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금융 보복' 예의주시…정부, 은행·카드사 빌린 '20조원' 점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금 100% 회수 등 보복 창구로 활용할 수도
기업 피해 시 유동성 공급…"선제적 대응책 마련"
기업 피해 시 유동성 공급…"선제적 대응책 마련"
국내은행과 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사들이 일본으로부터 조달한 자금이 175억6000만달러(20조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핵심은 국내 은행이 차입한 92억6000만달러(10조6000억원)다.
금융당국은 일본이 경제보복이 금융 분야로 확대할 가능성을 염두해 일본계 자금의 만기 상황을 확인하고 비상계획을 마련 중이다. 갈등이 격화될 경우 긴급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22일 금융당국과 더불어민주당 전해철 의원실에 따르면 한국으로 들어온 일본계 자금은 최대 52조9000억원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6월 말 기준 일본 투자자가 보유한 국내 주식(2억9600만주)은 13조원 상당, 채권 1조6000억원 상당이다. 여기에 지난해 말 기준 국제투자대조표 기타투자 가운데 일본 투자액 13조6000억원(118억달러), 5월 말 기준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의 여신 24조7000억원도 있다.
여신전문금융사와 국내 은행이 조달한 일본계 외화차입금은 6월 말 기준 20조2000억원에 달한다. 은행과 여전사들이 일본 본토 은행과 일본계 은행 국내 지점으로부터 조달한 대출이나 외화채권이다.
국내 은행과 카드사들은 그동안 저금리인 일본 자금을 들여와 대출 등 영업 재원으로 활용했다. 10조6000억원 상당은 은행이, 9조5000억원 상당은 여전사가 들여왔다. 수신 기능이 없는 여전사의 일본 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특히 높았다.
은행과 카드사들이 조달한 20조2000억원 상당의 자금이 문제다. 일본이 금융 분야로 보복을 확대할 경우 이 자금을 창구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계 금융사들이 신규 대출과 만기 연장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 과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도 일본계 금융사들이 한국으로 흘러간 자금을 회수하면서 위기를 악화시킨 적이 있다.
다만 국내 금융사들의 신용등급이 높아 일본이 자금을 회수해도 자금 차환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 돈을 돌려줘도 다른 곳에서 돈을 빌리는 데 어려움이 없다는 의미다.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이 국내에 직접 대출한 여신 24조7000억원도 눈 여겨볼 부분이다. 제조업 분야로 흘러간 대출 8조7000억원과 도소매업체로 흘러간 대출 2조8000억원은 직접 대출이기 때문에 회수 시 혼란이 생길 수 있다.
금융당국은 일본계 자금의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일본계 조달 대출과 외화채권 만기도래 현황을 확인하고 있다.
일본이 금융 분야로 규제를 확대할 경우를 대비해 금융 지원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대출이나 보증 등의 형태로 긴급 유동성을 공급하는 게 대표적이다.
하반기 공급 예정인 10조원 규모의 정책금융 자금과 7조5000억원 상당의 무역금융 자금을 우선 활용하게 된다. 필요할 경우 추가 재원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금융당국은 일본이 경제보복이 금융 분야로 확대할 가능성을 염두해 일본계 자금의 만기 상황을 확인하고 비상계획을 마련 중이다. 갈등이 격화될 경우 긴급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22일 금융당국과 더불어민주당 전해철 의원실에 따르면 한국으로 들어온 일본계 자금은 최대 52조9000억원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6월 말 기준 일본 투자자가 보유한 국내 주식(2억9600만주)은 13조원 상당, 채권 1조6000억원 상당이다. 여기에 지난해 말 기준 국제투자대조표 기타투자 가운데 일본 투자액 13조6000억원(118억달러), 5월 말 기준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의 여신 24조7000억원도 있다.
여신전문금융사와 국내 은행이 조달한 일본계 외화차입금은 6월 말 기준 20조2000억원에 달한다. 은행과 여전사들이 일본 본토 은행과 일본계 은행 국내 지점으로부터 조달한 대출이나 외화채권이다.
국내 은행과 카드사들은 그동안 저금리인 일본 자금을 들여와 대출 등 영업 재원으로 활용했다. 10조6000억원 상당은 은행이, 9조5000억원 상당은 여전사가 들여왔다. 수신 기능이 없는 여전사의 일본 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특히 높았다.
은행과 카드사들이 조달한 20조2000억원 상당의 자금이 문제다. 일본이 금융 분야로 보복을 확대할 경우 이 자금을 창구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계 금융사들이 신규 대출과 만기 연장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 과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도 일본계 금융사들이 한국으로 흘러간 자금을 회수하면서 위기를 악화시킨 적이 있다.
다만 국내 금융사들의 신용등급이 높아 일본이 자금을 회수해도 자금 차환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 돈을 돌려줘도 다른 곳에서 돈을 빌리는 데 어려움이 없다는 의미다.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이 국내에 직접 대출한 여신 24조7000억원도 눈 여겨볼 부분이다. 제조업 분야로 흘러간 대출 8조7000억원과 도소매업체로 흘러간 대출 2조8000억원은 직접 대출이기 때문에 회수 시 혼란이 생길 수 있다.
금융당국은 일본계 자금의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일본계 조달 대출과 외화채권 만기도래 현황을 확인하고 있다.
일본이 금융 분야로 규제를 확대할 경우를 대비해 금융 지원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대출이나 보증 등의 형태로 긴급 유동성을 공급하는 게 대표적이다.
하반기 공급 예정인 10조원 규모의 정책금융 자금과 7조5000억원 상당의 무역금융 자금을 우선 활용하게 된다. 필요할 경우 추가 재원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