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기업 아냐"…해명 나선 쿠팡·세븐일레븐·다이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수출 절차 간소화 국가)에서 제외하면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격화하는 가운데 일부 소비자들로부터 '일본계 기업'이라고 지목 당한 쿠팡,세븐일레븐, 다이소가 해명에 진땀을 빼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잘못된 정보가 유통되는 경우도 있지만 적잖은 소비자들이 헷갈릴 정도로 지분 관계 등이 복잡하게 얽힌 경우도 있어 명쾌하게 오해가 풀리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자상거래 업체 쿠팡은 재일교포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의 소프트뱅크비전펀드(SVF)가 지분 투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본 기업'이라는 소문에 시달려야 했다. 비상장사인 쿠팡은 정확한 지분율이 공개된 적이 없지만, 업계에서는 SVF의 쿠팡 지분율이 30%를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쿠팡은 불매운동 초기 이런 소문이 빠르게 확산하며 매출에도 영향을 미칠 조짐을 보이자 자체 뉴스룸을 통해 발 빠르게 대응했다. 쿠팡은 "KB금융의 외국인 지분율은 70%에 육박하고, 삼성전자와 네이버의 외국인 지분율도 60%에 가깝다"며 "외국계 지분율이 높다고 외국계 회사라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롯데 계열사인 코리아세븐이 운영하는 편의점 세븐일레븐은 브랜드의 탄생지가 미국이지만, 1990년대 일본 기업 이토요카도가 미국 세븐일레븐의 지분 70%를 인수했다는 점 때문에 '일본계 기업'이라는 공격을 받고 있다.
코리아세븐은 일부 가맹점주들이 선의의 피해를 보는 경우가 발생하자 이달 초 전국 9천700여개 점포에 '코리아세븐은 대한민국 기업입니다'라는 제목의 긴급 안내문을 발송하며 진화에 나섰다.
코리아세븐은 안내문에서 "세븐일레븐은 글로벌 브랜드이고, 코리아세븐은 대한민국 기업"이라며 "당사는 미국 세븐일레븐과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잘못된 정보로 인해 선량한 경영주께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며 "경영주의 정당한 영업권을 보호하려는 취지에서 세븐일레븐 브랜드의 국적, 정체성 등에 대해 알려드린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아성다이소가 운영하는 균일가 생활용품 업체 다이소는 불매운동 초기부터 일부 소비자들에게 '일본계 기업'이라는 공격에 시달렸다.
다이소는 원래 샐러리맨 출신의 박정부 아성다이소 대표가 1997년 5월 서울 천호동에서 '아스코이븐프라자'라는 생활용품 가게를 열면서 출발했다.
처음에는 순수 국내 회사로 출발했지만 2001년 11월 일본의 균일가 상품 유통회사인 대창(大倉)산업과 합작해 상호를 다이소아성산업으로 변경했으며 2002년 3월 외국인투자촉진법에 의한 외국인투자기업으로 등록했다.
현재는 박정부 회장이 최대주주인 아성에이치엠피가 50.02%, 일본의 대창산업이 34.21%의 지분을 각각 보유하고 있다.
문제는 일본 기업이 30%가 넘는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데다 일본에도 대창산업이 운영하는 동일한 상호의 균일가 생활용품 업체의 점포가 2900개 이상 있다는 점이다. 다이소는 대창의 일본식 발음이다.
아성다이소 관계자는 "일본 다이소와는 지분투자 이외에 로열티 지급이나 인적 교류, 경영 참여 등의 관계가 없다"며 "삼성전자도 외국인 지분율이 높지만 그렇다고 삼성전자가 외국 기업은 아니냐 않느냐"고 말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국가 간 자본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최근에는 기업의 국적을 따지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졌지만, 지금의 한일 관계처럼 정치적 이슈가 불거지면 일본계 지분이 있는 기업들이 오해를 받는 경우가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잘못된 정보가 유통되는 경우도 있지만 적잖은 소비자들이 헷갈릴 정도로 지분 관계 등이 복잡하게 얽힌 경우도 있어 명쾌하게 오해가 풀리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자상거래 업체 쿠팡은 재일교포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의 소프트뱅크비전펀드(SVF)가 지분 투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본 기업'이라는 소문에 시달려야 했다. 비상장사인 쿠팡은 정확한 지분율이 공개된 적이 없지만, 업계에서는 SVF의 쿠팡 지분율이 30%를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쿠팡은 불매운동 초기 이런 소문이 빠르게 확산하며 매출에도 영향을 미칠 조짐을 보이자 자체 뉴스룸을 통해 발 빠르게 대응했다. 쿠팡은 "KB금융의 외국인 지분율은 70%에 육박하고, 삼성전자와 네이버의 외국인 지분율도 60%에 가깝다"며 "외국계 지분율이 높다고 외국계 회사라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롯데 계열사인 코리아세븐이 운영하는 편의점 세븐일레븐은 브랜드의 탄생지가 미국이지만, 1990년대 일본 기업 이토요카도가 미국 세븐일레븐의 지분 70%를 인수했다는 점 때문에 '일본계 기업'이라는 공격을 받고 있다.
코리아세븐은 일부 가맹점주들이 선의의 피해를 보는 경우가 발생하자 이달 초 전국 9천700여개 점포에 '코리아세븐은 대한민국 기업입니다'라는 제목의 긴급 안내문을 발송하며 진화에 나섰다.
코리아세븐은 안내문에서 "세븐일레븐은 글로벌 브랜드이고, 코리아세븐은 대한민국 기업"이라며 "당사는 미국 세븐일레븐과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잘못된 정보로 인해 선량한 경영주께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며 "경영주의 정당한 영업권을 보호하려는 취지에서 세븐일레븐 브랜드의 국적, 정체성 등에 대해 알려드린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아성다이소가 운영하는 균일가 생활용품 업체 다이소는 불매운동 초기부터 일부 소비자들에게 '일본계 기업'이라는 공격에 시달렸다.
다이소는 원래 샐러리맨 출신의 박정부 아성다이소 대표가 1997년 5월 서울 천호동에서 '아스코이븐프라자'라는 생활용품 가게를 열면서 출발했다.
처음에는 순수 국내 회사로 출발했지만 2001년 11월 일본의 균일가 상품 유통회사인 대창(大倉)산업과 합작해 상호를 다이소아성산업으로 변경했으며 2002년 3월 외국인투자촉진법에 의한 외국인투자기업으로 등록했다.
현재는 박정부 회장이 최대주주인 아성에이치엠피가 50.02%, 일본의 대창산업이 34.21%의 지분을 각각 보유하고 있다.
문제는 일본 기업이 30%가 넘는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데다 일본에도 대창산업이 운영하는 동일한 상호의 균일가 생활용품 업체의 점포가 2900개 이상 있다는 점이다. 다이소는 대창의 일본식 발음이다.
아성다이소 관계자는 "일본 다이소와는 지분투자 이외에 로열티 지급이나 인적 교류, 경영 참여 등의 관계가 없다"며 "삼성전자도 외국인 지분율이 높지만 그렇다고 삼성전자가 외국 기업은 아니냐 않느냐"고 말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국가 간 자본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최근에는 기업의 국적을 따지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졌지만, 지금의 한일 관계처럼 정치적 이슈가 불거지면 일본계 지분이 있는 기업들이 오해를 받는 경우가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