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 '배터리 소재 꿈'…양극재 광양공장 1단계 준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年 6000t 규모 생산설비
"미래 전기차 수요 선제대응"
"미래 전기차 수요 선제대응"
포스코케미칼이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 공장을 증설했다. 급속히 커지고 있는 전기자동차 시장을 겨냥한 투자다.
이 회사는 전남 광양 율촌산업단지 내 양극재 광양공장의 1단계 생산설비를 준공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연간 생산량 6000t 규모다. 가동 중인 경북 구미공장을 포함해 연산 1만5000t의 양극재 생산체제를 갖추게 됐다. 양극재 6000t은 60㎾급 전기차 배터리 5만 대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포스코케미칼은 지난해 8월부터 율촌산단에 축구장 20개 크기인 16만5203㎡ 규모의 양극재 공장을 조성하고 있다. 이번 1단계에 이어 2020년 3월 연산 2만4000t 규모의 2단계 증설을 마칠 예정이다. 추가 증설이 끝나면 광양공장 생산 능력은 총 3만t으로 늘어난다. 광양공장을 연산 8만t 규모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양극재는 음극재·분리막·전해액 등과 함께 4대 배터리 핵심 소재로 꼽힌다. 배터리 용량과 출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재다. 배터리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 이상으로 알려졌다. 배터리 용량 ㎾당 2㎏의 양극재가 들어간다. t당 가격은 2000만원 안팎이다.
양극재는 원재료에 따라 리튬코발트산화물(LCO),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니켈·망간·코발트(NCM)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전기차에는 성능이 높은 NCM계 양극재가 많이 쓰인다.
포스코케미칼 광양공장은 NCM계 라인이다.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재 수주 기반을 본격 확보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규모는 빠르게 커질 전망이다. 지난해 197만 대에서 2025년 1170만 대로 연평균 33% 이상씩 성장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양극재 시장 규모도 같은 기간 91억달러(약 11조원)에서 296억달러(약 35조원)로 커질 것이란 관측이다.
포스코케미칼은 세종에 연산 7만4000t 규모 음극재 생산설비 구축에 들어가는 등 배터리 소재를 집중 육성하고 있다. 2021년 에너지소재부문 매출 목표는 1조4000억원이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
이 회사는 전남 광양 율촌산업단지 내 양극재 광양공장의 1단계 생산설비를 준공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연간 생산량 6000t 규모다. 가동 중인 경북 구미공장을 포함해 연산 1만5000t의 양극재 생산체제를 갖추게 됐다. 양극재 6000t은 60㎾급 전기차 배터리 5만 대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포스코케미칼은 지난해 8월부터 율촌산단에 축구장 20개 크기인 16만5203㎡ 규모의 양극재 공장을 조성하고 있다. 이번 1단계에 이어 2020년 3월 연산 2만4000t 규모의 2단계 증설을 마칠 예정이다. 추가 증설이 끝나면 광양공장 생산 능력은 총 3만t으로 늘어난다. 광양공장을 연산 8만t 규모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양극재는 음극재·분리막·전해액 등과 함께 4대 배터리 핵심 소재로 꼽힌다. 배터리 용량과 출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재다. 배터리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 이상으로 알려졌다. 배터리 용량 ㎾당 2㎏의 양극재가 들어간다. t당 가격은 2000만원 안팎이다.
양극재는 원재료에 따라 리튬코발트산화물(LCO),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니켈·망간·코발트(NCM)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전기차에는 성능이 높은 NCM계 양극재가 많이 쓰인다.
포스코케미칼 광양공장은 NCM계 라인이다.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재 수주 기반을 본격 확보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규모는 빠르게 커질 전망이다. 지난해 197만 대에서 2025년 1170만 대로 연평균 33% 이상씩 성장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양극재 시장 규모도 같은 기간 91억달러(약 11조원)에서 296억달러(약 35조원)로 커질 것이란 관측이다.
포스코케미칼은 세종에 연산 7만4000t 규모 음극재 생산설비 구축에 들어가는 등 배터리 소재를 집중 육성하고 있다. 2021년 에너지소재부문 매출 목표는 1조4000억원이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