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청년 44명, 경북 19개 기업에서 근무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북형 新전략 산업
도시청년 지역상생 고용사업
수제맥주·수공예품 기업 등 취업
청년의 지역정착·일자리 연계
도시청년 지역상생 고용사업
수제맥주·수공예품 기업 등 취업
청년의 지역정착·일자리 연계

경상북도는 지난 2일 문경 서울대병원 인재원에서 경상북도, 서울시, 서울 청년과 경북 참여기업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도시청년 지역상생 고용사업’ 협약식을 했다. 도시청년 지역상생 고용사업은 지역 청년 유출과 청년 인구 감소, 지방 소멸의 대안으로 서울시 청년과 경북 지역 기업을 연계해 업무 경험을 쌓게 하고, 지역 정착을 유도하는 일자리 연계 협력 모델이다.
서울 청년들은 8월부터 내년 1월까지 6개월간 안동, 청송, 상주, 예천, 문경 등 5개 시·군의 19개 기업에서 주 4일(주 32시간) 근무하고 하루는 지역 커뮤니티 활동을 한다. 월 220만원의 급여와 기업별 복리후생 혜택을 받는다.
경상북도는 기업 근무 외에 지역아동센터, 아동복지기관, 노인돌봄센터, 청소년 문화의 집 등에서 봉사활동을 하도록 하는 등 지역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경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역에 애정을 갖게 할 계획이다. 청년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고 진정한 상생의 일자리 모델로 자리잡도록 하기 위해서다.
박성근 경상북도 일자리청년정책관은 “서울시와 경상북도가 처음으로 시도하는 도시청년 지역상생 고용사업에서 도시 청년과 지역 기업, 서울과 지방이 상생 발전하기를 바란다”며 “사업 완료 후에도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위해 취·창업 지원사업을 연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안동=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