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청원 통합 5년] ①성장 '가속 페달'…신청사건립 등 숙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재정 규모 46.5% 늘어 전국 시·군·구 중 4위…인구·투자도 증가
농촌 주민 심리적 박탈감 해소, 농산물 도매시장 이전 등 과제
[※편집자 주(註) = 충북 청주시와 청원군은 2012년 6월 27일 헌정사상 첫 주민 자율형 통합을 결정했습니다.
세 번의 실패 끝에 4번째 주민투표로 이뤄낸 값진 성과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두 시·군은 이어 지방의원,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청원·청주통합추진공동위원회를 구성해 75개 항의 상생발전방안을 마련한 뒤 2014년 7월 1일 '통합 청주시'의 닻을 올렸습니다.
연합뉴스는 다음 달 1일 출범 5주년을 앞두고 통합 청주시의 현주소와 과제, 상생발전방안 이행, 미래 비전 등을 점검하는 기획 기사 3건을 제작해 일괄 송고합니다.
] 1994년과 2005년, 2010년 세 차례 실패한 청주시와 청원군의 행정구역 통합은 4수(修) 만인 2012년 극적으로 성사됐다.
달걀의 노른자위(청주)와 흰자위(청원)처럼 동일 생활권인데도 행정구역이 달라 겪는 주민 불편을 해소하고 행정 효율성을 높여 지역 발전을 꾀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두 시·군의 통합 노력이 첫 시도 18년 만에 결실을 거둔 것이다.
이후 2년 뒤 두 지자체를 합친 통합 청주시가 마침내 출범했다.
통합 효과는 재정 규모 등 여러 분야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올해 청주시의 예산은 2조3천353억원이다.
2013년 청주시(1조958억원)와 청원군(4천984억원)의 예산을 합한 1조5천942억원보다 46.5%나 증가했다.
전국 220여개 시·군·구 가운데 네 번째로 큰 재정 규모다.
통합 후 인구와 경제 규모가 모두 커지는 등 시너지 효과도 나타났다.
2013년 말 82만4천939명(청주 67만246명, 청원 15만4천693명)이던 인구는 올해 5월 말 현재 83만7천606명으로 1만2천667명(1.5%)이 늘었다.
도내 다른 지자체 대부분이 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점을 고려하면 통합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통합 전 청주시는 청원군에 둘러싸인 지리적 여건 때문에 성장의 한계를 노출했다.
기업을 유치할 만한 땅이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합 후 투자유치 성과는 눈부시다.
2014년 27개 업체, 1조2천224억원이었던 투자유치 실적이 통합 4년 차인 2017년에 68개 업체, 2조3천37억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와 올해 상반기도 각각 70개 업체, 2조2천181억원과 37개 업체, 1조8천241억원의 신규 투자유치를 끌어냈다.
공장 등록을 한 제조업체도 2013년 2천421곳에서 올해 3천230곳으로 809곳(33.4%)이 늘었다.
오송생명과학단지와 오창과학산업단지 등은 중부권을 대표하는 성장엔진으로 부상했다.
청주시가 이처럼 성장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지만,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옛 청원군의 농촌 지역 주민이 상대적으로 느끼는 심리적 박탈감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합 추진 당시 가장 우려했던 부분이다.
조방형 강내농협 조합장은 "통합 후 도시는 급속히 성장했지만, 농업은 그에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농촌 지역 주민이 여전히 많다"며 "앞으로 농업에 더 많은 관심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청주시의 상징이 될 신청사 건립사업도 제자리걸음 수준이다.
통합 청주시는 출범 당시 신청사를 2019년 착공해 2022년 준공하기로 했다.
그러나 시 본관 존치 여부를 둘러싼 논란 등이 이어지면서 현재까지 신청사 예정지 토지도 매입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시청 직원들은 본관동을 비롯해 제2청사(옛 청원군청) 등 4곳에서 근무한다.
토지 매입 등이 늦어지면서 신청사 건립 계획은 2025년으로 애초보다 3년 늦춰졌다.
2천312억원(토지매입비 포함)으로 추정되는 신청사 건립비 마련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청원·청주 상생발전방안에 포함된 농산물 도매시장, 동물원·어린이회관 등 문화시설의 옛 청원군 이전 사업 역시 후보지만 정했을 뿐 아직 첫 삽을 뜨지 못했다.
청주시 관계자는 "농산물 도매시장 등은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사업이 추진되지 않고 있다"며 "이들 사업을 도시계획에 반영하고, 국비 확보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두영 청주시 상생발전위원회 사무국장은 "상생발전 방안의 이행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지만, 농촌 지역 주민들이 통합의 효과를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정책이 부족한 것이 아쉽다"며 "로컬푸드 활성화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발굴하고 인근의 대전, 세종, 천안 등과도 상생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농촌 주민 심리적 박탈감 해소, 농산물 도매시장 이전 등 과제
[※편집자 주(註) = 충북 청주시와 청원군은 2012년 6월 27일 헌정사상 첫 주민 자율형 통합을 결정했습니다.
