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숙 명예교수 "松商의 세계 첫 복식부기…각국에 알려나갈 것"
노(老)교수는 매일 새벽 5시에 일어난다. 신문을 읽고 7시쯤 식사를 한 뒤 어김없이 향하는 곳이 있다. 바로 ‘서당’이다. 중국 사료를 읽는 데 필요한 백화문(白話文)을 익히기 위해서다. 한자를 잘 알아도 백화문을 모르면 중국 사료를 읽는 데 까막눈이나 다름없다. 백화문은 당에서 발생해 송, 원, 명, 청 시대를 거치며 확립된 중국어 구어체. 연구 등을 마치고 그가 귀가하는 시간은 저녁 8시. 은퇴 전부터 진짜로 하고 싶었던 연구에 오롯이 집중하는 시간이다. 개성상인들의 발자취를 좇고 있는 정기숙 계명대 명예교수(82·사진)의 일과다.

정 교수는 2002년 계명대 교수직에서 정년 퇴임한 한국 회계학계의 원로다. 지난 5일 서울역 인근에서 만난 정 교수는 아직 식지 않은 연구 열정을 보여줬다. 고려시대 개성상인이 고안한 것으로 알려진 복식부기(개성부기)에 관한 내용이라면 어려운 고어(古語)에서부터 역사 속 연도까지 설명에 막힘이 없었다.

그는 “최근 중국에서 개성부기(簿記)가 자국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며 “중국 주장이 틀렸다는 걸 입증하고 개성부기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복식부기란 모든 거래를 대변과 차변으로 나눠 기입한 다음 계정마다 집계하는 기장법이다. 재산의 이동과 손익을 정확히 알 수 있고 잘못을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독일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서방에서 자본주의가 발달할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로 복식부기를 꼽기도 했다.

15세기 이탈리아 베네치아 상인이 작성한 거래원장이 최초의 복식부기로 인정받고 있지만 그보다 200년 앞서 개성상인들이 복식부기를 사용했다는 기록들이 나오고 있다. 정 교수는 “일부 중국 학자는 개성부기가 한문으로 돼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자기들 것이라고 주장한다”며 가당치 않다고 했다.

“개성부기에는 한자와 함께 고려에서만 쓰인 이두(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은 표기법)가 섞여 있습니다. ‘일기장(분개장)’ ‘장책(원장)’ 등 중국에선 쓰지 않는 용어를 쓴 것도 개성부기가 중국에서 유래하지 않았다는 증거죠.”

그는 최근 국내 학술지에 네 편, 국제학술지에 두 편의 개성부기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1916년 발간된 개성부기 해설서인 《사개송도치부법》을 현대말로 고쳐 쓴 뒤 영어로 번역해 미국에서 출판하기도 했다. 한국회계학회는 그의 공로를 인정해 지난달 21일 경주 국제학술대회에서 학술공로상을 수여했다.

정 교수는 조선시대 그리고 그 이전부터 전해져온 전통 회계문서들이 국내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했다. 그는 “우리 조상이 남긴 회계사적으로 중요한 자료들을 살아생전에 유네스코기록문화 유산에 등재시키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