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농부·식물공장…스마트농업서 기회 찾는다
인공지능(AI) 농부가 오이를 키운다. 로봇은 밭에 나가 잡초를 뽑는다. 도심 한복판 컨테이너에선 기능성 채소가 자란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반신반의했다. 그런데 이게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른바 ‘스마트 농업시대’다. 한물간 것으로 여겨지던 1차 산업이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다시 주목받는 이유다.

첨단 기술과 결합한 농식품 시장의 새 트렌드를 진단하고 전망하는 지식 교류의 장이 열린다. 국내 최대 민간 농업포럼인 ‘팜테크포럼 2019’다. 오는 18~20일 사흘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성큼 다가온 스마트 농업시대, 새로운 기회가 열린다’라는 주제로 국내외 농식품 전문가 12명이 강연자로 나선다. 스마트팜, AI 농업, 신선식품 유통, 농업 금융, 농식품 마케팅에 대해 강연한다. 농업 콘텐츠업체인 아그로플러스(한국경제신문·네이버 합작사)와 메쎄이상이 공동 주최한다.
AI농부·식물공장…스마트농업서 기회 찾는다
18일엔 ‘현실로 다가온 스마트팜과 로봇 농부’라는 세부 주제 아래, 네덜란드 와게닝겐대에서 6년간 첨단 농업기술을 연구한 서현권 충남대 연구교수가 농업 선진국의 기술 개발 동향에 대해 강연한다. 밭을 누비며 잡초를 제거하는 자율주행로봇 개발 프로젝트 등에 참여했던 자신의 연구개발 사례도 소개한다. 이어 AI, 사물인터넷(IoT)으로 친환경 농산물을 재배하는 일본 베지탈리아의 고이케 사토시 대표가 강사로 나선다. 농식품 전문 기관투자가인 유큐아이파트너스의 정훈 상무는 스마트팜 기술의 상업성 평가 방법을 설명한다. 국내 최대 농업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이지팜의 진교문 사장은 블록체인과 농업의 접목, 스마트팜의 프랜차이즈화 가능성 등을 전망할 예정이다. 진 사장은 “미래의 농업은 95%의 과학과 5%의 노동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19일엔 ‘첨단 정보기술(IT)이 바꾸는 식품유통시장’을 진단한다. 온라인 신선식품 시장의 강자인 헬로네이처의 오정후 대표, 서울대 푸드비즈랩의 이동민 수석연구원이 IT를 접목한 농산물 유통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다. 국내 최대 식물공장업체인 팜8의 강대현 부사장은 한국 스마트팜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전망한다. 햇볕이 없는 서울 지하철 5호선 답십리역에 식물공장을 세운 사례와 그 결과를 얘기할 예정이다. 삼성경제연구소 임원을 지낸 마케팅 전문가 신현암 팩토리8 대표는 일본 농식품 및 유통업체의 마케팅 성공 사례를 소개하며 한국 농식품업체의 마케팅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신 대표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기업 성장을 함께 이루는 내용을 담은 책 《빅프라핏》의 저자이기도 하다.

20일 세부 주제는 ‘농식품 시장에서 발견한 새로운 기회들’이다. 농업 벤처기업 대표들이 자신의 창업 과정과 성공 노하우를 소개한다. 농식품 벤처기업의 창업을 지원하는 최재욱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사업지원팀장(변호사)이 국내 농식품 창업 트렌드를 설명한다. 이어 꽃 정기 배송을 국내에 처음 도입해 연 40억여원의 매출을 올리는 박춘화 꾸까 대표, 무지개 방울토마토를 국내에 처음 선보인 박인호 자연터 대표, 저온압착 참기름으로 세계 시장에 진출한 박정용 쿠엔즈버킷 대표가 강연한다.

FARM 김형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