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처럼…"유럽기업 5G 장비도 中서 만들면 美 시장 퇴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WSJ "트럼프 행정부 검토"
중국 밖 설계·생산 의무화
중국 밖 설계·생산 의무화
미국이 내수시장에서 중국산 5G(5세대) 통신장비 퇴출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은 화웨이 등 중국 업체 장비의 사용만 제한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스웨덴 에릭슨, 핀란드 노키아 등 서방 기업이 중국에서 제작한 5G 장비도 배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통신장비 시장에서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을 전면 금지할 수 있다는 메시지다.
월스트리트저널(WJS)은 23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에서 사용되는 5G 통신장비에 대해선 설계와 생산을 전부 중국 밖에서 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백악관 관료들은 이미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들에 미국 수출용 하드웨어를 중국 밖에서 생산할 수 있는지 문의했다. 백악관이 거론한 장비 목록에는 휴대폰 기지국 전자기기, 라우터, 스위치, 소프트웨어 등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부품이 망라됐다.
미 행정부의 중국산 5G 장비 배제 움직임은 국가안보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외국산 통신장비와 서비스 사용을 제한하는 ‘정보통신 기술·서비스 공급망 확보’ 행정명령에 따른 조치다. 백악관은 지난달 이 행정명령을 발표하면서 150일 이내에 시행계획을 수립하도록 했다.
미국은 그동안 화웨이 등 중국 업체가 제작한 통신장비뿐 아니라 중국에서 생산한 모든 통신장비가 잠재적으로 보안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우려해왔다.
이에 따라 1단계로 화웨이와 미국 기업의 거래를 제한한 데 이어 이번에 2단계로 서방 기업이 중국에서 생산한 통신장비를 미국 시장에서 퇴출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미 의회 자문기구인 미중경제안보검토위원회의 마이클 웨슬 위원은 WSJ에 “가장 큰 국가안보 우려 대상은 중국 국유기업들이지만 중국에서 영업하는 업체가 생산한 장비라면 보안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미국의 중국산 5G 장비 배제 움직임은 글로벌 통신장비 공급망에서 중국을 통째로 들어내려는 의도도 깔려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미 행정부의 구상이 현실화되면 화웨이에 이어 세계 2, 3위 통신장비 업체인 에릭슨과 노키아 등이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중국 내 생산시설을 중국 밖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커진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
월스트리트저널(WJS)은 23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에서 사용되는 5G 통신장비에 대해선 설계와 생산을 전부 중국 밖에서 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백악관 관료들은 이미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들에 미국 수출용 하드웨어를 중국 밖에서 생산할 수 있는지 문의했다. 백악관이 거론한 장비 목록에는 휴대폰 기지국 전자기기, 라우터, 스위치, 소프트웨어 등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부품이 망라됐다.
미 행정부의 중국산 5G 장비 배제 움직임은 국가안보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외국산 통신장비와 서비스 사용을 제한하는 ‘정보통신 기술·서비스 공급망 확보’ 행정명령에 따른 조치다. 백악관은 지난달 이 행정명령을 발표하면서 150일 이내에 시행계획을 수립하도록 했다.
미국은 그동안 화웨이 등 중국 업체가 제작한 통신장비뿐 아니라 중국에서 생산한 모든 통신장비가 잠재적으로 보안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우려해왔다.
이에 따라 1단계로 화웨이와 미국 기업의 거래를 제한한 데 이어 이번에 2단계로 서방 기업이 중국에서 생산한 통신장비를 미국 시장에서 퇴출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미 의회 자문기구인 미중경제안보검토위원회의 마이클 웨슬 위원은 WSJ에 “가장 큰 국가안보 우려 대상은 중국 국유기업들이지만 중국에서 영업하는 업체가 생산한 장비라면 보안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미국의 중국산 5G 장비 배제 움직임은 글로벌 통신장비 공급망에서 중국을 통째로 들어내려는 의도도 깔려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미 행정부의 구상이 현실화되면 화웨이에 이어 세계 2, 3위 통신장비 업체인 에릭슨과 노키아 등이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중국 내 생산시설을 중국 밖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커진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