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10년여만의 금리인하 예고…통화완화 전환점 찍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0.25%P 인하 확실시…시장 관심은 '추가 인하 횟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가 확실시되면서 글로벌 통화정책이 전환점을 맞게 됐다.
연준은 오는 30~31일(현지시간)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0.25%포인트 인하를 확신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미국 기준금리는 현 2.25~2.5%에서 2.00~2.25%로 낮아지게 된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였던 지난 2008년 12월 이후로 10년7개월 만이다.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통화정책의 한 시대가 끝나게 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0.25%P 인하" 확실시…美 최장기 호황 속 '보험성 인하론'
시장에서는 인하 폭 결정만 남았다는 분위기다.
29일 현재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미국 연방기금 금리선물시장은 0.25%포인트 인하 확률을 75% 안팎 반영하고 있다.
나머지 25%가량은 0.50%포인트 인하를 기대하고 있지만, 시장의 대세는 '0.25%포인트 인하'로 기울었다.
연준 당국자들도 잇따라 0.25%포인트 인하에 무게를 실었다.
대표적인 통화 완화론자로 꼽히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최근 "인하가 필요하다"면서도 "극적인 인하로 가게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은 게 대표적이다.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준 총재도 "금리인하는 완만하고 절제되고 제한적이어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소폭의 금리 인하는 충분하지 않다"며 전폭적인 인하를 압박했지만, 현재의 탄탄한 경제여건에서 0.5%포인트 인하는 '오버'라는 평가가 많다.
글로벌 경제가 '도미노 침체'를 겪은 2008년 당시와 달리 미국 경제가 최장기 호황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성장세가 1분기 3%대에서 2분기 2%대로 감속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미국 경제는 확장하고 있고 뉴욕증시의 주요 주가지수들도 잇따라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미국 경제만 놓고 본다면 오히려 금리 인상 환경에 가까운 셈이다.
연준으로서는 금리 인하를 정당화할 수 있는 근거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향후 심화할 수 있는 미·중 무역갈등과 글로벌 경기둔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자는 '보험성 인하론'이 대표적이다.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하론'을 뒷받침하면서 가장 큰 명분으로 글로벌 연계성을 꼽았다.
유로존과 일본 같은 선진 경제권의 성장세가 둔화하는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WSJ은 "연준 수뇌부는 미국과 글로벌 경제의 연결고리가 과거보다 더 밀접해졌다고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파월의 입' 추가인하 시사하나
인하 폭을 떠나, 연준의 금리 인하는 금융위기 이후로는 처음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연준은 2008년 12월 기준금리를 0.00~0.25%로 인하하면서 사실상 '제로 금리'로 떨어뜨렸다.
이후로는 이른바 '양적 완화'(QE) 정책으로 시중에 풍부한 유동성을 공급했다.
연준은 2015년 12월 7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올린 것을 시작으로 긴축기조로 돌아섰다.
이어 2016년 1차례, 2017년 3차례, 지난해에는 4차례 각각 금리를 올렸다.
모두 0.25%포인트씩 9차례 금리를 올리면서 기준금리를 2.25~2.5%까지 끌어올렸다.
미·중 무역갈등의 불확실성이 부각된 올해 들어서는 줄곧 금리를 동결해왔다.
따라서 이번 인하는 '완화적 통화정책'으로의 기조 전환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당장은 FOMC 통화정책성명서 또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에서 추가적인 인하 신호가 어느 정도 나올지에 관심이 쏠린다.
한차례 금리를 내린 것만으로 '인하 사이클 돌입'으로 규정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이다.
연준이 몇차례 추가 인하를 시사하느냐에 따라 유럽중앙은행(ECB)을 비롯한 주요국 통화 당국도 보폭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연준은 오는 30~31일(현지시간)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0.25%포인트 인하를 확신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미국 기준금리는 현 2.25~2.5%에서 2.00~2.25%로 낮아지게 된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였던 지난 2008년 12월 이후로 10년7개월 만이다.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통화정책의 한 시대가 끝나게 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0.25%P 인하" 확실시…美 최장기 호황 속 '보험성 인하론'
시장에서는 인하 폭 결정만 남았다는 분위기다.
29일 현재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미국 연방기금 금리선물시장은 0.25%포인트 인하 확률을 75% 안팎 반영하고 있다.
나머지 25%가량은 0.50%포인트 인하를 기대하고 있지만, 시장의 대세는 '0.25%포인트 인하'로 기울었다.
연준 당국자들도 잇따라 0.25%포인트 인하에 무게를 실었다.
대표적인 통화 완화론자로 꼽히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최근 "인하가 필요하다"면서도 "극적인 인하로 가게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은 게 대표적이다.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준 총재도 "금리인하는 완만하고 절제되고 제한적이어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소폭의 금리 인하는 충분하지 않다"며 전폭적인 인하를 압박했지만, 현재의 탄탄한 경제여건에서 0.5%포인트 인하는 '오버'라는 평가가 많다.
글로벌 경제가 '도미노 침체'를 겪은 2008년 당시와 달리 미국 경제가 최장기 호황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성장세가 1분기 3%대에서 2분기 2%대로 감속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미국 경제는 확장하고 있고 뉴욕증시의 주요 주가지수들도 잇따라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미국 경제만 놓고 본다면 오히려 금리 인상 환경에 가까운 셈이다.
연준으로서는 금리 인하를 정당화할 수 있는 근거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향후 심화할 수 있는 미·중 무역갈등과 글로벌 경기둔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자는 '보험성 인하론'이 대표적이다.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하론'을 뒷받침하면서 가장 큰 명분으로 글로벌 연계성을 꼽았다.
유로존과 일본 같은 선진 경제권의 성장세가 둔화하는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WSJ은 "연준 수뇌부는 미국과 글로벌 경제의 연결고리가 과거보다 더 밀접해졌다고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파월의 입' 추가인하 시사하나
인하 폭을 떠나, 연준의 금리 인하는 금융위기 이후로는 처음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연준은 2008년 12월 기준금리를 0.00~0.25%로 인하하면서 사실상 '제로 금리'로 떨어뜨렸다.
이후로는 이른바 '양적 완화'(QE) 정책으로 시중에 풍부한 유동성을 공급했다.
연준은 2015년 12월 7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올린 것을 시작으로 긴축기조로 돌아섰다.
이어 2016년 1차례, 2017년 3차례, 지난해에는 4차례 각각 금리를 올렸다.
모두 0.25%포인트씩 9차례 금리를 올리면서 기준금리를 2.25~2.5%까지 끌어올렸다.
미·중 무역갈등의 불확실성이 부각된 올해 들어서는 줄곧 금리를 동결해왔다.
따라서 이번 인하는 '완화적 통화정책'으로의 기조 전환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당장은 FOMC 통화정책성명서 또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에서 추가적인 인하 신호가 어느 정도 나올지에 관심이 쏠린다.
한차례 금리를 내린 것만으로 '인하 사이클 돌입'으로 규정하기는 무리이기 때문이다.
연준이 몇차례 추가 인하를 시사하느냐에 따라 유럽중앙은행(ECB)을 비롯한 주요국 통화 당국도 보폭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