세 번의 실패 끝에 4번째 주민투표로 이뤄낸 값진 성과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두 시·군은 이어 지방의원,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청원·청주통합추진공동위원회를 구성해 75개 항의 상생발전방안을 마련한 뒤 2014년 7월 1일 '통합 청주시'의 닻을 올렸습니다.
연합뉴스는 다음 달 1일 출범 5주년을 앞두고 통합 청주시의 현주소와 과제, 상생발전방안 이행, 미래 비전 등을 점검하는 기획 기사 3건을 제작해 일괄 송고합니다.
] 1994년과 2005년, 2010년 세 차례 실패한 청주시와 청원군의 행정구역 통합은 4수(修) 만인 2012년 극적으로 성사됐다.
달걀의 노른자위(청주)와 흰자위(청원)처럼 동일 생활권인데도 행정구역이 달라 겪는 주민 불편을 해소하고 행정 효율성을 높여 지역 발전을 꾀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두 시·군의 통합 노력이 첫 시도 18년 만에 결실을 거둔 것이다.
이후 2년 뒤 두 지자체를 합친 통합 청주시가 마침내 출범했다.
통합 효과는 재정 규모 등 여러 분야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올해 청주시의 예산은 2조3천353억원이다.
2013년 청주시(1조958억원)와 청원군(4천984억원)의 예산을 합한 1조5천942억원보다 46.5%나 증가했다.
전국 220여개 시·군·구 가운데 네 번째로 큰 재정 규모다.
통합 후 인구와 경제 규모가 모두 커지는 등 시너지 효과도 나타났다.
2013년 말 82만4천939명(청주 67만246명, 청원 15만4천693명)이던 인구는 올해 5월 말 현재 83만7천606명으로 1만2천667명(1.5%)이 늘었다.
도내 다른 지자체 대부분이 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점을 고려하면 통합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통합 전 청주시는 청원군에 둘러싸인 지리적 여건 때문에 성장의 한계를 노출했다.
기업을 유치할 만한 땅이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합 후 투자유치 성과는 눈부시다.
2014년 27개 업체, 1조2천224억원이었던 투자유치 실적이 통합 4년 차인 2017년에 68개 업체, 2조3천37억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와 올해 상반기도 각각 70개 업체, 2조2천181억원과 37개 업체, 1조8천241억원의 신규 투자유치를 끌어냈다.
공장 등록을 한 제조업체도 2013년 2천421곳에서 올해 3천230곳으로 809곳(33.4%)이 늘었다.
오송생명과학단지와 오창과학산업단지 등은 중부권을 대표하는 성장엔진으로 부상했다.
청주시가 이처럼 성장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지만,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옛 청원군의 농촌 지역 주민이 상대적으로 느끼는 심리적 박탈감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합 추진 당시 가장 우려했던 부분이다.
조방형 강내농협 조합장은 "통합 후 도시는 급속히 성장했지만, 농업은 그에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농촌 지역 주민이 여전히 많다"며 "앞으로 농업에 더 많은 관심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청주시의 상징이 될 신청사 건립사업도 제자리걸음 수준이다.
통합 청주시는 출범 당시 신청사를 2019년 착공해 2022년 준공하기로 했다.
그러나 시 본관 존치 여부를 둘러싼 논란 등이 이어지면서 현재까지 신청사 예정지 토지도 매입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시청 직원들은 본관동을 비롯해 제2청사(옛 청원군청) 등 4곳에서 근무한다.
토지 매입 등이 늦어지면서 신청사 건립 계획은 2025년으로 애초보다 3년 늦춰졌다.
2천312억원(토지매입비 포함)으로 추정되는 신청사 건립비 마련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청원·청주 상생발전방안에 포함된 농산물 도매시장, 동물원·어린이회관 등 문화시설의 옛 청원군 이전 사업 역시 후보지만 정했을 뿐 아직 첫 삽을 뜨지 못했다.
청주시 관계자는 "농산물 도매시장 등은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사업이 추진되지 않고 있다"며 "이들 사업을 도시계획에 반영하고, 국비 확보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두영 청주시 상생발전위원회 사무국장은 "상생발전 방안의 이행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지만, 농촌 지역 주민들이 통합의 효과를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정책이 부족한 것이 아쉽다"며 "로컬푸드 활성화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발굴하고 인근의 대전, 세종, 천안 등과도 상생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