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중단한 日기업도 어쩔 수 없단 말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 달려간 삼성전자 협력사 대표 답답함 토로
불화수소 재고 바닥 나는데
日 거래처는 "기다려 봐라"
한 달 후엔 공장 세울 판
불화수소 재고 바닥 나는데
日 거래처는 "기다려 봐라"
한 달 후엔 공장 세울 판
삼성전자에 불화수소를 공급하는 협력업체 A사 회장은 지난주 급히 일본으로 날아갔다. 일본 정부가 지난 4일부터 고순도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감광액),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의 핵심 품목 세 개의 수출 규제에 나설 것이란 소식을 접하고서다.
주요 거래처인 일본 불화수소업체 스텔라케미파의 하시모토 아키 사장으로부터 돌아온 대답은 “정치적 상황 때문이니 우리도 어쩔 수 없다. 수출 승인 절차가 얼마나 걸릴지 일단 기다려보자”는 말뿐이었다. 고순도 불화수소는 반도체 회로의 불필요한 부분을 깎아내는 식각 공정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정 공정에 광범위하게 쓰인다. A사 회장은 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4일 이후부터는 스텔라케미파로부터 납품이 뚝 끊긴 상황”이라며 “1개월치 재고를 모두 소진하면 고순도 불화수소 가공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매출의 절반 이상이 불화수소에서 나온다. 생산량의 70%는 일본산 고순도 불화수소를 수입해 가공하고, 나머지 30% 정도는 중국의 저순도 불화수소를 들여와 고순도로 정제해 판매한다.
일각에서는 중국산 저순도 불화수소를 추가로 가져다 정제하면 된다고 하지만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A사 회장은 “이미 저순도 불화수소를 고순도로 정제하는 시설을 ‘완전 가동’하고 있다”며 “현재 증설하고 있기는 하지만 완공까진 최소 1년 이상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스텔라케미파도 수출길이 막힌 데 대해 답답함을 토로했다고 A사 회장은 전했다. 일본산 불화수소의 대(對)한국 수출 비중(1~4월 기준)은 85.9%에 달한다. 세 개 규제 대상 품목 중 일본 기업의 피해가 가장 큰 제품이다. 일본과 싱가포르에 생산 거점이 있는 스텔라케미파는 싱가포르산의 한국 공급 가능 여부를 검토 중이다.
반도체업계에서는 일본 정부의 보복이 장기화하면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작년 11월 일본이 사흘간 불화수소 통관을 중단했을 때 이를 ‘경제보복의 징조’로 보고 우리 정부에 우려를 전달했다”며 “개별 기업 차원에서도 불화수소 확보전에 뛰어들었지만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주요 거래처인 일본 불화수소업체 스텔라케미파의 하시모토 아키 사장으로부터 돌아온 대답은 “정치적 상황 때문이니 우리도 어쩔 수 없다. 수출 승인 절차가 얼마나 걸릴지 일단 기다려보자”는 말뿐이었다. 고순도 불화수소는 반도체 회로의 불필요한 부분을 깎아내는 식각 공정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정 공정에 광범위하게 쓰인다. A사 회장은 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4일 이후부터는 스텔라케미파로부터 납품이 뚝 끊긴 상황”이라며 “1개월치 재고를 모두 소진하면 고순도 불화수소 가공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매출의 절반 이상이 불화수소에서 나온다. 생산량의 70%는 일본산 고순도 불화수소를 수입해 가공하고, 나머지 30% 정도는 중국의 저순도 불화수소를 들여와 고순도로 정제해 판매한다.
일각에서는 중국산 저순도 불화수소를 추가로 가져다 정제하면 된다고 하지만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A사 회장은 “이미 저순도 불화수소를 고순도로 정제하는 시설을 ‘완전 가동’하고 있다”며 “현재 증설하고 있기는 하지만 완공까진 최소 1년 이상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스텔라케미파도 수출길이 막힌 데 대해 답답함을 토로했다고 A사 회장은 전했다. 일본산 불화수소의 대(對)한국 수출 비중(1~4월 기준)은 85.9%에 달한다. 세 개 규제 대상 품목 중 일본 기업의 피해가 가장 큰 제품이다. 일본과 싱가포르에 생산 거점이 있는 스텔라케미파는 싱가포르산의 한국 공급 가능 여부를 검토 중이다.
반도체업계에서는 일본 정부의 보복이 장기화하면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작년 11월 일본이 사흘간 불화수소 통관을 중단했을 때 이를 ‘경제보복의 징조’로 보고 우리 정부에 우려를 전달했다”며 “개별 기업 차원에서도 불화수소 확보전에 뛰어들었지만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