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국가안보실장(오른쪽 두 번째)이 2일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북한 발사체 관련 대응 회의를 주재하기에 앞서 노규덕 안보전략비서관(왼쪽 두 번째)과 함께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왼쪽은 서훈 국가정보원장. 오른쪽은 정경두 국방부 장관.  청와대 제공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오른쪽 두 번째)이 2일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북한 발사체 관련 대응 회의를 주재하기에 앞서 노규덕 안보전략비서관(왼쪽 두 번째)과 함께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왼쪽은 서훈 국가정보원장. 오른쪽은 정경두 국방부 장관. 청와대 제공
북한이 2일 구체적 제원이 확인되지 않은 발사체 두 발을 동해상으로 쏘아 올렸다. 지난달 25일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 두 발을 발사한 것을 시작으로 9일간 총 세 번의 무력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은 오는 5일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을 견제하고 비핵화 실무협상 상대인 미국을 압박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靑 “신형 탄도미사일 가능성 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이 오전 2시59분과 오전 3시23분께 함경남도 영흥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미상 단거리 발사체 두 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발사체 고도 25㎞, 비행거리 220㎞, 최고 속도는 마하 6.9로 추정했다.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인지 아니면 사정 거리가 늘어난 방사포인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지난달 31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을 한·미 군당국은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판단했지만, 지난 1일 북한이 조선중앙TV를 통해 “신형 대구경 조종방사포를 시험 발사했다”며 사진을 공개해 우리 군의 오판 논란이 제기된 것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날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연 청와대는 “한·미 당국은 이번 발사체가 지난달 31일 북한이 발사한 것과 비슷한 비행 특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했다”며 “제원을 분석한 결과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 등 미국 매체들도 미 당국자들을 인용해 “북한의 발사체는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분석됐다”고 보도했다.

9일간 세 번째 도발…한·미 훈련 반발 카드

북한의 무력시위는 지난 6월 30일 미·북 정상의 ‘판문점 회동’ 이래 벌써 세 번째다. 북한은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2017년 5월 한 달간 무려 네 번의 미사일 도발을 하기도 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대북 제재를 논의하던 때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에 정치적 속셈이 숨어 있다고 평가했다. F-35 스텔스 전투기 등 첨단 전력 도입과 오는 5일부터 시작될 예정인 한·미 연합훈련에 반발하는 수단으로 미사일 카드를 꺼내들었다는 분석이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26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조선 당국자가 사태 발전 전망의 위험성을 제때 깨닫고 최신 무기 반입이나 군사연습과 같은 자멸적 행위를 중단하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통일안보센터장은 “한반도 긴장 상황을 고조시켜 곧 있을 미·북 실무 협상에서 주도권을 쥐려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날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서훈 국가정보원장, 김유근 안보실 1차장, 김현종 안보실 2차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관계부처 장관 회의를 했다. 청와대는 회의 직후 서면 브리핑에서 “관계 장관들은 북한이 지난 7월 25일과 31일에 이어 또다시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한 것에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며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긴장 완화 노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런 행위를 중단할 것을 재차 촉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 발사체 세부 제원은 한·미 간 공조로 정밀 분석할 것”이라고 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