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에 친서…김정은, 대화로 방향 트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차 회담 협상 재개?
미사일 도발 한달만에 태도 전환
"다시 외교 집중하려는 신호"
미사일 도발 한달만에 태도 전환
"다시 외교 집중하려는 신호"
북한은 지난달 9일 두 번째 단거리 미사일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당시 대다수 북한 전문가는 북한이 도발의 강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했다. 미·북 싱가포르 1차 정상회담 1주년인 지난 6월 12일 전후로 핵실험을 재개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왔다. 하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뜻밖의 선택을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10일 친서를 전달한 것이다. 북한은 앞서 미국과 두 번의 정상회담을 하기 직전에도 백악관에 친서를 보냈다. 미·북 ‘핵담판 시계’가 다시 돌아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정은 친서’가 공개된 건 1월 19일 이후 142일 만이다. 공식적으로 밝혀진 친서로는 여덟 번째다.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친서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평가는 상당히 후했다. “김정은으로부터 아름다운 친서를 받았다”고 밝힌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개인적이고, 따뜻하며 멋진 친서였다”고 말했다.
2월 하노이 2차 미·북 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이 보여온 도발적인 행보를 감안하면 다소 이례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북한은 지난달 4일에 이어 9일 잇달아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다.
미국은 북한 선박 압류로 대응했다. 미 법무부는 9일 유엔 국제 제재 위반 혐의로 인도네시아에 억류됐던 북한 선박을 압류해 영해로 이송 중이라고 발표했다. 제재 위반 북한 선박에 대한 첫 번째 압류 조치였다. 북한은 21일 김성 유엔대사가 기자회견을 자청, 압류 선박을 돌려달라고 주장하는 등 미·북 갈등은 갈수록 고조되는 상황이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친서 전달을 북한이 다시 외교에 집중하려는 신호라고 해석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 대북 ‘매파’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김정은에게 지속적으로 ‘러브콜’을 보낸 데 대한 화답이라는 것이다.
미·북 정상 간 유화적인 메시지 교환에도 불구하고, 당장 3차 미·북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볼턴 보좌관은 11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주최한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에게 경제적 미래의 비전을 제시했고 (협상의) 문을 열어뒀다”면서도 “그들이 해야 하는 건 핵무기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영변핵시설 폐기+알파’를 제안할 수 있느냐가 핵협상 재개를 위한 핵심이라고 입을 모은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노이 2차 정상회담에서 북한 내 5개 핵시설을 지목하며 “김정은이 그중 1~2개만 없애길 원해 ‘내가 다른 3개는 어떻게 할 거냐’고 물었다”고 공개한 바 있다. 한 외교 소식통은 “북한이 미국과의 기싸움을 위해 올해 연말까지 새로운 계산법을 가져오라고 요구했지만 강력한 대북제재가 효과를 발휘하면서 다시 외교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몰린 것 같다”고 말했다.
박동휘 기자/워싱턴=주용석 특파원 donghuip@hankyung.com
‘김정은 친서’가 공개된 건 1월 19일 이후 142일 만이다. 공식적으로 밝혀진 친서로는 여덟 번째다.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친서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평가는 상당히 후했다. “김정은으로부터 아름다운 친서를 받았다”고 밝힌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개인적이고, 따뜻하며 멋진 친서였다”고 말했다.
2월 하노이 2차 미·북 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이 보여온 도발적인 행보를 감안하면 다소 이례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북한은 지난달 4일에 이어 9일 잇달아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다.
미국은 북한 선박 압류로 대응했다. 미 법무부는 9일 유엔 국제 제재 위반 혐의로 인도네시아에 억류됐던 북한 선박을 압류해 영해로 이송 중이라고 발표했다. 제재 위반 북한 선박에 대한 첫 번째 압류 조치였다. 북한은 21일 김성 유엔대사가 기자회견을 자청, 압류 선박을 돌려달라고 주장하는 등 미·북 갈등은 갈수록 고조되는 상황이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친서 전달을 북한이 다시 외교에 집중하려는 신호라고 해석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 대북 ‘매파’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김정은에게 지속적으로 ‘러브콜’을 보낸 데 대한 화답이라는 것이다.
미·북 정상 간 유화적인 메시지 교환에도 불구하고, 당장 3차 미·북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볼턴 보좌관은 11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주최한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에게 경제적 미래의 비전을 제시했고 (협상의) 문을 열어뒀다”면서도 “그들이 해야 하는 건 핵무기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영변핵시설 폐기+알파’를 제안할 수 있느냐가 핵협상 재개를 위한 핵심이라고 입을 모은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노이 2차 정상회담에서 북한 내 5개 핵시설을 지목하며 “김정은이 그중 1~2개만 없애길 원해 ‘내가 다른 3개는 어떻게 할 거냐’고 물었다”고 공개한 바 있다. 한 외교 소식통은 “북한이 미국과의 기싸움을 위해 올해 연말까지 새로운 계산법을 가져오라고 요구했지만 강력한 대북제재가 효과를 발휘하면서 다시 외교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몰린 것 같다”고 말했다.
박동휘 기자/워싱턴=주용석 특파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