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경제침체, 한일 무역 분쟁, '동해상 교전위기'...

"혼돈의 아시아". 아시아가 경제 침체와 새로운 냉전식 안보위기에 빠져들면서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빨리 아시아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국제정치 전문 매체 포린폴리시(FP)는 지난달 31일 '아시아 세기는 끝났다'는 분석 기사에서 미국의 관세부과에 따른 중국의 경제둔화와 홍콩 민주화 사태, 한국과 일본 간 무역 분쟁, 그리고 최근 동해상에서 발발한 4국(러시아 중국 한국 일본)간 공중교전 위기에서 나타난 지역 안보위기 등을 거론하며 한때 글로벌 미래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아시아 세기'(Asian Century)가 훨씬 빨리 끝나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FP는 미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 마이클 오슬린 연구원의 기사에서 아시아의 지정학적인 혼돈이 오랫동안 배태돼온 것이지만 중국과 인도, 그리고 아시아적 가치가 세계를 주도할 것이라는 일각의 장밋빛 기대 속에 그 위기가 가려져 왔다면서 '번쩍이는 아시아 신흥 도시의 밑바닥에 이미 금이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FP는 특히 중국이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부과로 수출에 타격을 받은 데다 개혁 부진과 이에 따른 비효율성 팽배 등 내부적 요인이 겹쳐 내림세를 보인다면서 구글 등 국제적 대기업들이 잇따라 중국 내 생산을 줄이면서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혼돈의 아시아, 예상보다 빨리 '아시아 세기' 종식
FP는 특히 국내총생산(GDP)의 300%를 넘는 중국의 기업과 가계, 정부의 부채를 차악의 시한폭탄으로 지목했다.

FP는 비단 중국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 경제가 수년간의 개혁에도 불구하고 침체에 빠져있으며 고속성장을 거듭하던 인도도 성장 속도가 절반으로 반감되면서 향후 성장 전망에 의문을 드리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러한 위기감이 동남아 전역에 팽배해있다고 덧붙였다.

FP는 그러나 경제는 단지 문제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면서 홍콩과 대만에 대한 중국의 압박은 지역의 정치적 안정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만약 홍콩에 군대를 파견할 경우 30년 전 톈안먼 사태 이후 최악의 유혈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FP는 한국의 2차 대전 민간인 징용에 대한 법원의 배상 판결을 계기로 일본이 전자소재 부품에 대한 공급을 감축하는 등 한일 양국이 완전한 단절에 근접하고 있다면서 지난해 말에는 일본 정찰기의 한국 해군함정 접근으로 군사적 위기를 촉발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베트남은 남중국해에 유전 시추를 놓고 중국과 해상 대치하고 있다.

FP는 지역 갈등이 전 세계의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면서 북한은 3차례의 정상급 회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핵 능력과 함께 전 세계에 걸쳐 온라인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혼돈의 아시아, 예상보다 빨리 '아시아 세기' 종식
FP는 중국의 경제현대화와 평화적 부상이 글로벌 번영과 협력 시대를 열고, 아시아의 경제 선진화가 미국과 유럽, 기타 지역의 소비자로 연결될 것을 기대했으나 이는 잘못된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아울러 미국의 동맹인 한국과 일본을 접근시키기 위한 수년간의 노력도 흔들리고 있다고 언급했다.

FP는 아시아의 미래를 재고해야 할 시기라면서 아시아의 곤경이 악화함에 따라 미국의 지역 정책도 바뀔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FP는 결국 일반적인 견해와는 반대로 '미래는 아시아의 것이 되지 않을 것'이라면서 지역의 너무나 많은 핵심 징표들이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