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한국 기금·자산운용 대상] 포스텍, 대체투자로 고수익…순천향대, 투명한 정보공개 돋보여
포스텍이 제6회 한국 기금·자산운용대상에서 대학부문 대상(교육부장관상) 수상 학교로 선정됐다. 현대해상화재보험은 보험부문 대상(금융감독원장상)을 수상한다. 공제회부문에서는 지방행정공제회가 대상(한국경제신문사장상)을 받는다. 한국 기금·자산운용대상은 한국경제신문사가 대학, 보험회사, 공제회 등 공공성 있는 기관투자가의 운용 성과를 평가해 기금 및 자산 운용의 투명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2014년 마련한 시상제도다. 시상식은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국회 교육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12일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 18층 다산홀에서 열린다.

2017년 제4회 시상에서도 대상을 수상한 바 있는 포스텍은 전 분야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대체투자 사모펀드(PEF) 출자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투자하고 구체적으로 실적을 공개하는 투명한 기금운용 노력이 돋보였다는 평가다.

부동산 사모펀드 투자로 수익률 높인 포스텍

포스텍은 지난해 3.15%의 기금운용수익률을 기록하며 높은 성과를 냈다. 지난해 미·중 무역분쟁 등의 여파로 국민연금 등 국내외 주요 연기금마저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고무적인 실적이다.

포스텍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확정금리형, 실적배당형 상품에 운용자산의 49.9%를 배정했다. 나머지는 채권형 상품(24.8%), 주식(9.6%), 부동산 대체투자(8.3%), 사모펀드(7.3%), 기타(0.1%) 등으로 분산했다. 부동산 대체투자(5.8%)와 사모펀드(4.9%)에서의 성과가 전체 수익률 상승을 견인했다.

심사위원단은 “주식 채권은 물론 부동산 대체투자, 사모펀드, 벤처투자까지 다양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위험은 분산하고 수익률을 높인 점이 눈에 띄었다”며 “안정성만 강조해 확정금리형 자산에만 100%를 투입하는 대부분 대학과 차별화된 부분”이라고 말했다.

포스텍은 가장 많은 점수가 배정된 기금 확대 및 정보 제공 노력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지난해 207억원의 기금을 모금한 포스텍은 발전기금 홈페이지를 통해 모금 현황과 활용처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고액 기부자에겐 기금의 집행 내역과 연간 수익률 등을 이메일을 통해 알리고 있다. 구체적인 기금 사용 내역을 백만원 단위로 상세하게 공개하고 있다. 심사위원단은 “자산 배분 현황뿐 아니라 투자 수익률까지 투명하게 공개한 점이 인상적이었다”고 설명했다.

투명한 정보공개 돋보인 순천향대

올해 처음으로 수상대에 오른 순천향대는 정보 제공 노력에서 특히 높은 평가를 받았다. 순천향대는 확정금리형 안전자산에 63%를, 국내 채권에 37%를 배분해 다른 수상권 대학에 비해 투자의 다양성은 떨어졌다. 하지만 운용자산 현황뿐 아니라 구체적인 상품명까지 공개할 정도로 투명한 행정이 돋보였다는 평가다. 기금운용 계획을 수립하고 주요 사안을 심의하는 기금운용심의위원회에 외부 전문가를 비롯해 총학생회장 총동문회장 등 학교 구성원이 참여하는 것도 순천향대만의 특징이다.

전문대학인 구미대는 전문성 있고 체계적인 의사결정·자산운용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위탁운용사를 선정할 때마다 회의를 하고, 위탁 운용 현황을 논의할 때도 위원회를 여는 것이 다른 대학과 차별화됐다. 구미대는 575억원의 운용 자산 중 67%를 직접 운용하고 33%를 위탁운용사에 맡기고 있다.

확정금리형 안전자산은 직접 운용하고 채권(18.5%) 주식(14.5%)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자산군은 외부 위탁사를 선정해 수익률을 높인 점이 심사위원단에 호평을 받았다. 여전히 많은 대학이 기초적인 정보 제공 노력조차 하고 있지 않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구체적인 운용 내역을 밝힌 대학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기본적인 기금운용 지침조차 없는 대학도 절반이 넘었다.

51개 평가 대학 가운데 ‘우수’ 등급을 받은 대학은 수상 대학을 포함해 연세대 세명대 등 5곳에 불과했다. 심사위원단은 “자발적으로 자료를 공개한 대학들의 실적이 이 정도면 공개조차 하지 않은 대학들의 상황은 어떨지 가늠이 안 된다”며 “재정난에 시달린다면서도 정작 기금운용엔 소홀한 대학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