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글와글|'노키즈존'은 있는데 왜 '노실버존'은 없는거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실버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카페를 운영 중인 한 네티즌이 노년층 손님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며 '노실버존'에 대한 생각을 묻는 글을 올려 화제를 모았다.
A씨는 직장인부터 인근 동네 주민들까지 불경기임에도 카페를 방문해주는 손님들에게 항상 고마움을 느꼈다. 최근 대부분의 카페가 1인 1주문 정책을 도입하고 있지만 A씨는 이마저도 야박하다 생각해 실행하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나이가 지긋한 손님 6명이 카페로 들어와 3잔의 음료를 주문했다. 이들은 잔을 3개 추가로 달라고 하더니 얼음과 서비스로 나오는 사탕까지 더 달라고 요청했다.
손님의 요구를 모두 들어준 후 다른 업무에 집중하고 있던 A씨는 자신의 귀로 들려오는 그들의 대화에 일순간 기분이 나빠졌다.
"커피가 남았네. 2잔 시킬 걸 괜히 3잔 시켰다. 다음에는 2잔만 시키자."
A씨는 인원에 비해 터무니없이 부족한 개수의 음료를 시켜놓고는 그것도 많다고 당당하게 말하는 손님들의 태도에 황당해졌다.
그간 카페에 와서 "커피가 비싸다", "맛이 너무 쓰다", "조명이 밝다", "음료가 뜨겁다"라고 말하던 다른 노년층 손님들까지 떠오르기 시작했다. 며느리나 정치 이야기를 하다가 싸우는 이들 때문에 곤란했던 적도 많았다. 또 조언이 아닌 지적으로 느껴지는 말투도 불편했다.
A씨는 아이를 동반한 부모나 카페에서 공부를 하는 이들, 커피를 즐기고 가는 어르신들까지 모두 손님으로서 친절히 응대했다. 그러나 배려 없는 일부 노년층들의 태도는 도저히 참기가 어렵다고 주장했다. A씨는 카페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종업원을 함부로 대하는 말투를 문제 삼으며 1인 1잔, 음식물 반입금지가 아닌 '노실버존'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해당 사연을 접한 네티즌들은 "그렇다고 그 나이대를 다 막을 수는 없는 거 아니냐", "노실버존보다는 1인 1잔 정책을 써보는 게 어떻겠냐", "또 다른 사회 혐오 문화를 만드는 것 같다", "그런 마인드라면 장사하기 어려울 듯", "카페에서 일해본 사람으로서 공감은 된다", "마음은 이해하지만 진상 없는 장사는 없다", "장사가 생각대로 된다면 얼마나 좋겠냐", "서로 배려하면 이런 일도 없을 텐데 정말 안타까운 현실이다"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이처럼 공공장소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노OO존'의 도입이 늘고 있는 추세다. 이를 두고 차별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지만 발단이 된 영유아 및 어린이의 출입을 금하는 '노키즈존'은 찬성 의견이 탄력을 받고 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노키즈존'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성인 10명 중 6명(60.9%)이 만 13세 이하의 영유아와 어린이로 인해 소음 문제나 충돌 등의 위험한 상황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키즈존'에 찬성한다는 입장은 66.1%였다. 또 전체 10명 중 7명이 '노키즈존'은 차별의 문제가 아니며(69.2%), 노키즈존이 싫으면 다른 곳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문제 될 것이 없다(68.7%)라고 봤다.
문제는 특정 집단이나 구성원을 일단 배제하고 보는 배타적 성격의 'NO'만 많아지는 상황에 있다. 최근에는 '노키즈존'에 이어 '노틴에이저존'까지 등장했다. 이를 도입한 업주들은 상업성과 고객 편의를 이유로 들고 있다. 공공예절에 대한 인식이 낮은 일부 10대들로 인해 다른 손님들이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 이에 제한 대상자들은 나이 외에 별도로 제지 당할 행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출입 자체가 불가해졌고, 동시에 소비할 자유까지 잃게 됐다.
2017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사회통합지수 개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사회통합수준을 나타내는 '사회적 포용' 지수는 0.266점으로 집계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중 최하위인 29위를 기록했다.
'노틴에이저존'에 이어 '노실버존'까지 'NO'가 반영된 장소는 늘어나지만 그에 비해 이들을 받아들이는 'YES'는 눈에 잘 띄지 않는 실정이다. 점점 많아지는 '노OO존'. 서로의 불편함을 막기 위해 필요한 부분이기는 하나 자칫 사회 혐오 분위기를 부추길 수 있다는 점에서 과도한 경계는 지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와글와글]은 일상 생활에서 겪은 황당한 이야기나 어이없는 갑질 등을 고발하는 코너입니다. 다른 독자들과 공유하고 싶은 사연이 있다면 보내주세요. 그중 채택해 [와글와글]에서 다룹니다. 여러분의 사연을 보내실 곳은 jebo@hankyung.com입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카페를 운영 중인 한 네티즌이 노년층 손님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며 '노실버존'에 대한 생각을 묻는 글을 올려 화제를 모았다.
