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쏜 北, 南 탓만 쏟아내…'북한판 대미집중외교' 본격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협상 의식해 대미 비난 절제…南 '한미공조 우선 정책'에 기대 접은 듯
북한은 26일 전날 강행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한미 군사연습과 남측의 신형 군사장비 도입에 대한 '위력시위'라며 남한 당국을 집중적으로 비난해 주목된다.
26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미사일 발사 현장을 직접 찾아 남측 당국을 향해 거친 비난을 쏟아내지만, 미국에 대해서는 극도로 절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김정은 위원장은 "남조선 당국자가 사태발전 전망의 위험성을 제때 깨닫고 최신무기반입이나 군사연습과 같은 자멸적 행위를 중단하고 하루빨리 지난해 4월과 9월과 같은 바른 자세를 되찾기 바란다는 권언을 남쪽을 향해 오늘의 위력시위사격 소식과 함께 알린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심지어 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의 이 발언을 소개하고 "아무리 비위가 거슬려도 남조선 당국자는 오늘의 평양발 경고를 무시해버리는 실수를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남조선 당국자'는 사실상 문재인 대통령을 겨냥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김정은 위원장의 발언은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열린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4.12)에서 남측을 향해 직격탄을 쏟아낸 것의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다. 당시 김 위원장은 남측을 향해 "오지랖 넓은 '중재자', '촉진자' 행세를 할 것이 아니라 민족의 일원으로서 제 정신을 가지고 제가 할 소리는 당당히 하면서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되어야 한다"며 "말로서가 아니라 실천적 행동으로 그 진심을 보여주는 용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하노이 '노딜' 이후 남북 간 대화와 협력을 외면하는 가운데 남측을 향해 '권언', '알린다' 등의 표현을 사용해 문재인 정부의 정책 전환의 결단을 촉구한 셈이다.
이런 태도에는 지난해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에도 남북관계가 미국 주도의 대북제재로 한발짝도 진척되지 못하는 현재 상황에 대한 불만이 담겼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작년 정부는 남북 간에 합의하고도 대북제재를 이유로 독감(인플루엔자) 치료제 타미플루 같은 초보적 인도적 지원 마저 지원 시기를 놓치고 독감 시즌이 끝난 봄에 지원하겠다는 일까지 있었다.
북한은 이런 상황에 대해 불만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북한이 자연재해 등에 따른 식량난으로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하면서도 남측의 지원을 받지 않으려는 속내를 보이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관측된다.
실제로 각국 구호단체는 북한을 방문해 지원 활동을 하고 있지만, 남측의 대북지원 단체는 제대로 된 활동을 못 하는 상황이다.
북측과 교섭뿐 아니라 방북 활동도 중단됐고 지원도 제3국을 통하는 등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비핵화 현안 역시 남측의 중재로 북미 협상과 관계 개선을 진척시킬 수 있다고 기대하며 핵시설의 상징인 영변 폐기 등을 9월 평양선언에 적시했으나 하노이 회담 결렬로 물거품이 돼버렸다.
사실 북한은 김정일 체제 때만 해도 핵 문제는 미국과 논의할 사안이라며 남북대화 테이블에 의제로 상정하는 것조차 터부시했지만, 김정은 위원장은 남쪽의 조력을 기대하며 남북정상회담 합의문에도 비핵화를 명시하는 전향성을 보였다.
결국 문 대통령과 협력하면 북미 비핵화 협상도, 남북관계의 진전도 이뤄질 수 있다는 '야심 찬 꿈'이 사라져버리면서 김정은 위원장의 입장에서 실망이 그만큼 컸고 그 책임을 남측 당국에 돌리는 셈이다. 북한이 이날 한미 군사연습 및 미 첨단군사 장비의 한국 반입에 대한 반발이라고 적시하면서도 그 책임을 남측에만 돌리는 대신 미국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우회적 언급에 그친 데서 잘 드러난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번 미사일 발사 목적과 관련, "또한 이 위력시위사격이 목적한 대로 겨냥한 일부 세력들에게는 해당한 불안과 고민을 충분히 심어주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의 사거리가 주일미군기지에 대한 타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일부 세력'은 미국과 일본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는 '고민'을, 일본에는 '불안'을 주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남북 공조' 대신 한미공조가 우선하는 현실을 직시하면서 더이상 남측에 대한 '미련'을 접고 북미 협상에 올인하겠다는 전략을 세우면서 미국을 자극하지 않으려고 절제하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미국에 대해 일언반구 없이 남측에 대해서만 격한 비난을 쏟아낸 것은 북한이 하노이 노딜 이후 '대미 집중 외교'로 전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하노이 회담 실패 이후 대남 대신 대미 외교를 최우선 중시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김정은 정권도 미국과 관계를 개선해야 경제발전이든, 남북관계 개선이든 가능할 것이라는 판단 아래 북한판 대미집중외교 정책을 펴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남북대화는 