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서울 남대문로 본관으로 출근하면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서울 남대문로 본관으로 출근하면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일 미국 중앙은행(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대해 “(미국 상황을) 한국 기준금리 인하와 곧바로 연결시킬 수는 없다”면서도 “경제상황이 나빠지면 통화정책으로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한은 본관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경제 상황에 대한 통화정책 대응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한은이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서면 답변서에도 “대내외 경제여건이 더 어려워지고 거시경제의 하방 위험이 확대된다면 추가적 통화정책 대응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기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되 추가 인하 여부는 금리 인하 효과와 경기회복 여부 등을 보며 판단해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이 총재의 발언과 한은의 국회 답변서 등을 종합해볼 때 한은이 연내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고 시장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이 총재는 또 “제롬 파월 Fed 의장의 발언은 시장이 생각했던 것보다 덜 완화적이었다”면서도 “미국 경기 확장세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이번에도 밝힌 점을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추가적으로 한두 번 더 인하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이 총재의 발언처럼 미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더 내리면 한은의 금리 인하 가능성도 높아진다. 금리 역전폭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한국(연 1.50%)과 미국(연 2.00~2.25%)의 기준금리 역전폭은 0.50~0.75%포인트다.

일본 수출규제가 미칠 파장에 대해서는 “한국 경제를 싸고 있는 상당히 큰 리스크”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통화정책은 일본 수출규제만이 아니라 대외리스크가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를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이날 오전 Fed의 결정이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상황점검회의를 열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