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연습 명칭은 '지휘소훈련'…'동맹' 표현 안 써(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1∼20일 '본연습' 시행…"전작권 전환 대비 기본운용능력 검증"
'韓대장 사령관-美대장 부사령관' 체제…'반격연습'도 포함 올해 하반기 연합연습을 진행 중인 한미가 11일부터 열흘 간의 본훈련 일정에 돌입한다.
합참은 10일 '후반기 한미연합지휘소 훈련 시작'이라는 제목의 문자공지를 통해 "한미는 연합지휘소훈련을 11일부터 20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또 "이번 훈련은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에 대비해 기본운용능력(IOC)을 검증하고 확고한 군사대비태세 제고에 중점을 두고 시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휘소연습(CPX·command post exercise)는 병력과 장비를 실제로 기동하지 않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진행하는 워게임이다.
한미는 지난 5∼8일 이번 하반기 전체 연습의 사전연습 성격의 위기관리참모훈련(CMST)을 했지만, 이는 공식훈련 일정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11일부터 시작되는 본연습은 한반도 전시상황 등을 가정한 것으로, 올해 처음으로 한국군 대장이 사령관을, 미군 대장이 부사령관을 맡아 전작권 전환을 위한 한국군의 기본운용 능력을 검증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최병혁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대장)이 사령관을,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 사령관(대장)이 부사령관을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전작권은 한반도 유사시 한국군과 미군 증원군의 작전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으로, 현재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이 갖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훈련에서 상반기 때처럼 '반격' 부분이 생략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지만, 군 당국자는 "예전 한미연습 때와 비슷한 방어-반격 내용이 포함돼있다"고 전했다.
이번 본훈련의 '반격' 부분은 수복 지역에 대한 치안·질서 유지 등을 수행하는 '안정화 작전' 위주로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는 앞서 지난 3월 기존 키리졸브(KR)를 대체한 새 한미연합연습인 '19-1 동맹' 연습을 방어 훈련 위주로 진행한 바 있다.
한미는 지난 2014년 열린 한미 제46차 안보협의회의(SCM)를 통해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 원칙에 합의한 뒤 관련 절차를 단계적으로 진행해왔다.
당시 합의된 3가지 조건은 ▲ 한미연합방위를 주도할 수 있는 한국군의 핵심군사 능력 확보 ▲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한국 군의 초기 필수대응능력 구비 ▲ 전작권 전환에 부합하는 한반도 및 지역 안보환경 등이었다.
군 당국은 올해 한국군의 기본운용능력(IOC) 검증을 시작으로, 2020년 완전운용능력 검증, 2021년 완전임무수행능력 검증 과정을 거쳐 2022년까지는 전작권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마크 에스퍼 미국 신임 국방장관은 전날 서울에서 회담을 한 뒤 발표한 공동언론보도문을 통해 전작권 전환을 위한 조건 충족에 있어 상당한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위협을 감안할 때 전작권 전환 시점은 아직은 예단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적지 않다.
애초 이번 연습의 명칭은 '19-2 동맹'이 유력했다.
그러나 북한이 한미연합연습과 남한의 첨단 무기 도입을 문제삼으며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방사포 등 발사체 발사를 이어가는 가운데 한미는 향후 비핵화 실무협상에 미칠 영향 등을 고려해 훈련 명칭에서 '동맹' 표현을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韓대장 사령관-美대장 부사령관' 체제…'반격연습'도 포함 올해 하반기 연합연습을 진행 중인 한미가 11일부터 열흘 간의 본훈련 일정에 돌입한다.
합참은 10일 '후반기 한미연합지휘소 훈련 시작'이라는 제목의 문자공지를 통해 "한미는 연합지휘소훈련을 11일부터 20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또 "이번 훈련은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에 대비해 기본운용능력(IOC)을 검증하고 확고한 군사대비태세 제고에 중점을 두고 시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휘소연습(CPX·command post exercise)는 병력과 장비를 실제로 기동하지 않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진행하는 워게임이다.
한미는 지난 5∼8일 이번 하반기 전체 연습의 사전연습 성격의 위기관리참모훈련(CMST)을 했지만, 이는 공식훈련 일정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11일부터 시작되는 본연습은 한반도 전시상황 등을 가정한 것으로, 올해 처음으로 한국군 대장이 사령관을, 미군 대장이 부사령관을 맡아 전작권 전환을 위한 한국군의 기본운용 능력을 검증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최병혁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대장)이 사령관을,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 사령관(대장)이 부사령관을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전작권은 한반도 유사시 한국군과 미군 증원군의 작전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으로, 현재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이 갖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훈련에서 상반기 때처럼 '반격' 부분이 생략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지만, 군 당국자는 "예전 한미연습 때와 비슷한 방어-반격 내용이 포함돼있다"고 전했다.
이번 본훈련의 '반격' 부분은 수복 지역에 대한 치안·질서 유지 등을 수행하는 '안정화 작전' 위주로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는 앞서 지난 3월 기존 키리졸브(KR)를 대체한 새 한미연합연습인 '19-1 동맹' 연습을 방어 훈련 위주로 진행한 바 있다.
한미는 지난 2014년 열린 한미 제46차 안보협의회의(SCM)를 통해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 원칙에 합의한 뒤 관련 절차를 단계적으로 진행해왔다.
당시 합의된 3가지 조건은 ▲ 한미연합방위를 주도할 수 있는 한국군의 핵심군사 능력 확보 ▲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한국 군의 초기 필수대응능력 구비 ▲ 전작권 전환에 부합하는 한반도 및 지역 안보환경 등이었다.
군 당국은 올해 한국군의 기본운용능력(IOC) 검증을 시작으로, 2020년 완전운용능력 검증, 2021년 완전임무수행능력 검증 과정을 거쳐 2022년까지는 전작권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마크 에스퍼 미국 신임 국방장관은 전날 서울에서 회담을 한 뒤 발표한 공동언론보도문을 통해 전작권 전환을 위한 조건 충족에 있어 상당한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위협을 감안할 때 전작권 전환 시점은 아직은 예단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적지 않다.
애초 이번 연습의 명칭은 '19-2 동맹'이 유력했다.
그러나 북한이 한미연합연습과 남한의 첨단 무기 도입을 문제삼으며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방사포 등 발사체 발사를 이어가는 가운데 한미는 향후 비핵화 실무협상에 미칠 영향 등을 고려해 훈련 명칭에서 '동맹' 표현을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