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통신은 2일 “이번 조치는 한·일 양국을 넘어 글로벌 첨단산업에 여파를 미칠 것”이라며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긴장으로 인해 이미 불안한 첨단산업 공급망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이번 조치는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통제로 이미 ‘끓는 점’에 도달한 양국 간 적대감을 더 키울 게 분명하다”고 했다. 영국 BBC는 “일본의 이번 조치가 세계 전자산업을 불안하게 할 것”이라고 했다.
로이터통신은 “한국과 일본은 모두 경제 성장에 있어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라며 “중국발 수요가 둔화하는 와중에 벌어진 이번 갈등으로 두 나라 모두 경제적 난관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한·일 관계 악화로 동아시아 정세가 우려된다는 반응도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주요 동맹국인 한·일 간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중재를 시도했지만 결실이 없었다”며 “한·일 관계가 최근 몇 달간 급격히 나빠지면서 향후 북한과 중국의 위협에 대응해 양국이 협력할 여지가 줄게 됐다”고 진단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한·일 관계가 지난 수십 년간 가장 최악인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미국의 가장 중요한 동아시아 동맹국 두 곳이 서로 반목하면서 역내 중국의 영향력이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NYT는 “이 때문에 미국과 북한 간 협상에서 미국의 힘이 약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