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밀양형 일자리', 뿌리산업 도약의 상생 해법
지난달 말 경남 밀양에서 낭보가 전해졌다. ‘밀양 하남일반산업단지 준공식 및 상생형 지역 일자리모델 협약 체결’ 소식이었다. 밀양 하남일반산업단지는 주조기술을 중심으로 한 뿌리기업들이 입주하는 뿌리산업 특화단지다.

우리나라 제조업의 근간인 뿌리산업은 자동차·반도체 등 주력산업의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좌우하는 국가 기반산업이다. 그러나 이른바 ‘3D산업’이라는 인식 탓에 환경, 입지 문제 등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밀양형 일자리’ 협약은 지역 주민과 상생 대타협을 통해 입지문제를 해결했다는 측면에서 환영할 만하다.

정부가 적극 추진 중인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과 관련해 밀양형 일자리 모델은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먼저, 뿌리산업의 입지문제에서 해결하기 어려웠던 주민과의 상생을 적극적으로 꾀했다는 점이다. 주민들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 친환경적이고 스마트한 설비 구축에 기업이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고, 친환경적 경영 외에도 장학사업 등을 위한 주민상생기금 조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약속했다. 이 약속을 이행하면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사·민·정 모두가 협력하는 상생 프로그램에 합의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밀양형 일자리는 대기업이 아닌, 중소 규모의 뿌리기업들이 공동 투자하는 방식의 상생형 일자리 사업 모델이기도 하다. 특히 주조기업들이 한 곳에 모여 환경 규제, 품질 향상 등에 필수적인 친환경 원부자재를 공동구매해 생산단가 절감 및 공정의 친환경화 등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고, 업종 간 협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노·사·민·정 지역 경제주체 외 지역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위해 두산중공업과 현대위아가 함께한다는 것이다. 하남일반산업단지로의 뿌리기업 이전 및 조기정착 등 지역 경제를 넘어서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모델로서 우리 경제 전체에 활력을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렇듯 이번 밀양 일자리 모델은 노·사·민·정 모든 경제주체의 대타협을 토대로 지속적으로 지역 주민과 뿌리기업 간 상생 도모를 통해 뿌리산업계의 오랜 숙원인 입지문제를 해결하면서 지역과 동반성장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모델이 성공적으로 정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역 경제주체 간 약속을 이행하기 위한 기업들의 적극적 투자와 양보가 필요하겠지만, 협약 내용이 구체화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다지는 정부의 체계적인 정책적 지원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최근 정부는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을 발표했다. 제조업 부흥을 위해서 뿌리산업 발전이 필수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모든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뿌리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기술력뿐만 아니라 지역 뿌리산업계의 안정된 일자리 생태계 조성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요인들을 고려한 ‘밀양형 일자리’ 모델이 조기 정착해 다른 지역에도 보급·확산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