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동나무 추출물, 암세포 생장억제 효과 탁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국내 자생 상동나무(사진) 추출물에서 대장암과 폐암의 항암 효과 메커니즘을 밝혀냈다고 7일 발표했다.
상동나무는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과 같은 바닷가에 분포하는 산림약용자원으로, 예로부터 감기, 발열, 간염, 피부병 치료 등에 사용돼 왔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안동대 원예·생약융합부 정진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국내 자생 상동나무 추출물의 항암작용 기전을 살펴봤다.
그 결과 정상세포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대장암과 폐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기존 대장암 항암제와 비교하였을 때도 암세포 억제 효과가 현저히 앞섰다고 산림과학원 측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인간의 대장암과 폐암세포에 상동나무 잎과 가지 추출물을 처리해 엠티티(MTT) 분석한 결과, 50μg/ml 농도일 때 각각 53.6%, 72.2%의 암세포 생장이 억제됐고, 100μg/ml 농도에서는 77.0%와 82.0%가 억제된 것으로 분석했다.
정상세포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대장암 치료에 사용되는 기존 항암제와 비교했을때도 상동나무 가지와 잎 추출물이 더 효과가 뛰어났다.
같은 농도(50μg/ml)로 비교해 봤을때 기존 항암제인 5-플루오로유라실(5-Fluorouracil, 5-FU)은 11.4%의 억제 효과를 보인 반면, 상동나무 가지 추출물은 63.6%, 잎 추출물은 43.2%의 우수한 암세포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이는 상동나무 잎과 가지 추출물이 암세포에서 비정상적인 세포생육을 유도하는 사이클린 디원(Cyclin D1)의 발현을 억제하고, 종양 발생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윈트/베타카테닌(Wnt/β-catenin)을 분해해 대장암 및 폐암세포의 생육을 억제하기 때문으로 산림과학원 측은 소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보완대체의학 국제학술지인 비엠씨 컴플리멘터리 엔드 얼터네이티브 메디신(BMC)과 한국자원식물학회지에 게재됐고, 국내 특허 출원도 완료했다.
김만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장은 “상동나무는 기존 항암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식물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며 임업인 소득 증대와 산림약용자원으로 고부가가치 소재 발굴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며 “상동나무의 식품원료 등록을 위해 다양한 기능성 평가와 활성물질에 대한 분석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상동나무는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과 같은 바닷가에 분포하는 산림약용자원으로, 예로부터 감기, 발열, 간염, 피부병 치료 등에 사용돼 왔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안동대 원예·생약융합부 정진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국내 자생 상동나무 추출물의 항암작용 기전을 살펴봤다.
그 결과 정상세포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대장암과 폐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기존 대장암 항암제와 비교하였을 때도 암세포 억제 효과가 현저히 앞섰다고 산림과학원 측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인간의 대장암과 폐암세포에 상동나무 잎과 가지 추출물을 처리해 엠티티(MTT) 분석한 결과, 50μg/ml 농도일 때 각각 53.6%, 72.2%의 암세포 생장이 억제됐고, 100μg/ml 농도에서는 77.0%와 82.0%가 억제된 것으로 분석했다.
정상세포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대장암 치료에 사용되는 기존 항암제와 비교했을때도 상동나무 가지와 잎 추출물이 더 효과가 뛰어났다.
같은 농도(50μg/ml)로 비교해 봤을때 기존 항암제인 5-플루오로유라실(5-Fluorouracil, 5-FU)은 11.4%의 억제 효과를 보인 반면, 상동나무 가지 추출물은 63.6%, 잎 추출물은 43.2%의 우수한 암세포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이는 상동나무 잎과 가지 추출물이 암세포에서 비정상적인 세포생육을 유도하는 사이클린 디원(Cyclin D1)의 발현을 억제하고, 종양 발생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윈트/베타카테닌(Wnt/β-catenin)을 분해해 대장암 및 폐암세포의 생육을 억제하기 때문으로 산림과학원 측은 소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보완대체의학 국제학술지인 비엠씨 컴플리멘터리 엔드 얼터네이티브 메디신(BMC)과 한국자원식물학회지에 게재됐고, 국내 특허 출원도 완료했다.
김만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장은 “상동나무는 기존 항암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식물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며 임업인 소득 증대와 산림약용자원으로 고부가가치 소재 발굴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며 “상동나무의 식품원료 등록을 위해 다양한 기능성 평가와 활성물질에 대한 분석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