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 전임상 단계서 1조원대 기술수출 성공…역대 5번째 규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한양행은 1일 베링거인겔하임과 비알콜성지방간염(NASH)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물질은 GLP-1과 FGF21의 활성을 갖는 이중작용제다. 총 기술수출 금액은 8억7000만달러(약 1조46억원)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기술수출 중 금액 기준 역대 5번째 규모다.
역대 2위는 유한양행이 지난 11월 얀센과 체결한 12억5500만달러다. 얀센은 이 계약을 통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레이저티닙의 세계 권리(한국 제외)를 가져갔다. 유한양행의 이번 기술수출 규모는 2015년 11월과 2016년 9월 한미약품이 얀센(당뇨·비만, 9억1500만달러) 및 제넨텍(표적항암제, 9억1000만달러)에 기술이전한 계약 다음으로 크다.
이에 앞서 유한양행은 올 1월 길리어드와 NASH 후보물질 2종을 7억8500만달러에 기술수출하기도 했다.

베링거인겔하임도 NASH 관련 다수의 치료법 개발을 진행 중이다. 베링거인겔하임은 하나의 증산만을 표적하는 방법으로는 중증의 환자에서 완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증 염증 섬유증이라는NASH의 3가지 핵심 증상을 모두 표적하는 차세대 치료법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축했다.
유한양행의 이번 물질도 전임상에서 두 가지 이상의 증상에서 효과를 나타냈다. 유한양행은 길리어드와 베링거인겔하임에 기술수출한 물질 외에도 2개의 NASH 후보물질을 가지고 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