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회담 1주년에 오슬로대학 기조연설
"필요한건 선언 아닌 신뢰…대화의지 더욱 확고히 해야"
"'국민 위한 평화' 중요…접경지 피해부터 해결해야"
"한반도 평화정착은 동북아 협력 기회"


문재인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2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대화가 교착상태이지만 그것은 서로를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며 "지난 70년 적대해왔던 마음을 녹여내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노르웨이가 단 한 번도 평화를 위한 여정을 멈추지 않고 오늘의 평화를 이룬 것처럼 한국 정부 또한 평화를 위해 뚜벅뚜벅 걸어갈 것"이라며 "반드시 평화를 이룰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르웨이를 국빈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이날 오슬로대학 법대 대강당에서 열린 오슬로포럼에 참석, '국민을 위한 평화'라는 제목의 기조연설을 통해 "마침 오늘은 1차 북미 정상회담 1주년을 맞는 날"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른바 '오슬로 구상'으로 불리는 이번 연설은 작년 6·12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 지 꼭 1년이 되는 날 나왔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작지 않다.

특히 하노이 담판 결렬 이후 대화 교착 상황에 숨통을 트이게 할 모멘텀을 가져올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1년 전 오늘, 역사상 최초로 북미 정상이 싱가포르에서 손을 맞잡았고 두 정상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새로운 북미관계, 한반도 평화체제의 큰 원칙에 합의했고 그 합의는 진행 중"이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담대한 의지와 지도력이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새로운 비전이나 선언이 아니다"라며 "서로에 대한 이해·신뢰를 깊이 하는 것이고 이를 토대로 대화 의지를 더욱 확고히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언급은 북미 간 대화가 난항을 거듭하고 있지만 서로 간 신뢰를 쌓는 과정에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최근 김 위원장의 대미 친서 외교와 김여정 북한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의 고(故) 이희호 여사 조의 전달 등과 맞물려 남북·북미 간 대화 재개가 머지않았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언급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2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에도 북미 정상은 여전히 상대에 대한 신뢰와 대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며 "국제사회는 대화를 통한 평화실현에 한결같은 지지를 보내주고 있고 지금 상황을 이겨내는 데 큰 힘이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평화란 힘으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 오직 이해에 의해서만 성취될 수 있다'는 아인슈타인의 통찰이 모두에게 새겨지길 간절히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국민의 힘으로 평화를 만들어 온 노르웨이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지혜를 배운다"며 "일상을 바꾸는 적극적 평화(가 그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주민들이 분단으로 인해 겪는 구조적 폭력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게 중요하다"며 "저는 이것을 '국민을 위한 평화'로 부르고 싶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접경지역 피해부터 우선 해결돼야 한다"며 "1972년 '동서독 기본조약'에 따라 설치된 접경위원회는 협력의 좋은 사례로, 동서독은 접경지역에서 화재·홍수·산사태·전염병·병충해·수자원 오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접경위원회를 통해 신속하게 공동 대처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런 선례가 한반도에도 적용돼 국민 사이에 평화에 대한 구체적 희망이 자라길 바란다"며 "평화가 내 삶을 나아지게 하는 좋은 것이라는 긍정적 생각이 모일 때 이념·사상으로 나뉜 마음의 분단도 치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실상 비무장지대(DMZ) 등 접경지 관리를 위한 남북 간 기구를 제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남북 또는 남측 단독으로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와 비무장지대 평화의 길 조성과 같은 접경지의 평화지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문 대통령은 또 "서로 등 돌리며 살아도 평화로울 수 있지만 진정한 평화는 서로 도움 되는 평화"라며 "남북은 국경을 맞대고 있을 뿐 아니라 함께 살아야 할 생명공동체로, 함께 한 역사는 5천 년이고 헤어진 역사는 70년"이라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이웃 국가의 분쟁과 갈등 해결에 기여하는 평화여야 한다"며 "오늘날 전 세계에서 냉전이 종식됐지만, 한반도에는 여전히 냉전 구도가 자리 잡고 있다. 남북은 분단돼 있고 북한은 미국·일본과 수교를 맺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특히 "항구적인 한반도 평화정착은 동북아에 마지막으로 남은 냉전 구도의 완전한 해체를 의미하며, 역사와 이념으로 오랜 갈등을 겪어 온 동북아 국가들에 미래지향적 협력으로 나아갈 기회가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반도 평화정착이 한일 또는 중일 간 역사 대립을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 갈등을 해소할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인식이다.

문 대통령은 "나는 작년 8월 동북아 6개국과 미국이 함께하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를 제안한 바 있다"며 "동북아의 에너지·경제 공동체로 발전시키고 더 나아가 다자안보공동체로 확대하는 비전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가 지역 평화와 화해에 기여하고 아시아·유럽의 공동번영으로 이어지는 날이 하루빨리 오길 기대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한반도 평화 여정이 결코 쉽지는 않을 것이며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그러나 만년설이 녹아 대양으로 흘러가듯 서로를 이해하며 반목의 마음을 녹일 때 한반도의 평화도 대양에 다다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