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골 깊어지는 한·일간 감정 악화가 더 큰 문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 무시' 대놓고 드러낸 日 정부, 억지주장에 감정자극까지
韓 산업구조 약점 잡고 "해볼 테면 해봐라"…좁은 속 드러내
"잘못 건드렸다" 후회하게 할 당당하고 성숙한 대응 힘 모아야
韓 산업구조 약점 잡고 "해볼 테면 해봐라"…좁은 속 드러내
"잘못 건드렸다" 후회하게 할 당당하고 성숙한 대응 힘 모아야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해 일방적인 경제보복 조치를 발동한 데 이어 노골적으로 한국 정부를 무시하는 공세까지 펼치고 있다. 지난 12일 도쿄에서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를 놓고 열린 한·일 정부 실무회의는 두 나라 간 갈등이 ‘심리전’ 차원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일본 측은 회의 장소를 파손된 기자재들이 뒹구는 창고로 잡고 물 한 잔 내주지 않는 등 온갖 결례를 저질렀다. 회의가 끝난 뒤에도 “한국 측으로부터 (규제) 철회 요구가 없었다”는 등의 딴소리로 일관해 한국의 감정을 자극했다.
일본이 한국 정부를 이렇게까지 얕잡아 대하는 데는 그 나름의 계산이 깔려 있을 것이다. ‘강한 일본’을 내건 아베 신조 정권이기에 ‘한국 길들이기’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지지층 결집 등 정치적으로 호재라는 판단이 작용했을 수 있다. 국제 외교무대에서 한국 정부보다 더 탄탄하게 구축해놓은 네트워크가 ‘뒷심’이 돼 줄 것이란 판단도 빼놓았을 리 없다. 한마디로 ‘힘의 우위’를 바탕으로 이참에 한국을 제대로 찍어 눌러보자는 종합적인 계산 위에서 치밀한 시나리오로 한국 정부와 국민들을 자극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상황은 일본의 전략이 크게 빗나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국제사회에 일본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중재를 요청하고 있는 우리 정부의 노력이 당장 성과를 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와 데이비드 스틸웰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등이 “동맹 간 틈이 있으면 안 된다”면서도 “양측을 중재할 계획이 없다”고 말한 게 심상치 않다.
이런 상황에 힘입은 듯 일본은 경제공격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일본은 12일 양국 실무회의에서 “한국을 수출 우대국 목록(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것을 강행하겠다”고 통보했다. 일본 정부가 ‘강공’을 펴는 데는 확산되는 ‘혐한(嫌韓) 감정’이 일조하고 있다는 게 걱정스럽다. 일본 TBS방송사가 최근 자국민에게 대한(對韓) 수출제한 조치에 대한 의견을 물었더니 58%가 ‘타당하다’고 응답했다는 조사결과가 예사롭지 않다.
이런 일본에 대해 한국인의 감정도 좋을 리 없다. 대일(對日) 규탄 시위를 넘어 일본상품 불매운동으로까지 불이 붙고 있다. 한국인들의 일본 여행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저비용항공사의 일본 왕복 전세기 운항이 중단되기도 했다.
한국 법원의 일본 식민지 시절 징용공들에 대한 유관 기업 배상 판결과 이에 대한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보다 더 심각하고 우려스러운 게 두 나라 국민들 간 적대감정 악화다. 징용공 문제나 경제보복 조치는 양국 간 담판이나 국제사회 중재를 통해 해결할 수 있지만, 국민 사이에 깊어진 감정의 골을 치유하는 건 그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아베 총리가 “한국은 믿을 수 없는 나라”라는 독설로 자국 국민을 자극하고 있다고 해서 우리마저 치졸하게 대응하는 것은 삼갈 필요가 있다. 국제사회에 우리의 대의(大義)를 설득하고 일본 내 양식 있는 지식인들을 진정한 성찰의 길로 이끌어낼 당당하고 성숙한 대응방법을 모색하는 게 시급하다. 그런 방법을 찾아내는 게 쉬운 일이 아니겠지만, 그럴수록 냉정하고 이성적인 대응을 통해 장기적인 한·일 관계 설정에서 도덕적 우위에 설 발판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
일본이 한국 정부를 이렇게까지 얕잡아 대하는 데는 그 나름의 계산이 깔려 있을 것이다. ‘강한 일본’을 내건 아베 신조 정권이기에 ‘한국 길들이기’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지지층 결집 등 정치적으로 호재라는 판단이 작용했을 수 있다. 국제 외교무대에서 한국 정부보다 더 탄탄하게 구축해놓은 네트워크가 ‘뒷심’이 돼 줄 것이란 판단도 빼놓았을 리 없다. 한마디로 ‘힘의 우위’를 바탕으로 이참에 한국을 제대로 찍어 눌러보자는 종합적인 계산 위에서 치밀한 시나리오로 한국 정부와 국민들을 자극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상황은 일본의 전략이 크게 빗나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국제사회에 일본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중재를 요청하고 있는 우리 정부의 노력이 당장 성과를 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와 데이비드 스틸웰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등이 “동맹 간 틈이 있으면 안 된다”면서도 “양측을 중재할 계획이 없다”고 말한 게 심상치 않다.
이런 상황에 힘입은 듯 일본은 경제공격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일본은 12일 양국 실무회의에서 “한국을 수출 우대국 목록(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것을 강행하겠다”고 통보했다. 일본 정부가 ‘강공’을 펴는 데는 확산되는 ‘혐한(嫌韓) 감정’이 일조하고 있다는 게 걱정스럽다. 일본 TBS방송사가 최근 자국민에게 대한(對韓) 수출제한 조치에 대한 의견을 물었더니 58%가 ‘타당하다’고 응답했다는 조사결과가 예사롭지 않다.
이런 일본에 대해 한국인의 감정도 좋을 리 없다. 대일(對日) 규탄 시위를 넘어 일본상품 불매운동으로까지 불이 붙고 있다. 한국인들의 일본 여행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저비용항공사의 일본 왕복 전세기 운항이 중단되기도 했다.
한국 법원의 일본 식민지 시절 징용공들에 대한 유관 기업 배상 판결과 이에 대한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보다 더 심각하고 우려스러운 게 두 나라 국민들 간 적대감정 악화다. 징용공 문제나 경제보복 조치는 양국 간 담판이나 국제사회 중재를 통해 해결할 수 있지만, 국민 사이에 깊어진 감정의 골을 치유하는 건 그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아베 총리가 “한국은 믿을 수 없는 나라”라는 독설로 자국 국민을 자극하고 있다고 해서 우리마저 치졸하게 대응하는 것은 삼갈 필요가 있다. 국제사회에 우리의 대의(大義)를 설득하고 일본 내 양식 있는 지식인들을 진정한 성찰의 길로 이끌어낼 당당하고 성숙한 대응방법을 모색하는 게 시급하다. 그런 방법을 찾아내는 게 쉬운 일이 아니겠지만, 그럴수록 냉정하고 이성적인 대응을 통해 장기적인 한·일 관계 설정에서 도덕적 우위에 설 발판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