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결국 금리인하 가능성 시사한 이주열…"상황 변화에 적절히 대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은 창립 69주년 기념사
이주열 총재 "통화정책,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
이주열 총재 "통화정책,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결국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미중 무역분쟁과 반도체 경기 급랭 여파에 국내 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이후 경기가 추가로 악화되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한 발 물러선 것이다.
이 총재는 12일 한은 창립 69주년 기념사에서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최근 미중 무역분쟁, 반도체 경기 등 대외 요인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진 만큼 그 전개추이와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는 단기간 내 금리 인하를 고려하겠다는 입장은 아니지만 상황 변화에 따라 금리 인하를 검토할 수 있음을 시사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가 그동안 꾸준히 "기준금리 인하로 대응할 상황은 아직 아니다"며 선을 그은 상황에서 나온 발언이어서 이목을 끈다. 5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로부터 12일 만의 입장 변화인 셈이다.
이 총재의 발언으로 금융시장에서 커지고 있는 연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한층 힘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 총재의 발언에 대해 "통화 완화적 기조 가능성을 좀 진전해 말한 것 아닌가 이해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이 총재는 안정적인 성장세가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운용하겠다는 통화정책 기조는 재확인했다.
또한 대내외 여건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별 정책운용 전략을 수립해 적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을 직원들에게 주문했다. 가계부채, 자본유출입 등 금융안정 리스크 요인도 함께 고려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가계부채에 대해 이 총재는 최근 "증가세가 다소 둔화됐지만 총량 수준이 매우 높고 위험요인이 남아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경계감을 아직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
미중 무역분쟁은 한층 심화되고 있고, 반도체 경기 역시 회복세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그 여파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잠정치는 직전 분기 대비 0.4% 역(逆)성장하며 성장률이 10년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4월 경상수지는 7년 만에 적자로 전환했다.
이에 다음달 18일 열리는 한은의 7월 금통위와 수정 경제 전망에 금융시장의 이목이 쏠린다. 올해 2.5%로 제시한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창립기념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두 가지 우리 경제의 큰 영향을 주는 대외 요인인 미중 무역분쟁과 반도체 경기가 우리 예상보다는 어려운 쪽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고 언급해 이 같은 관측에 힘을 실었다.
이 총재는 "미중 무역분쟁이 점점 우리 경제를 어렵게 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반도체 경기도 상반기가 다 지나갔는데, 당초 예상보다는 회복 시기가 지연될 수 있을 것 같다고 걱정한다"고 말했다.
또한 금융시장에서는 5월 금통위에서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나온 상황에서 이 총재의 발언과 함께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채권시장에서는 이미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한 상황이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줄곧 기준금리(연 1.75%)를 하회하고 있다. 이달 들어서는 만기 10년 이상 장기 국채 금리도 기준금리 밑으로 떨어졌다.
금융시장에서는 정책변화가 단행되는 시점은 3분기보다는 4분기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치고 있다. 4분기 금통위는 10월17일과 11월29일이다.
한편, 이 총재는 정책당국에 "경제의 성장을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들이 상존하고 있는 만큼 성장잠재력 제고를 위해 구조개혁에도 힘써야 할 것"이라고 이라고 제언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이 총재는 12일 한은 창립 69주년 기념사에서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최근 미중 무역분쟁, 반도체 경기 등 대외 요인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진 만큼 그 전개추이와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는 단기간 내 금리 인하를 고려하겠다는 입장은 아니지만 상황 변화에 따라 금리 인하를 검토할 수 있음을 시사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가 그동안 꾸준히 "기준금리 인하로 대응할 상황은 아직 아니다"며 선을 그은 상황에서 나온 발언이어서 이목을 끈다. 5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로부터 12일 만의 입장 변화인 셈이다.
이 총재의 발언으로 금융시장에서 커지고 있는 연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한층 힘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 총재의 발언에 대해 "통화 완화적 기조 가능성을 좀 진전해 말한 것 아닌가 이해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이 총재는 안정적인 성장세가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운용하겠다는 통화정책 기조는 재확인했다.
또한 대내외 여건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별 정책운용 전략을 수립해 적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을 직원들에게 주문했다. 가계부채, 자본유출입 등 금융안정 리스크 요인도 함께 고려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가계부채에 대해 이 총재는 최근 "증가세가 다소 둔화됐지만 총량 수준이 매우 높고 위험요인이 남아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경계감을 아직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
미중 무역분쟁은 한층 심화되고 있고, 반도체 경기 역시 회복세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그 여파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잠정치는 직전 분기 대비 0.4% 역(逆)성장하며 성장률이 10년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4월 경상수지는 7년 만에 적자로 전환했다.
이에 다음달 18일 열리는 한은의 7월 금통위와 수정 경제 전망에 금융시장의 이목이 쏠린다. 올해 2.5%로 제시한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창립기념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두 가지 우리 경제의 큰 영향을 주는 대외 요인인 미중 무역분쟁과 반도체 경기가 우리 예상보다는 어려운 쪽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고 언급해 이 같은 관측에 힘을 실었다.
이 총재는 "미중 무역분쟁이 점점 우리 경제를 어렵게 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반도체 경기도 상반기가 다 지나갔는데, 당초 예상보다는 회복 시기가 지연될 수 있을 것 같다고 걱정한다"고 말했다.
또한 금융시장에서는 5월 금통위에서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나온 상황에서 이 총재의 발언과 함께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채권시장에서는 이미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한 상황이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줄곧 기준금리(연 1.75%)를 하회하고 있다. 이달 들어서는 만기 10년 이상 장기 국채 금리도 기준금리 밑으로 떨어졌다.
금융시장에서는 정책변화가 단행되는 시점은 3분기보다는 4분기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치고 있다. 4분기 금통위는 10월17일과 11월29일이다.
한편, 이 총재는 정책당국에 "경제의 성장을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들이 상존하고 있는 만큼 성장잠재력 제고를 위해 구조개혁에도 힘써야 할 것"이라고 이라고 제언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