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일 기업 출연금으로 강제징용 보상"…日, 즉각 거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이 수용땐 외교적 협의 검토"
日 외무성 "韓 제안, 해결책 안돼"
日 외무성 "韓 제안, 해결책 안돼"

외교부 당국자는 19일 “확정 판결 피해자들에게 위자료 해당액을 지급함으로써 당자사들 간 화해가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제기된 바 있다”며 이 같은 제안을 공개했다. 일본 측이 수용할 경우 일본 정부가 요청한 한·일 청구권협정 제3조 1항 협의 절차의 수용을 검토할 용의가 있다는 뜻도 밝혔다. 지난해 10월 옛 신닛테쓰스미킨(新日鐵住金)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책임을 인정한 대법원 판결 이후 처음으로 일본 정부에 ‘해결책’을 제시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그러나 외교부 발표 즉시 제안을 거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오스가 다케시 일본 외무성 보도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한국 정부의 제안은 국제법 위반 상태를 시정하는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며 “중재에 응할 것을 한국 정부에 요구하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또 이미 “한국 측에도 이런 (거부)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의 입장을 언제 전달했느냐’는 질문에 “시기를 포함해 외교상의 대화에 대해선 자세히 밝힐 수 없다”면서도 “사전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사실이라면 우리 정부가 일본 측이 이미 거부한 제안을 뒤늦게 ‘공식 발표’한 셈이다.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는 청구권협정으로 모두 해결됐다는 의견을 고수하고 있다. 배경에는 한국 정부의 제안을 받아들인다면 청구권협정 자체가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중재위 구성에 응하라고 강하게 요구했지만 한국 정부가 협정상의 의무를 다하지 않아 유감”이라며 “한국 정부는 향후 30일 이내에 중재위원을 지명하는 제3국을 선정할 의무를 지고 있다”고 말했다.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도 이날 김경한 주일 한국대사관 정무공사를 불러 “제3국에 의뢰해 중재위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한국의 역제안이 불발되면서 이달 말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의 한·일 정상회담은 성사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간 일본 외무성 안팎에서는 일본 정부가 제안한 중재안 수용이 정상회담의 선행 조건이라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이와 관련해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는 전날 아태정책연구원 주최 외교통상정책포럼에서 “한·일 관계 악화는 덮어두고 해결을 미룰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며 “지금의 한·일 관계는 앞으로의 미래 관계뿐만 아니라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임락근 기자/도쿄=김동욱 특파원 rkl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