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품을 사거나 일본으로 여행 가면 ‘매국노’ 취급을 받을 판이다. 여당 국회의원은 “의병을 일으킬 일”이라고 거들었다. 심지어 아이돌그룹의 일본인 멤버 퇴출 요구까지 점입가경이다.
국가 간 마찰이 대중의 자발적 불매운동으로 이어진 사례는 드물지 않다. 2012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 때 중국에선 지금 우리와 비슷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벌어졌다. 미국 아메리카노 커피도 영국의 차(茶) 세금 등 횡포에 맞서다 생겨났다. 국민의 일치단결한 모습은 상대국에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한 해 1000만 명이 한·일 양국을 오가는 시대에 불매운동이 부를 부작용도 따져봐야 한다. 정작 그 피해가 국내 수입·유통·판매·여행업계 종사자와 일본에 사는 동포·유학생·취업자에게 돌아갈 수 있어서다. 여건이 민단 중앙단장이 “한·일 관계는 우리(재일동포)에게는 사활의 문제”라고 문재인 대통령에게 호소할 정도다. 감정의 골이 깊어질수록 보복조치에 반대하는 일본 경제계와 양식 있는 일본인들의 입지가 더 좁아질 것이다.
보다 현실적인 문제는 ‘메이드 인 재팬(made in Japan)’이 없으면 우리가 더 힘들어진다는 점이다. 맥주 담배 의류 등 소비재는 대체재라도 있지만, 일본의 핵심 부품·소재 없이는 스마트폰 자동차 정밀화학 등 국내 산업이 안 돌아간다. 이런 일본 제품은 ‘인텔 인사이드’처럼 눈에 잘 안 띈다. 병원의 초음파 CT 등은 일본산이 태반이고, 방송도 일본 장비 없이는 촬영·송출이 어렵다.
게다가 자유, 민주, 헌법 등 개념어와 전문용어가 대부분 근대 일본의 조어(造語)에서 왔다. 우동 돈가스 라멘 이자카야 등은 한국인의 생활 속에 녹아들었다. 일본 애니메이션의 인기도 인기지만, 이를 원작으로 한 ‘올드보이’ 같은 영화나 드라마도 만들지 않았나. 비분강개하는 불매운동을 이해 못 할 바는 아니지만, 정말 절실한 것은 절치부심하며 일본을 이길(克日) 실력을 키우는 것이 아닐까.
오형규 논설위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