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제약업종 잇단 악재로 상반기에 시총 4조원 감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오롱티슈진·에이치엘비 등 '줄악재'에 투자심리 '꽁꽁'
올해 상반기 코스닥 시장의 제약(바이오) 업종 시가총액이 4조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시장 업종 중 시총 감소 규모가 제일 크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코스닥 제약 업종 시총은 28조9천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4조1천억원(12.3%) 줄었다.
제약 업종 소속 상장종목은 지난해 말 83개에서 올해 6월 말 86개로 3개 늘었지만 시총은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사별로 보면 제약 업종 소속 종목 가운데 시총 규모가 가장 큰 메디톡스는 올해 상반기 시총이 7천억원 줄었고 셀트리온제약은 6천억원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말 2조6천억원이던 코오롱티슈진의 시총은 5월 29일 '인보사' 사태로 주식 거래가 정지되기 직전 이미 5천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올해 상반기 제약업 시총 감소액은 코스닥 업종 중 1위다.
제약업 다음으로는 비금속(-3조8천억원), 기타서비스(-1조7천억원), 오락·문화(-1조2천억원), 운송장비·부품(-1조2천억원) 등 순으로 감소 규모가 컸다.
반면 반도체 업종은 시총이 4조2천억원 늘어 증가 규모가 가장 컸고 IT부품(2조9천억원), 통신장비(2조7천억원), 일반전기전자(2조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제약 업종에는 코스닥 시총 1위인 셀트리온헬스케어 등이 포함돼 있지 않다.
거래소의 업종 분류에서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유통', 신라젠·헬릭스미스는 '기타서비스', 에이치엘비는 '운송장비·부품' 업종에 각각 소속돼 있다.
결국 시장에서 사실상 제약·바이오주로 인식되는 종목들까지 고려하면 제약 관련 시총 감소 규모는 훨씬 더 크다.
당장 올해 상반기에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시총은 2조5천억원 줄었고 신라젠(-1조6천억원), 헬릭스미스(-1조4천억원), 에이치엘비(-1조7천억원) 등도 1조원 이상 감소했다.
이들 4개사의 시총 감소분만 7조2천억원에 달한다.
제약·바이오주의 부진은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사건에 이어 올해도 악재가 잇따라 터졌기 때문이다.
코오롱생명과학 자회사인 코오롱티슈진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품목 허가를 받은 골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의 주성분 중 하나가 애초의 연골세포가 아닌 신장세포라는 사실이 지난 3월 공개되며 제품의 유통·판매가 중단됐고 이후 주가는 급락했다.
현재 코오롱티슈진은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올라 거래가 정지된 상태다.
최악의 경우 상장폐지가 될 수도 있는 처지다.
또 에이치엘비는 신약 '리보세라닙' 임상 과정에서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허가 신청을 내기 어려울 것이라는 소식이 지난달 27일 전해졌다.
이런 부정적인 문제가 터질 때는 해당 종목뿐만 아니라 불안감이 퍼지면서 제약·바이오주가 대체로 동반 하락하곤 한다.
당분간 제약·바이오주는 코스닥의 주도주 역할을 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한때는 기술수출 계약 등 호재가 터지면 시장이 함께 움직이며 랠리가 펼쳐지기도 했지만 앞으로는 과거와 같은 강도로 이런 현상이 반복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증권가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인보사 사태 등을 거치며 임상실험에 대한 막연한 기대보다는 객관적 데이터와 최종 결과물에 대한 확인을 요구하는 신중한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달 1일 유한양행이 베링거인겔하임과 1조원이 넘는 규모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기술이전 계약을 공시했지만 제약·바이오주의 동반 주가 급등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이제는 투자자들의 시선이 매우 냉혹하고 차가워졌다"며 "글로벌 신약개발 같은 경우 확실한 증거를 제시해야 하는데 예를 들면 비전 있는 임상 데이터나 대규모 계약금이 포함된 라이선스 계약 체결 등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올해 상반기 코스닥 시장의 제약(바이오) 업종 시가총액이 4조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시장 업종 중 시총 감소 규모가 제일 크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코스닥 제약 업종 시총은 28조9천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4조1천억원(12.3%) 줄었다.
제약 업종 소속 상장종목은 지난해 말 83개에서 올해 6월 말 86개로 3개 늘었지만 시총은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사별로 보면 제약 업종 소속 종목 가운데 시총 규모가 가장 큰 메디톡스는 올해 상반기 시총이 7천억원 줄었고 셀트리온제약은 6천억원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말 2조6천억원이던 코오롱티슈진의 시총은 5월 29일 '인보사' 사태로 주식 거래가 정지되기 직전 이미 5천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올해 상반기 제약업 시총 감소액은 코스닥 업종 중 1위다.
제약업 다음으로는 비금속(-3조8천억원), 기타서비스(-1조7천억원), 오락·문화(-1조2천억원), 운송장비·부품(-1조2천억원) 등 순으로 감소 규모가 컸다.
반면 반도체 업종은 시총이 4조2천억원 늘어 증가 규모가 가장 컸고 IT부품(2조9천억원), 통신장비(2조7천억원), 일반전기전자(2조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제약 업종에는 코스닥 시총 1위인 셀트리온헬스케어 등이 포함돼 있지 않다.
거래소의 업종 분류에서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유통', 신라젠·헬릭스미스는 '기타서비스', 에이치엘비는 '운송장비·부품' 업종에 각각 소속돼 있다.
결국 시장에서 사실상 제약·바이오주로 인식되는 종목들까지 고려하면 제약 관련 시총 감소 규모는 훨씬 더 크다.
당장 올해 상반기에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시총은 2조5천억원 줄었고 신라젠(-1조6천억원), 헬릭스미스(-1조4천억원), 에이치엘비(-1조7천억원) 등도 1조원 이상 감소했다.
이들 4개사의 시총 감소분만 7조2천억원에 달한다.
제약·바이오주의 부진은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사건에 이어 올해도 악재가 잇따라 터졌기 때문이다.
코오롱생명과학 자회사인 코오롱티슈진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품목 허가를 받은 골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의 주성분 중 하나가 애초의 연골세포가 아닌 신장세포라는 사실이 지난 3월 공개되며 제품의 유통·판매가 중단됐고 이후 주가는 급락했다.
현재 코오롱티슈진은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올라 거래가 정지된 상태다.
최악의 경우 상장폐지가 될 수도 있는 처지다.
또 에이치엘비는 신약 '리보세라닙' 임상 과정에서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허가 신청을 내기 어려울 것이라는 소식이 지난달 27일 전해졌다.
이런 부정적인 문제가 터질 때는 해당 종목뿐만 아니라 불안감이 퍼지면서 제약·바이오주가 대체로 동반 하락하곤 한다.
당분간 제약·바이오주는 코스닥의 주도주 역할을 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한때는 기술수출 계약 등 호재가 터지면 시장이 함께 움직이며 랠리가 펼쳐지기도 했지만 앞으로는 과거와 같은 강도로 이런 현상이 반복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증권가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인보사 사태 등을 거치며 임상실험에 대한 막연한 기대보다는 객관적 데이터와 최종 결과물에 대한 확인을 요구하는 신중한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달 1일 유한양행이 베링거인겔하임과 1조원이 넘는 규모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기술이전 계약을 공시했지만 제약·바이오주의 동반 주가 급등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이제는 투자자들의 시선이 매우 냉혹하고 차가워졌다"며 "글로벌 신약개발 같은 경우 확실한 증거를 제시해야 하는데 예를 들면 비전 있는 임상 데이터나 대규모 계약금이 포함된 라이선스 계약 체결 등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