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언론 "홍콩 시위, 끝까지 책임 물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민일보는 3일 1면 논평을 통해 홍콩 시위대의 불법 행위를 자세히 묘사하며 맹비난했다.
이어 "이번 시위는 홍콩 사회 질서를 심각하게 파괴했고,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에 대한 마지노선을 공공연히 저촉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민일보는 "시위대가 금속 수레와 봉을 이용해 입법회 유리창을 부수고, 독성 화학물질을 이용해 홍콩 경찰을 공격했다"며 "이는 명백한 폭력행위"라고 말했다.
신화통신도 이날 논평에서 "일부 극단주의 세력이 폭력적인 방식을 이용해 입법회를 점거했다"면서 "이들의 폭력 행위는 홍콩 법치에 대한 도발이자 침범"이라고 비난했다.
통신은 "시위대의 폭력 행위는 광범위한 홍콩 주민의 이익과 복지에 대한 큰 위협이자 홍콩 사회의 안정을 해치는 행위"라며 각계각층의 비난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영 글로벌 타임스와 환구시보(環球時報)도 공동 논평을 통해 이번 폭력 시위는 홍콩 사회에 경종을 울렸다고 보도했다.
매체들은 "법치는 홍콩의 핵심 가치이자 세계의 공통된 가치"라며 "폭력 시위는 국제사회에서 갈수록 경계와 반감을 사고 있다"고 비판했다.
1984년 영국과 중국은 중국이 홍콩의 민주주의와 자치를 보장한다는 일국양제를 근간으로 홍콩반환협정을 체결했다. 홍콩은 1841년부터 영국의 식민지였다가 1997년 중국에 반환됐다.
최근 홍콩 정부는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을 발표해 일국양제 원칙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인도법은 홍콩과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중국 등 국가에 범죄인을 인도할 수 있다는 내용이 골자다. 홍콩 시민들은 해당 법안이 중국 정부가 반체제 인사나 인권운동가를 탄압하는 데 악용될 것이라고 우려하며 시위를 이어왔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