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인식으로 출입국 심사…정부, AI 등 3대 플랫폼 경제에 10조 투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수소 등 ‘플랫폼 경제’에 2023년까지 1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올해부터 1조5000억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는 등 선제적인 정부 투자로 신산업을 키우고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구상이다.
12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플랫폼 경제 추진성과 및 향후 확산 방안’을 확정했다. 정부는 먼저 2022년까지 80억원을 들여 AI 안면인식을 통해 출입국자를 식별하는 첨단 출입국 심사시스템을 개발해 인천공항에 시범 도입하기로 했다. 2026년까지 409억원을 들여 소득이나 재산 등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복지 시스템도 개발한다. 시스템이 도입되면 출산이나 실직 등 신상변동이 발생한 국민은 수급 가능한 복지서비스를 자동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홍 부총리는 “8월 중 플랫폼 산업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구체적인 프로젝트안을 추가로 발표할 예정”이라며 “데이터 거래 시스템 구축, 핵심인재 육성 등의 방안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정부는 수산식품·생활용품·화장품·의약품·패션의류 등 5대 소비재 수출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반도체 등 기존 ‘수출 효자’ 품목 수출이 줄어드는 가운데 소비재 수출을 늘려 활로를 찾으려는 시도다. 홍 부총리는 “지난해 277억달러였던 5대 소비재 수출액을 2022년까지 350 달러로 끌어올리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5대 유망소비재에 대한 수출보험 우대지원 규모를 2018년 4조8000억원에서 올해 8조원 수준으로 확대하는 등 소비재 수출 금융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홍 부총리는 “소비재 수출기업의 인증·통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무역협회에 ‘해외인증 지원 데스크’를 설치할 것”이라며 “각 도시 도심에 소비재 제조·수출 거점을 구축해 지역 대표 브랜드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12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플랫폼 경제 추진성과 및 향후 확산 방안’을 확정했다. 정부는 먼저 2022년까지 80억원을 들여 AI 안면인식을 통해 출입국자를 식별하는 첨단 출입국 심사시스템을 개발해 인천공항에 시범 도입하기로 했다. 2026년까지 409억원을 들여 소득이나 재산 등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복지 시스템도 개발한다. 시스템이 도입되면 출산이나 실직 등 신상변동이 발생한 국민은 수급 가능한 복지서비스를 자동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홍 부총리는 “8월 중 플랫폼 산업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구체적인 프로젝트안을 추가로 발표할 예정”이라며 “데이터 거래 시스템 구축, 핵심인재 육성 등의 방안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정부는 수산식품·생활용품·화장품·의약품·패션의류 등 5대 소비재 수출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반도체 등 기존 ‘수출 효자’ 품목 수출이 줄어드는 가운데 소비재 수출을 늘려 활로를 찾으려는 시도다. 홍 부총리는 “지난해 277억달러였던 5대 소비재 수출액을 2022년까지 350 달러로 끌어올리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5대 유망소비재에 대한 수출보험 우대지원 규모를 2018년 4조8000억원에서 올해 8조원 수준으로 확대하는 등 소비재 수출 금융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홍 부총리는 “소비재 수출기업의 인증·통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무역협회에 ‘해외인증 지원 데스크’를 설치할 것”이라며 “각 도시 도심에 소비재 제조·수출 거점을 구축해 지역 대표 브랜드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