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률 70~80%↓·취소율 2배…日전담부서 축소 등 여행업계 '발동동'
항공업계도 日노선 축소…"日, 워낙 인기 지역이라 장기화 예상 못해"

한국에 대한 일본의 보복성 수출규제가 불러온 일본 여행 거부 운동이 잦아들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본격적인 여름휴가 성수기인데도 일본 여행 예약이 80%나 감소하는 등 타격이 커지자 여행업계는 일본 전담부서를 축소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1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국내 해외여행객 유치 1·2위 업체인 하나투어와 모두투어의 일본 여행 신규 예약자 수는 일본 여행 거부 운동이 본격화된 지난달에만 전년 동기 대비 70~80% 급감했다.

[日불매운동 한달] 성수기 日여행객 80% 급감…영세 협력사 '개점휴업'
수수료 부담 때문에 전년과 비슷한 추이를 보이던 일본 여행 취소율도 지난달 중반을 넘으며 치솟는 추세다.

노랑풍선은 지난달 일본 여행 예약 취소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0% 증가했다고 밝혔다.

인터파크투어도 패키지 예약에 한해 일본 여행 취소 건수가 2배가량 늘었다고 전했다.

일본 여행객 감소 추세는 항공통계에서도 뚜렷이 확인된다.

국토교통부의 항공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16∼30일 보름간 인천공항을 이용해 일본여행을 다녀온 승객은 총 46만7천249명으로, 전월 같은 기간(6월16∼30일·53만9천660명)과 비교해 7만2천411명(13.4%) 감소했다.

문제는 이러한 일본 여행 거부 운동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인다는 것이다.

여행업계는 여름휴가 시즌이 끝나고 비수기가 시작되는 9~11월 이런 추세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고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KRT 여행사는 15명으로 운영되던 일본 전담부서를 5명으로 줄이고, 나머지 10명을 동남아 등 다른 부서로 전환 배치했다.

KRT는 일본 여행 수요가 회복되면 직원들을 다시 원상 복귀시킬 방침이지만 장기화에 대비해 전환 배치에 따른 교육도 하고 있다.

노랑풍선 등도 일본 여행 수요 급감에 따른 전환 배치나 인원 조정 등을 검토하고 있다.

여행업체를 대신해 현지 숙소·식당을 예약하고, 스케줄을 짜는 일본 전문 협력업체(랜드사)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특히 랜드사가 특화된 패키지여행 수요가 급감하면서 영세한 랜드사 직원들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무급 휴가나 휴직에 들어가고 있다.

직원 9명을 둔 한 일본 전문 랜드사 대표는 연합뉴스 통화에서 "회사가 거의 문을 닫은 상태로 오늘 저를 포함해 3명만 출근했다"면서 "나머지 직원들은 반강제적으로 휴가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日불매운동 한달] 성수기 日여행객 80% 급감…영세 협력사 '개점휴업'
일본 여행 거부 운동이 확산하면서 항공업계의 대응도 빨라졌다.

대한항공은 9월 3일부터 부산∼삿포로 노선 운항을 중단하고, 다른 일본 노선에도 투입 항공기를 소형기로 전환해 좌석 공급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아시아나항공도 9월 중순부터 인천발 후쿠오카·오사카·오키나와 노선 투입 항공기를 기존 A330에서 B767·A321 등으로 변경해 좌석 공급을 축소할 예정이다.

에어부산, 티웨이항공 등 저가 항공사(LCC)들은 일본 노선 공급과잉과 여행객 감소 등을 이유로 일본 노선 운항을 축소했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일본은 워낙 인기가 높은 지역이라 거부 운동이 이렇게 장기화할지 예상하지 못했다"면서 "거부 운동이 일본 경제에 타격을 미치지만 영세한 국내 협력업체도 피해를 볼 수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불매운동의 영향으로 한국인 관광객이 감소하자 지난달 30일부터 일부 중국인 여행객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관광비자를 신청받는 등 비자 절차를 간소화하고 있다고 중국 언론이 보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