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사고픈 해외주식 1위는 '월트디즈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름 휴가를 떠나기 앞서 매수하고 싶은 해외 주식으로 콘텐츠 왕국 월트 디즈니가 1위에 선정됐다. 자녀에게 물려주고 싶은 장기 투자 종목으로는 온라인 유통 최강자 아마존이 첫 손에 꼽혔다.
삼성증권은 최근 해외주식 투자 설명회에 참석한 일반 투자자 4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발표했다. ‘여름 휴가 전 사둘 만한 해외 주식’을 묻는 질문엔 디즈니가 응답률 20.9%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마이크로소프트(15.1%), 아마존(10.3%), 비자(9.1%), 우버·소프트뱅크(각 6.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디즈니는 세계 1위 온라인동영상스트리밍(OTT) 사업자 넷플릭스의 대항마로 ‘디즈니플러스’를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지난 4월 발표하면서 주가가 급등세를 탔다. 디즈니는 4월 이후에만 30% 가량 상승해 23일(현지시간) 141.26달러에 장을 마쳤다.
디즈니가 올 들어 ‘어벤져스 엔드게임’‘알라딘’‘라이온킹’ 등 흥행 대작을 잇따라 선보이면서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렸다는 분석도 나온다. 설문에 참여한 한 투자자는 “최근 흥행한 영화가 디즈니 작품 일색인 것을 보고 영화 관람이 늘어나는 휴가철 투자처로 이만한 게 없다고 판단했다”며 “미·중 무역분쟁 등 대외변수의 영향을 덜 타는 소비주라는 점도 매력적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자녀에게 물려줄만한 장기 투자 주식’으로는 아마존을 선택한 투자자가 21.3%로 가장 많았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각 14.0%), 디즈니(11.8%)는 휴가철 투자처에 이어 장기 투자 종목으로도 꼽혔다.
아마존은 미국 내 온라인 상거래 점유율 63%에 달하는 유통 최강자로 자리매김했다. 1997년 상장 당시 1.7달러였던 주가가 현재 1994.49달러까지 치솟았다. 대표 소프트웨어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도 클라우드 사업의 호조로 2015년 이후 주가가 꾸준하게 오르면서 연평균 15% 가량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투자 비중을 늘리고 싶은 지역’으로는 미국을 선택한 투자자가 53.1%를 차지했다. ‘해외주식 투자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다양한 형식의 투자정보’(72.7%)를 가장 많이 들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삼성증권은 최근 해외주식 투자 설명회에 참석한 일반 투자자 4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발표했다. ‘여름 휴가 전 사둘 만한 해외 주식’을 묻는 질문엔 디즈니가 응답률 20.9%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마이크로소프트(15.1%), 아마존(10.3%), 비자(9.1%), 우버·소프트뱅크(각 6.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디즈니는 세계 1위 온라인동영상스트리밍(OTT) 사업자 넷플릭스의 대항마로 ‘디즈니플러스’를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지난 4월 발표하면서 주가가 급등세를 탔다. 디즈니는 4월 이후에만 30% 가량 상승해 23일(현지시간) 141.26달러에 장을 마쳤다.
디즈니가 올 들어 ‘어벤져스 엔드게임’‘알라딘’‘라이온킹’ 등 흥행 대작을 잇따라 선보이면서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렸다는 분석도 나온다. 설문에 참여한 한 투자자는 “최근 흥행한 영화가 디즈니 작품 일색인 것을 보고 영화 관람이 늘어나는 휴가철 투자처로 이만한 게 없다고 판단했다”며 “미·중 무역분쟁 등 대외변수의 영향을 덜 타는 소비주라는 점도 매력적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자녀에게 물려줄만한 장기 투자 주식’으로는 아마존을 선택한 투자자가 21.3%로 가장 많았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각 14.0%), 디즈니(11.8%)는 휴가철 투자처에 이어 장기 투자 종목으로도 꼽혔다.
아마존은 미국 내 온라인 상거래 점유율 63%에 달하는 유통 최강자로 자리매김했다. 1997년 상장 당시 1.7달러였던 주가가 현재 1994.49달러까지 치솟았다. 대표 소프트웨어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도 클라우드 사업의 호조로 2015년 이후 주가가 꾸준하게 오르면서 연평균 15% 가량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투자 비중을 늘리고 싶은 지역’으로는 미국을 선택한 투자자가 53.1%를 차지했다. ‘해외주식 투자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다양한 형식의 투자정보’(72.7%)를 가장 많이 들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