좀 시간이 걸리겠고 순서로 보면 북미 이후에 남북대화가 열릴 것으로 생각한다"며 "특히 지금까지 남측에 대한 섭섭함의 강도를 높이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26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미사일 발사 현장을 직접 찾아 남측 당국을 향해 거친 비난을 쏟아내지만, 미국에 대해서는 극도로 절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김정은 위원장은 "남조선 당국자가 사태발전 전망의 위험성을 제때 깨닫고 최신무기반입이나 군사연습과 같은 자멸적 행위를 중단하고 하루빨리 지난해 4월과 9월과 같은 바른 자세를 되찾기 바란다는 권언을 남쪽을 향해 오늘의 위력시위사격 소식과 함께 알린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심지어 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의 이 발언을 소개하고 "아무리 비위가 거슬려도 남조선 당국자는 오늘의 평양발 경고를 무시해버리는 실수를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남조선 당국자'는 사실상 문재인 대통령을 겨냥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김정은 위원장의 발언은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열린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4.12)에서 남측을 향해 직격탄을 쏟아낸 것의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다. 당시 김 위원장은 남측을 향해 "오지랖 넓은 '중재자', '촉진자' 행세를 할 것이 아니라 민족의 일원으로서 제 정신을 가지고 제가 할 소리는 당당히 하면서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되어야 한다"며 "말로서가 아니라 실천적 행동으로 그 진심을 보여주는 용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하노이 '노딜' 이후 남북 간 대화와 협력을 외면하는 가운데 남측을 향해 '권언', '알린다' 등의 표현을 사용해 문재인 정부의 정책 전환의 결단을 촉구한 셈이다.
이런 태도에는 지난해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에도 남북관계가 미국 주도의 대북제재로 한발짝도 진척되지 못하는 현재 상황에 대한 불만이 담겼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작년 정부는 남북 간에 합의하고도 대북제재를 이유로 독감(인플루엔자) 치료제 타미플루 같은 초보적 인도적 지원 마저 지원 시기를 놓치고 독감 시즌이 끝난 봄에 지원하겠다는 일까지 있었다.
북한은 이런 상황에 대해 불만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북한이 자연재해 등에 따른 식량난으로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하면서도 남측의 지원을 받지 않으려는 속내를 보이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관측된다.
실제로 각국 구호단체는 북한을 방문해 지원 활동을 하고 있지만, 남측의 대북지원 단체는 제대로 된 활동을 못 하는 상황이다.
북측과 교섭뿐 아니라 방북 활동도 중단됐고 지원도 제3국을 통하는 등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비핵화 현안 역시 남측의 중재로 북미 협상과 관계 개선을 진척시킬 수 있다고 기대하며 핵시설의 상징인 영변 폐기 등을 9월 평양선언에 적시했으나 하노이 회담 결렬로 물거품이 돼버렸다.
사실 북한은 김정일 체제 때만 해도 핵 문제는 미국과 논의할 사안이라며 남북대화 테이블에 의제로 상정하는 것조차 터부시했지만, 김정은 위원장은 남쪽의 조력을 기대하며 남북정상회담 합의문에도 비핵화를 명시하는 전향성을 보였다.
결국 문 대통령과 협력하면 북미 비핵화 협상도, 남북관계의 진전도 이뤄질 수 있다는 '야심 찬 꿈'이 사라져버리면서 김정은 위원장의 입장에서 실망이 그만큼 컸고 그 책임을 남측 당국에 돌리는 셈이다. 북한이 이날 한미 군사연습 및 미 첨단군사 장비의 한국 반입에 대한 반발이라고 적시하면서도 그 책임을 남측에만 돌리는 대신 미국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우회적 언급에 그친 데서 잘 드러난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번 미사일 발사 목적과 관련, "또한 이 위력시위사격이 목적한 대로 겨냥한 일부 세력들에게는 해당한 불안과 고민을 충분히 심어주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의 사거리가 주일미군기지에 대한 타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일부 세력'은 미국과 일본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는 '고민'을, 일본에는 '불안'을 주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남북 공조' 대신 한미공조가 우선하는 현실을 직시하면서 더이상 남측에 대한 '미련'을 접고 북미 협상에 올인하겠다는 전략을 세우면서 미국을 자극하지 않으려고 절제하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미국에 대해 일언반구 없이 남측에 대해서만 격한 비난을 쏟아낸 것은 북한이 하노이 노딜 이후 '대미 집중 외교'로 전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하노이 회담 실패 이후 대남 대신 대미 외교를 최우선 중시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김정은 정권도 미국과 관계를 개선해야 경제발전이든, 남북관계 개선이든 가능할 것이라는 판단 아래 북한판 대미집중외교 정책을 펴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남북대화는 좀 시간이 걸리겠고 순서로 보면 북미 이후에 남북대화가 열릴 것으로 생각한다"며 "특히 지금까지 남측에 대한 섭섭함의 강도를 높이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