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만남 지켜본 文대통령, 내주 미중러 회담…비핵화 물길여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靑, 북중회담 두고 "대화재개 계기" 평가…G20서 발걸음 빨라질 듯
김정은 만난 푸틴·시진핑과 연쇄회담…'北 비핵화 의중' 확인 전망
文대통령, 김정은 '대화 기조' 천명 속 한미회담서 북미대화 촉진 주력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 주 일본 오사카(大阪)에서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계기에 미국·중국·러시아 정상과 잇따라 회담한다.
지난 2월 하노이 '노딜' 후 비핵화 협상이 교착 상태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이들 국가와의 연쇄 정상회담이 비핵화 대화의 물꼬를 다시 트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특히 청와대는 21일 마무리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이 동북아를 무대로 한 '비핵화 연쇄외교'의 시작을 알릴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공식 입장문에서 "북중 정상회담과 조만간 개최 예정인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대화 및 협상이 조기에 재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북중 정상의 만남과 내주로 예상되는 한미 정상의 만남을 발판 삼아 북미 간 핵 협상 교착 상태의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읽히는 대목이다.
문 대통령은 다음 주 일본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런 구상을 현실화하기 위한 발걸음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고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금까지 (G20 정상회의 기간) 중국·러시아·캐나다·인도네시아 등 4개국 정상과의 회담 일정이 확정됐다"고 발표했다.
현재 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확정된 국가 중 단연 눈여겨봐야 할 국가는 중국과 러시아다.
중국과 러시아는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소득 없이 끝난 후 잇따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개최, 북한의 '뒷배'를 자처하며 비핵화 정세에서의 영향력을 키우려 한다는 해석을 낳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번 북중 정상회담에 앞서 지난 4월 말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하노이 노딜' 이후 중국과 러시아를 지원세력으로 끌어안으려는 김 위원장의 행보로 풀이했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결국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 자신감 있게 나서기 위해 '든든한 후원자'라 할 수 있는 중국·러시아와의 전략적 밀월에 공을 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무산되고 남북 정상 간 공식적인 소통이 한동안 없었던 만큼 문 대통령으로서는 푸틴 대통령,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의중을 더욱 정교하게 확인하고자 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남북미 중심으로 유지돼 온 비핵화 협상 국면에서 '플레이어'가 늘어나면 전체 '판'이 복잡해진다는 우려도 있지만, 중국과 러시아가 한반도 비핵화를 지지해 온 점을 고려하면 이들에게 북미 간 중재자 역할을 당부할 수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지난 4월 북러 정상회담이 열린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우리를 돕고 있는 것을 고맙게 생각한다"고 말해 중국과 러시아의 역할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더욱 관심이 쏠리는 이벤트는 G20 정상회의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이다.
청와대는 앞서 '이달 말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두 번째로 한국을 찾아 완전한 비핵화를 통한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과 한미동맹 강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 및 푸틴 대통령과의 양자 정상회담에서 확인한 정밀한 북한의 의중을 바탕으로 3차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에 필요한 사전작업에 공을 들일 가능성이 크다.
문 대통령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스웨덴 국빈방문 중 개최된 한·스웨덴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북미 간 구체적 협상 진전을 위해서는 사전에 실무협상이 먼저 열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실무협상을 토대로 (북미) 양 정상 간 회담이 이뤄져야 하노이 2차 정상회담처럼 합의하지 못한 채 헤어지는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에게 긍정적인 대목은 김 위원장 역시 교착 상태가 장기화하는 와중에도 '대화 신호'를 발신했다는 점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일 북중 정상회담에서 "조선(북한)은 인내심을 유지할 것"이라며 "유관국(미국)이 조선 측과 마주 보고 서로의 관심사를 해결해 (한)반도 문제에 성과가 있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이렇듯 김 위원장이 여전히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문제를 풀겠다는 의지를 밝힌 만큼 문 대통령은 조속한 비핵화 대화 재개의 당위성을 내세워 실무협상 등 3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설득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김정은 만난 푸틴·시진핑과 연쇄회담…'北 비핵화 의중' 확인 전망
文대통령, 김정은 '대화 기조' 천명 속 한미회담서 북미대화 촉진 주력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 주 일본 오사카(大阪)에서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계기에 미국·중국·러시아 정상과 잇따라 회담한다.
