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의 땅' DMZ '평화의 땅'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가 주목하는 DMZ
세계 유일 생태·역사문화 자원
정부, 새로운 관광지로 활성화
세계 유일 생태·역사문화 자원
정부, 새로운 관광지로 활성화
30일 비무장지대(DMZ)에서 성사된 남·북·미 ‘깜짝 회동’을 계기로 분단의 상징인 DMZ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DMZ는 1953년 7월 27일 이뤄진 정전협정의 산물이다. 155마일의 군사분계선(MDL)을 기준으로 남북한 양쪽으로 2㎞ 구간이 DMZ로 설정됐다. 한반도 허리를 가른 DMZ의 북쪽 경계가 북방한계선(NLL), 남쪽 경계가 남방한계선(SLL)이다. 명칭 그대로 군사활동이 금지된 ‘비무장 지대’이지만, 적과 가장 가까운 곳인 만큼 군사적 긴장을 놓을 수 없는 곳이기도 하다.
남북은 오래전부터 이곳에 무장병력과 중화기를 집중시켰다. 2018년 말까지만 해도 한국군의 DMZ 내 감시초소(GP)는 60여 개, 북한군 GP는 160여 개에 달했다. 양측의 전체 GP 병력 역시 2만 명 이상으로 추정돼왔다. 다만 남북은 지난해 말부터 GP 11개씩을 철거하는 등 DMZ를 ‘평화의 땅’으로 만들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최근 들어선 DMZ를 새로운 관광 인프라로 주목하는 분위기도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 같은 흐름에 힘입어 DMZ를 활용한 관광 콘텐츠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정치권도 DMZ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오는 27일부터 ‘2019 통일 걷기’ 행사를 주최하고 직접 참여한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DMZ는 1953년 7월 27일 이뤄진 정전협정의 산물이다. 155마일의 군사분계선(MDL)을 기준으로 남북한 양쪽으로 2㎞ 구간이 DMZ로 설정됐다. 한반도 허리를 가른 DMZ의 북쪽 경계가 북방한계선(NLL), 남쪽 경계가 남방한계선(SLL)이다. 명칭 그대로 군사활동이 금지된 ‘비무장 지대’이지만, 적과 가장 가까운 곳인 만큼 군사적 긴장을 놓을 수 없는 곳이기도 하다.
남북은 오래전부터 이곳에 무장병력과 중화기를 집중시켰다. 2018년 말까지만 해도 한국군의 DMZ 내 감시초소(GP)는 60여 개, 북한군 GP는 160여 개에 달했다. 양측의 전체 GP 병력 역시 2만 명 이상으로 추정돼왔다. 다만 남북은 지난해 말부터 GP 11개씩을 철거하는 등 DMZ를 ‘평화의 땅’으로 만들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최근 들어선 DMZ를 새로운 관광 인프라로 주목하는 분위기도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 같은 흐름에 힘입어 DMZ를 활용한 관광 콘텐츠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정치권도 DMZ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오는 27일부터 ‘2019 통일 걷기’ 행사를 주최하고 직접 참여한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