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총수 긴급 소집한 文 "日 보복 장기화 가능성…민관 비상체제 갖춰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30대 기업 총수들을 청와대로 초청한 자리에서 “(일본의 경제보복)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전례 없는 비상 상황인 만큼 민관 비상 대응체제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한 기업들의 어려움을 듣고 함께 해법을 마련하기 위해 이날 긴급 간담회를 마련했다. 청와대는 삼성·현대차·SK·LG·롯데 등 국내 5대 그룹을 포함한 자산 10조원 이상 30개 기업을 초청했다. 해외 체류 중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참석하지 못했다.
문 대통령은 행사 시작부터 위기감을 높였다. 세계 경제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의 수출 제한조치까지 더해져 어려움이 가중됐다는 설명이다. 문 대통령은 “무역 의존도가 매우 높은 우리 경제를 어렵게 만들고 있는데, 거기에 일본의 수출 제한조치가 더해졌다”며 “우리 정부는 일본의 부당한 수출제한 조치의 철회와 대응책 마련에 비상한 각오로 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의 외교적 해결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매우 유감스러운 상황이지만,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했다.
한국을 향해 수출 제한 조치에 나선 일본을 향해서는 날선 비판을 가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이)더 이상 막다른 길로만 가지 않기를 바란다”며 “일본 정부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우리 경제에 타격을 주는 조치를 취하고, 아무런 근거없이 대북제재와 연결시키는 발언을 하는 것은 양국의 우호와 안보협력 관계에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세계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는만큼 주변국들과의 국제적인 공조를 함께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위기 돌파를 위해 “주요 그룹 최고경영자와 경제부총리, 청와대 정책실장이 상시 소통체제를 구축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장·차관급 범정부지원체제를 운영해 단기적 대책과 근본적 대책을 함께 세우고 협력하겠다는 의도다. 인허가 등 행정절차가 필요할 경우 절차를 최소화하는 등의 지원책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기업이 중심이 돼야한다”며 기업들의 협조를 요청했다. “특히 대기업의 협력을 당부드린다”며 “부품·소재 공동개발이나 공동구입을 비롯한 수요기업 간 협력과 품·소재를 국산화하는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더욱 확대해주시기 바란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재계에서는 기업들의 어려움을 청취하기 위한 자리에서 ‘기업들의 노력’을 강요한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결국 기업들을 전면에 앞세워 부담만 가중시켰다는 평가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문 대통령은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한 기업들의 어려움을 듣고 함께 해법을 마련하기 위해 이날 긴급 간담회를 마련했다. 청와대는 삼성·현대차·SK·LG·롯데 등 국내 5대 그룹을 포함한 자산 10조원 이상 30개 기업을 초청했다. 해외 체류 중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참석하지 못했다.
문 대통령은 행사 시작부터 위기감을 높였다. 세계 경제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의 수출 제한조치까지 더해져 어려움이 가중됐다는 설명이다. 문 대통령은 “무역 의존도가 매우 높은 우리 경제를 어렵게 만들고 있는데, 거기에 일본의 수출 제한조치가 더해졌다”며 “우리 정부는 일본의 부당한 수출제한 조치의 철회와 대응책 마련에 비상한 각오로 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의 외교적 해결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매우 유감스러운 상황이지만,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했다.
한국을 향해 수출 제한 조치에 나선 일본을 향해서는 날선 비판을 가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이)더 이상 막다른 길로만 가지 않기를 바란다”며 “일본 정부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우리 경제에 타격을 주는 조치를 취하고, 아무런 근거없이 대북제재와 연결시키는 발언을 하는 것은 양국의 우호와 안보협력 관계에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세계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는만큼 주변국들과의 국제적인 공조를 함께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위기 돌파를 위해 “주요 그룹 최고경영자와 경제부총리, 청와대 정책실장이 상시 소통체제를 구축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장·차관급 범정부지원체제를 운영해 단기적 대책과 근본적 대책을 함께 세우고 협력하겠다는 의도다. 인허가 등 행정절차가 필요할 경우 절차를 최소화하는 등의 지원책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기업이 중심이 돼야한다”며 기업들의 협조를 요청했다. “특히 대기업의 협력을 당부드린다”며 “부품·소재 공동개발이나 공동구입을 비롯한 수요기업 간 협력과 품·소재를 국산화하는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더욱 확대해주시기 바란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재계에서는 기업들의 어려움을 청취하기 위한 자리에서 ‘기업들의 노력’을 강요한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결국 기업들을 전면에 앞세워 부담만 가중시켰다는 평가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