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진에 차량공유 이용 증가…車 안사는 30~40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리포트
상반기 신차등록 분석
상반기 신차등록 분석

차업계 큰손으로 떠오른 50대
30대가 구매한 승용차는 11만2024대로 전년 동기 대비 17.3% 급감했다. 감소폭은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컸다. 40대의 구매는 작년 상반기보다 10.6% 감소한 13만6543대로 집계됐다. 협회 관계자는 “가장 활발한 구매층이었던 30~40대의 자동차 구매가 급격히 줄고 있다”며 “경기 악화로 이들 세대의 가처분소득이 줄어들고 공유차 등 자동차 이용 방식이 다양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반면 안정적인 구매력을 갖춘 50대가 자동차업계의 ‘큰손’으로 떠올랐다. 50대가 올 상반기에 구매한 차량은 14만3542대(19.7%)로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많았다. 50대가 40대를 제치고 1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60대 이상이 구매한 차량은 8만2336대로 전년 동기 대비 2.9% 늘었다.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찾으면서 모든 연령대 중 유일하게 구매가 증가했다고 협회는 설명했다.

경유차의 빈자리는 휘발유차와 친환경차가 채웠다. 올 상반기 판매된 휘발유차는 40만3924대로 2013년 이후 6년 만에 처음으로 경유차를 넘어섰다. 하이브리드카(HEV: 휘발유·전기 혼용차)는 구매 보조금 제도가 끝났는데도 작년 상반기 대비 20.7% 증가한 5만1257대가 팔렸다. 전기차는 보조금이 확대된 가운데 현대자동차 코나, 기아자동차 니로 등이 인기를 끌면서 1년 새 46.4%(1만1847대→1만7346대) 급증했다.
최근 일본 자동차 불매 운동이 확산되고 있지만 상반기에는 일본 차가 큰 인기를 끌었다. 올 상반기 국내에서 판매된 일본산 수입차는 2만3850대로 전년 동기(2만1526대)보다 10.8% 증가했다.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판매량이다. 반면 같은 기간 독일 브랜드 차량 판매는 34.2% 급감했다. 일본과 함께 판매가 증가(18%)한 스웨덴 브랜드를 제외하고 영국(-25.3%), 프랑스(-20.8%), 이탈리아(-16.0%), 미국(-0.7%) 등 모든 수입 브랜드 판매가 줄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