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소속 연구원이 연구실에서 실험하고 있다. 서울대 제공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소속 연구원이 연구실에서 실험하고 있다. 서울대 제공
서울대 공대가 일본에 기술을 의존하고 있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자립을 돕기 위해 특별 전담팀을 새로 만들었다. 전폭적이고 체계적인 기업 지원을 위해 서울대 소속 320여 명의 교수와 6개 연구소가 참여한다. 한국에 대한 일본의 수출규제가 현실화하고 있는 가운데 대학이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발 벗고 나서는 모습이다. 연구개발(R&D) 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학과의 협업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소·중견기업 기술 자립 돕는 역할

서울대 공대는 6일 산학기술협력 조직인 SNU 공학컨설팅센터 산하에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 특별 전담팀(TF)’을 새로 구성했다고 밝혔다.

TF는 중소·중견기업과 협업해 기술을 개발하고 조언하는 역할을 맡는다. 서울대 공대가 TF를 꾸린 것은 일본의 수출규제가 기술력이 부족한 한국의 중소기업들에 직격탄이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차국헌 서울대 공대 학장은 “대기업과 달리 중소·중견기업엔 연구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며 “서울대 320여 명의 교수와 소속 연구소를 활용해 일본의 경제보복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TF를 만들기로 했다”고 말했다.

TF는 산업별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금속 △화학소재 등 6개 분야로 나눠 조직을 구성했다.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서울대 공대 산하 6개 연구소가 서로 연관된 산업 분야를 맡는다. 반도체공동연구소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분야를 담당한다. 자동차 분야는 차세대자동차연구센터가 맡고, 전기·전자 분야는 자동화시스템 공동연구소, 화학소재는 화학공정신기술연구소가 담당한다. 기계금속 분야는 신소재공동연구소와 정밀기계설계공동연구소 두 곳이 함께 참여한다. 분야별 협력이 필요하다면 TF를 중심으로 연구소 사이의 협력도 유기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TF는 특히 정부가 ‘조기에 공급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밝힌 100대 품목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단독] 日 수출규제 맞선 서울대, 中企 기술자립 돕는다
“자립 위해선 대학이 ‘거간’ 역할도 해야”

서울대 공대는 일본에 대한 기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독일 등 다른 선진국과도 적극 협업할 계획이다. SNU 공학컨설팅센터는 2015년부터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국내 중소·중견기업에 독일의 기술을 지원해왔다. 차 학장은 “장기적으로는 우리가 스스로 기술을 개발해야겠지만, 단기적으로 한 국가에 과도하게 집중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선 대학이 보유한 국제적 네트워크를 활용해 기술 ‘거간’ 노릇도 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4년 전에 설립된 SNU 공학컨설팅센터는 1600건의 기술개발 및 컨설팅을 해오며 쌓은 노하우가 있다”며 “TF팀은 최근 개발이 시급한 소재와 부품, 장비에 초점을 맞췄다”고 덧붙였다.

서울대뿐 아니라 KAIST도 지난 5일 일본의 경제보복에 맞서 국내 기업의 기술개발을 돕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을 출범시켰다. KAIST의 자문단엔 전·현직 교수 100여 명이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