지난 2월 하노이 '노딜' 후 비핵화 협상이 교착 상태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이들 국가와의 연쇄 정상회담이 비핵화 대화의 물꼬를 다시 트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특히 청와대는 21일 마무리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이 동북아를 무대로 한 '비핵화 연쇄외교'의 시작을 알릴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공식 입장문에서 "북중 정상회담과 조만간 개최 예정인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대화 및 협상이 조기에 재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북중 정상의 만남과 내주로 예상되는 한미 정상의 만남을 발판 삼아 북미 간 핵 협상 교착 상태의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읽히는 대목이다.
문 대통령은 다음 주 일본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런 구상을 현실화하기 위한 발걸음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고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금까지 (G20 정상회의 기간) 중국·러시아·캐나다·인도네시아 등 4개국 정상과의 회담 일정이 확정됐다"고 발표했다.
현재 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확정된 국가 중 단연 눈여겨봐야 할 국가는 중국과 러시아다.
중국과 러시아는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소득 없이 끝난 후 잇따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개최, 북한의 '뒷배'를 자처하며 비핵화 정세에서의 영향력을 키우려 한다는 해석을 낳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번 북중 정상회담에 앞서 지난 4월 말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하노이 노딜' 이후 중국과 러시아를 지원세력으로 끌어안으려는 김 위원장의 행보로 풀이했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결국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 자신감 있게 나서기 위해 '든든한 후원자'라 할 수 있는 중국·러시아와의 전략적 밀월에 공을 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무산되고 남북 정상 간 공식적인 소통이 한동안 없었던 만큼 문 대통령으로서는 푸틴 대통령,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의중을 더욱 정교하게 확인하고자 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남북미 중심으로 유지돼 온 비핵화 협상 국면에서 '플레이어'가 늘어나면 전체 '판'이 복잡해진다는 우려도 있지만, 중국과 러시아가 한반도 비핵화를 지지해 온 점을 고려하면 이들에게 북미 간 중재자 역할을 당부할 수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지난 4월 북러 정상회담이 열린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우리를 돕고 있는 것을 고맙게 생각한다"고 말해 중국과 러시아의 역할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더욱 관심이 쏠리는 이벤트는 G20 정상회의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이다.
청와대는 앞서 '이달 말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두 번째로 한국을 찾아 완전한 비핵화를 통한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과 한미동맹 강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 및 푸틴 대통령과의 양자 정상회담에서 확인한 정밀한 북한의 의중을 바탕으로 3차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에 필요한 사전작업에 공을 들일 가능성이 크다.
문 대통령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스웨덴 국빈방문 중 개최된 한·스웨덴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북미 간 구체적 협상 진전을 위해서는 사전에 실무협상이 먼저 열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실무협상을 토대로 (북미) 양 정상 간 회담이 이뤄져야 하노이 2차 정상회담처럼 합의하지 못한 채 헤어지는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에게 긍정적인 대목은 김 위원장 역시 교착 상태가 장기화하는 와중에도 '대화 신호'를 발신했다는 점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일 북중 정상회담에서 "조선(북한)은 인내심을 유지할 것"이라며 "유관국(미국)이 조선 측과 마주 보고 서로의 관심사를 해결해 (한)반도 문제에 성과가 있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이렇듯 김 위원장이 여전히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문제를 풀겠다는 의지를 밝힌 만큼 문 대통령은 조속한 비핵화 대화 재개의 당위성을 내세워 실무협상 등 3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설득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