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가 만들고 있는 신개념 우주정거장 ‘달 궤도 플랫폼 게이트웨이’ / NASA 제공
NASA가 만들고 있는 신개념 우주정거장 ‘달 궤도 플랫폼 게이트웨이’ / NASA 제공
인류가 달에 처음 발을 내디딘 지 50주년이다. ‘달 탐사’를 두고 각국의 경쟁이 뜨겁다. 우주개발의 헤게모니도 공공에서 민간으로 급격히 옮겨가는 추세다.

○후끈 달아오른 글로벌 문 레이스

달 탐사 레이스에 참여하고 있는 나라는 다양하다. 전통의 강국 미국 중국에 이스라엘 인도 등 신흥국이 가세했다. 미국은 2025년까지 신개념 우주정거장 ‘달 궤도 플랫폼-게이트웨이’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곳은 도킹용 우주선이자 우주비행사 생활공간이다. 달 탐사뿐 아니라 화성 등 기타 태양계 위성, 소행성 탐사 등을 하기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하게 된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로 더 멀리 가기 위해 우주정거장은 (비행사가 오가는 기간을) 며칠로 줄여야 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다.

중국은 올 들어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달 뒷면 연착륙에 성공하면서 우주 개발에 대한 분위기가 한층 달아올랐다. 2025년엔 유인 달 탐사를 성공시키겠다고 선언했다. 그동안 경제 사정으로 달 탐사를 중단했던 러시아도 내년께 재개할 계획을 세웠다.

지난 4월엔 이스라엘의 민간 달 탐사선 ‘베레시트’가 달 소프트랜딩(연착륙)을 시도했다. 이 탐사선은 착륙 지점을 불과 10여㎞ 앞두고 엔진 고장으로 궤도를 이탈했다. 미국 러시아 중국에 이어 네 번째 달 연착륙에 성공한 나라로 기록되기 직전 실패했다.

각국이 달로 숨가쁘게 향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지구와 가장 가까운 천체 분석을 통해 다른 태양계 위성으로 탐사 공간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궁극적으로는 지구 밖에 새 거주 공간을 마련하는 게 목표다. 가깝게는 달 탐사로부터 얻는 파생기술이 어마어마하다. 자율주행 정밀항법기술, 통신기술 등이다. 탐사 임무를 수행하는 미세 감지(센싱)기술은 재난현장에서 인명구조용으로 쓰인다. 자원 탐사도 주요한 목적이다. 2009년 NASA는 달에 충돌용 탐사선을 보내 달 남극 주위에 물이 엄청나게 많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

○글로벌 기업이 우주 탐사 주도

글로벌 주요 기업은 달 탐사의 이 같은 부가가치를 일찌감치 파악했다. 2000년대를 전후한 시점부터 달 탐사 레이스를 벌이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우주개발기업 스페이스 X가 촉발한 민간 우주 탐사 트렌드다. 스페이스X는 로켓을 빌려주고 민간기업의 우주 탐사를 독려하고 있다. 이스라엘 베레시트도 스페이스X의 로켓 ‘팰컨’에 실려 우주로 떠났다.

누가 더 로켓을 저렴하게, 위성을 가볍게 만드느냐를 두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세계 최대 물류기업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의 우주개발기업 블루 오리진은 재활용 상업로켓 ‘뉴 글렌’을 한창 개발 중이다. 스페이스X의 로켓 ‘팰컨’을 겨냥했다. 블루오리진은 2015년 4월 재활용 로켓을 스페이스X보다 우주로 먼저 쏘아올린 바 있다.

달 탐사는 우주여행으로 확장됐다. 리처드 브랜슨 영국 버진그룹 회장의 우주개발기업 버진갤럭틱은 지난 2월 자사의 유인탐사선 ‘스페이스십2’에 일반 승객을 태우고 우주 왕복여행을 하는 데 성공했다. 고도 110㎞까지 올라가 무중력 상태를 체험하고 다시 돌아오는 여행코스다. 2014년 한 차례 사고에도 불구하고 끈질긴 도전 끝에 다시 성공시켰다.

○한국 우주기술 담당 부처 고작 ‘1개 과’

프랑스 툴루즈에 본사를 둔 유럽연합(EU)의 우주개발 및 방위사업 연합체 에어버스는 수십~수백 개의 위성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소형위성군을 활용해 전 지구를 커버하는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인텔 IBM 엔비디아 등 정보기술(IT)기업과 록히드마틴, 스페이스리소스 등 민간 항공우주기업 간 밀월관계도 강화되고 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우주 탐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공공, 민간 양쪽 부문에서 달 탐사 레이스에 소외돼 있다. 일러야 2030년 달 탐사선 자력 발사가 가능할 전망이다. 우주개발을 총괄하는 정부 부처 위상을 격상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주기술 담당 부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 내 단 한 곳뿐이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