A씨는 직장인부터 인근 동네 주민들까지 불경기임에도 카페를 방문해주는 손님들에게 항상 고마움을 느꼈다. 최근 대부분의 카페가 1인 1주문 정책을 도입하고 있지만 A씨는 이마저도 야박하다 생각해 실행하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나이가 지긋한 손님 6명이 카페로 들어와 3잔의 음료를 주문했다. 이들은 잔을 3개 추가로 달라고 하더니 얼음과 서비스로 나오는 사탕까지 더 달라고 요청했다.
손님의 요구를 모두 들어준 후 다른 업무에 집중하고 있던 A씨는 자신의 귀로 들려오는 그들의 대화에 일순간 기분이 나빠졌다.
"커피가 남았네. 2잔 시킬 걸 괜히 3잔 시켰다. 다음에는 2잔만 시키자."
A씨는 인원에 비해 터무니없이 부족한 개수의 음료를 시켜놓고는 그것도 많다고 당당하게 말하는 손님들의 태도에 황당해졌다.
그간 카페에 와서 "커피가 비싸다", "맛이 너무 쓰다", "조명이 밝다", "음료가 뜨겁다"라고 말하던 다른 노년층 손님들까지 떠오르기 시작했다. 며느리나 정치 이야기를 하다가 싸우는 이들 때문에 곤란했던 적도 많았다. 또 조언이 아닌 지적으로 느껴지는 말투도 불편했다.
A씨는 아이를 동반한 부모나 카페에서 공부를 하는 이들, 커피를 즐기고 가는 어르신들까지 모두 손님으로서 친절히 응대했다. 그러나 배려 없는 일부 노년층들의 태도는 도저히 참기가 어렵다고 주장했다. A씨는 카페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종업원을 함부로 대하는 말투를 문제 삼으며 1인 1잔, 음식물 반입금지가 아닌 '노실버존'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해당 사연을 접한 네티즌들은 "그렇다고 그 나이대를 다 막을 수는 없는 거 아니냐", "노실버존보다는 1인 1잔 정책을 써보는 게 어떻겠냐", "또 다른 사회 혐오 문화를 만드는 것 같다", "그런 마인드라면 장사하기 어려울 듯", "카페에서 일해본 사람으로서 공감은 된다", "마음은 이해하지만 진상 없는 장사는 없다", "장사가 생각대로 된다면 얼마나 좋겠냐", "서로 배려하면 이런 일도 없을 텐데 정말 안타까운 현실이다"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이처럼 공공장소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노OO존'의 도입이 늘고 있는 추세다. 이를 두고 차별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지만 발단이 된 영유아 및 어린이의 출입을 금하는 '노키즈존'은 찬성 의견이 탄력을 받고 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노키즈존'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성인 10명 중 6명(60.9%)이 만 13세 이하의 영유아와 어린이로 인해 소음 문제나 충돌 등의 위험한 상황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키즈존'에 찬성한다는 입장은 66.1%였다. 또 전체 10명 중 7명이 '노키즈존'은 차별의 문제가 아니며(69.2%), 노키즈존이 싫으면 다른 곳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문제 될 것이 없다(68.7%)라고 봤다.
문제는 특정 집단이나 구성원을 일단 배제하고 보는 배타적 성격의 'NO'만 많아지는 상황에 있다. 최근에는 '노키즈존'에 이어 '노틴에이저존'까지 등장했다. 이를 도입한 업주들은 상업성과 고객 편의를 이유로 들고 있다. 공공예절에 대한 인식이 낮은 일부 10대들로 인해 다른 손님들이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 이에 제한 대상자들은 나이 외에 별도로 제지 당할 행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출입 자체가 불가해졌고, 동시에 소비할 자유까지 잃게 됐다.
2017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사회통합지수 개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사회통합수준을 나타내는 '사회적 포용' 지수는 0.266점으로 집계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중 최하위인 29위를 기록했다.
'노틴에이저존'에 이어 '노실버존'까지 'NO'가 반영된 장소는 늘어나지만 그에 비해 이들을 받아들이는 'YES'는 눈에 잘 띄지 않는 실정이다. 점점 많아지는 '노OO존'. 서로의 불편함을 막기 위해 필요한 부분이기는 하나 자칫 사회 혐오 분위기를 부추길 수 있다는 점에서 과도한 경계는 지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와글와글]은 일상 생활에서 겪은 황당한 이야기나 어이없는 갑질 등을 고발하는 코너입니다. 다른 독자들과 공유하고 싶은 사연이 있다면 보내주세요. 그중 채택해 [와글와글]에서 다룹니다. 여러분의 사연을 보내실 곳은 jebo@hankyung.com입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