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른 차원의 위협…외환시장에선 예상찮은 피해자 발생"
WSJ, 미중 환율전쟁의 애먼 피해국으로 한국·일본 지목
한국과 일본이 미국-중국 환율전쟁에서 유탄을 맞을 수 있는 국가들로 지목됐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이 됐다'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WSJ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도 환율전쟁의 낙진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하며 가장 먼저 한국 사례를 들었다.

신문은 이날 한국 원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1.4% 떨어졌다는 점을 먼저 주목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중국과 광범위하게 교역을 하는 결과로 통화 가치가 위안화를 따라가는 '위안 블록' 국가의 일부"라고 원인을 설명했다.

한국이 위안 블록일 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거대한 달러 채무를 안고 있는 달러 블록이라는 점도 미중 환율전쟁의 취약점으로 거론됐다.

한국 내 비금융 기업들의 달러 채무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16%인 2천550억 달러, 금융기업들의 달러 채무가 GDP 대비 19%인 3천50억 달러에 각각 달한다는 점과 전체 외화표시 회사채의 86%가 달러 부채라는 점이 그 구체적 사례로 제시됐다.

WSJ은 "환율이 출렁거리면 이들 채무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할 수 있다"며 "한국 정부 또한 현재 자본탈출에 대한 우려와 스스로 맞서 싸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반면 일본은 채권국으로서 한국과는 정반대의 의미에서 심각한 문제에 봉착한 것으로 진단됐다.

이날 위안화의 가치가 떨어지고 글로벌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자 엔화의 가치는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여기는 까닭에 치솟았다.

WSJ은 일본이 작년에 3조2천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순외화자산을 보유한 세계 최대의 채권국이라는 점을 주목했다.

그러면서 환율전쟁으로 엔화 가치가 상승하면 엔화 표시 해외투자의 수익이 떨어져 가계와 기업이 손실을 보며 일본 경제도 악영향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미국 재무부는 중국의 과거 환율조작 관행, 최근 위안화 가치 하락을 막을 수 있었음에도 개입을 자제했다는 점을 이유를 들어 이날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전쟁이 이제 관세전쟁을 넘어 환율전쟁으로까지 번졌다는 진단을 쏟아내고 있다.

WSJ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전쟁이 이제 환율전쟁이 됐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면서 "환율전쟁은 또 다른 차원으로 경제적 해악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트럼프 행정부에 경고했다.

WSJ은 환율 격변의 종착역이 어디인지는 모른다며 외환시장에서는 과녁을 벗어나 날아가는 총탄에 예상하지 않은 피해자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