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달 31일에 이어 지난 2일 ‘신형 대구경 조종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3일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두 번의 시험 발사체를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분석한 우리 군의 판단과 달라 발사체 제원을 둘러싼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북한이 지난 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아래 ‘신형 대구경 조종방사포 시험사격’을 다시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일 사진과 함께 보도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아래 ‘신형 대구경 조종방사포 시험사격’을 다시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일 사진과 함께 보도했다. /연합뉴스
조선중앙TV는 이날 “김정은 동지가 2일 새벽 새로 개발한 대구경 조종방사포의 시험사격을 또다시 지도했다”며 여러 장의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발사체의 특징과 관련해선 “애초 목적한 조종방사탄의 고도억제 수평비행 성능과 궤도변칙 능력, 목표 명중성, 전투부 폭발 위력이 만족스럽게 확증됐다”고 주장했다. 이전 미사일 도발 관련 보도와는 달리 한국 정부를 겨냥한 협박이나 비난 메시지는 없었다.

이날 북한이 공개한 사진은 일부 모자이크 처리됐지만 근접 촬영한 것이어서 궤도형 이동발사차량(TEL)의 형태와 발사관의 외형이 구분 가능한 수준이다. 발사관은 ‘2열 6개’로 추정된다. 발사체가 화염을 내뿜으며 치솟는 모습과 타격 지점의 폭발 장면 등도 공개됐지만 시험 발사가 새벽 어둠을 틈타 이뤄져 사진만으론 제원을 식별하기 쉽지 않다는 게 군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북한 매체의 보도에도 불구하고 군당국은 발사체들이 방사포가 아니라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7월 31일과 지난 2일 발사체 모두 속도와 변칙 기동 등에서 비슷한 특성이 있다”며 “한·미가 공조해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정밀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에 대해 “미국과의 비핵화 실무 협상이 진행되면 신형 무기의 시험 발사를 하기 어렵다”며 “협상이 본격화 되기 전에 신형 무기의 기술 완성도를 높이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