대비 아홉 배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돈 20억원을 썼더니 근로자들이 180억원을 더 썼다는 계산이다. 올해 정부 예산은 1년 만에 네 배 늘어 80억원으로 커졌다.
문제는 여행·레저업계다. “돈이 다 특정 분야로만 흘러간다”는 게 이들의 하소연이다. 근로자가 돈을 주로 호텔·리조트·펜션 등 숙박에만 쓰기 때문이다. 지난해 휴가지원사업 전용몰에서 거래된 80억원 중 92%가 숙박 부문에 집중됐다.
여행경비에서 숙박비 비중은 높은 편이다. 그렇다고 해도 쏠림의 정도가 지나치다는 지적이다. 40여 곳의 전용몰 입점 업체 중 숙박 관련 업체 10여 곳을 뺀 여행사, 렌터카 등 나머지 30여 개 업체 사이에서 “우린 들러리”라는 냉소가 나오는 이유다.
시행 2년째이니 완전할 수는 없다. 소외 업체들 역시 매력적인 상품을 내놨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하지만 이들이 이 사업은 물론 국내 여행산업을 지탱하는 중요한 주체라는 점에서 숙박편중 현상을 ‘소비자 선택의 문제’로만 볼 일은 아니다.
소외 업종이 사업에서 등을 돌릴 경우가 문제다. 근로자들의 만족도는 물론 사업 근간 자체가 흔들릴 수 있어서다.
프랑스는 연간 300만 명이 넘는 근로자가 ‘체크바캉스’라는 근로자 휴가지원 제도를 애용하고 있다. 한국 정부가 롤모델로 삼은 제도다. 이 제도의 성공 배경에는 2만여 개에 이르는 여행·레저업체의 적극적인 호응과 참여가 있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길 바란다.
이 사업은 근로자가 20만원을 적립하면 정부와 기업이 10만원씩을 더 내 한 명당 40만원의 휴가비를 조성해주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근로복지 사업이다. 2014년 한 차례 시범 운영을 거쳐 지난해 근로자 2만 명에게 정부 예산 20억원을 지원했다.
공돈 20만원이 생기니 참여 근로자의 평가가 후한 건 당연하다. 98%가 재참여 의사를 밝혔다. ‘직장 내에 건전한 휴가분위기 조성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87%에 달했다. 문체부는 이 사업의 소비촉진 효과가 예산 대비 아홉 배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돈 20억원을 썼더니 근로자들이 180억원을 더 썼다는 계산이다. 올해 정부 예산은 1년 만에 네 배 늘어 80억원으로 커졌다.
문제는 여행·레저업계다. “돈이 다 특정 분야로만 흘러간다”는 게 이들의 하소연이다. 근로자가 돈을 주로 호텔·리조트·펜션 등 숙박에만 쓰기 때문이다. 지난해 휴가지원사업 전용몰에서 거래된 80억원 중 92%가 숙박 부문에 집중됐다.
여행경비에서 숙박비 비중은 높은 편이다. 그렇다고 해도 쏠림의 정도가 지나치다는 지적이다. 40여 곳의 전용몰 입점 업체 중 숙박 관련 업체 10여 곳을 뺀 여행사, 렌터카 등 나머지 30여 개 업체 사이에서 “우린 들러리”라는 냉소가 나오는 이유다.
시행 2년째이니 완전할 수는 없다. 소외 업체들 역시 매력적인 상품을 내놨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하지만 이들이 이 사업은 물론 국내 여행산업을 지탱하는 중요한 주체라는 점에서 숙박편중 현상을 ‘소비자 선택의 문제’로만 볼 일은 아니다.
소외 업종이 사업에서 등을 돌릴 경우가 문제다. 근로자들의 만족도는 물론 사업 근간 자체가 흔들릴 수 있어서다.
프랑스는 연간 300만 명이 넘는 근로자가 ‘체크바캉스’라는 근로자 휴가지원 제도를 애용하고 있다. 한국 정부가 롤모델로 삼은 제도다. 이 제도의 성공 배경에는 2만여 개에 이르는 여행·레저업체의 적극적인 호응과 참여가 있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