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가치 한달새 5% 급락…"달러당 1250원까지 갈수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개 신흥국 중 아르헨·남아공 다음…미중·한일 악재 겹친 탓
불안한 자산가들 해외투자 증가…환율 상승 '악순환' 우려 원화 가치가 최근 한 달여 만에 5% 떨어졌다.
시장에선 달러당 1,250원까지 가파르게 하락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으로 원화 가치는 6월 말 대비 5.0% 하락했다.
환율이 달러당 1,154.7원에서 1,214.9원으로 60.2원 상승한 것이다.
원화가치 하락 폭은 경제 규모가 큰 신흥시장 10개국(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러시아,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중 3번째로 컸다.
이 기간 한국 원화보다 하락 폭이 큰 통화는 아르헨티나 페소화(-6.6%)와 남아공 랜드화(-6.3%)였다.
미중 무역분쟁이 신흥국들의 통화가치 하락 배경이다.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 발표, 중국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은 '포치(破七)', 중국에 대한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등이 잇따른 결과다.
신흥국 통화 중에서도 유독 원화 가치가 많이 떨어진 데는 미중 무역분쟁에 일본의 수출규제 등 다른 악재까지 겹친 탓이다.
한국 경제는 무역 의존도가 37.5%로 주요 20개국(G20) 중 3번째로 높은 데다, 주요 교역국이 미국과 중국이다.
가뜩이나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경제의 펀더멘털에 대한 의구심이 커져 환율이 급등했다.
한은 관계자는 "일본의 수출규제로 원화 약세 기대감이 지속한 가운데 예상보다 덜 완화적인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회의 결과,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으로 환율이 대폭 상승했다"고 말했다. 하루에만 환율이 장중 20원 급등했던 '검은 월요일(지난 5일)' 이후 다소 안정되는 모습도 나타났지만, 당분간 환율은 하락보다는 상승 압력을 더 크게 받으리라는 관측이 다수다.
상황에 따라선 달러당 1,250원 가까이 오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이는 2016년 2월의 전고점(장중 1,245.3원)을 넘어서는 수치다.
우리은행 민경원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박스권에서 움직이겠지만, 다른 악재가 터질 경우 금세 튀어 오를 수 있는 상황"이라며 "1,245원까지는 상승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KEB하나은행 서정훈 수석연구원은 "한국의 성장률 둔화, 일본의 수출규제, 미중 무역갈등이 바탕이 된 상태에서 환율이 올랐다는 점에서 2016년과는 상황이 다르다"며 "큰 폭으로 다시 떨어지지 않으면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고 환율이 더 오를 수 있는데, 반락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예상했다.
미국의 경제전문가인 손성원 미 로욜라 메리마운트대학 교수는 8일 한국 특파원들과 간담회에서 한국 경제에 어려움이 겹치면서 내년에는 원/달러 환율이 1,250원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시장의 예상이 환율 상승 쪽으로 급격히 쏠린 것은 원화가 '위안화 블록'에 편입됐다는 점과 밀접히 연관돼 있다.
위안화 움직임에 원화가 연동하는 경향이 강해졌는데,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할 경우 이미 포치로 '저항선'을 넘어선 중국이 적극적인 위안화 평가절하(환율 상승)로 맞서리라는 전망에서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중국의 포치와 관련해 내놓은 지난 6일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신흥·개발도상국가들의 통화가 '런민비(위안화) 블록'에 포함됐다면서 "위안화 약세가 지속하면 이들 통화가치도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BoA메릴린치는 "중국이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충격 완화를 위해 위안화의 추가 약세를 원한다"며 올해 말까지 달러당 7.3위안까지 오를 것으로 봤고, 씨티도 같은 이유로 달러당 7.5위안을 예상했다.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에서 고착화해 상승 쪽으로 기울면 외국인투자자는 물론 국내 개인투자자들의 자금 유출로 이어지고, 이 때문에 환율이 더 오르는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김소영 교수는 "진짜 문제는 경기 악화와 환율 상승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라며 "경기 악화로 투자심리가 나빠져 환율이 오르고, 외국인들이 환차손 때문에 돈을 빼 가고, 자본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다시 환율이 오르는 상황"을 우려했다.
삼성선물 전승지 연구원은 "2017년 이후 자산가들을 중심으로 달러화 자산에 대한 선호가 확산하고 있는데, 최근 불안한 대내외 여건들이 이를 자극하는 것 같다.
채권뿐 아니라 국내 증시 부진에 따른 해외주식펀드나 직접투자가 증가세"라며 "이들 투자금은 기관과 달리 '환 오픈(헤지를 하지 않은 상태)'으로 거래돼 만만치 않은 환율 상승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불안한 자산가들 해외투자 증가…환율 상승 '악순환' 우려 원화 가치가 최근 한 달여 만에 5% 떨어졌다.
시장에선 달러당 1,250원까지 가파르게 하락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으로 원화 가치는 6월 말 대비 5.0% 하락했다.
환율이 달러당 1,154.7원에서 1,214.9원으로 60.2원 상승한 것이다.
원화가치 하락 폭은 경제 규모가 큰 신흥시장 10개국(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러시아,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중 3번째로 컸다.
이 기간 한국 원화보다 하락 폭이 큰 통화는 아르헨티나 페소화(-6.6%)와 남아공 랜드화(-6.3%)였다.
미중 무역분쟁이 신흥국들의 통화가치 하락 배경이다.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 발표, 중국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은 '포치(破七)', 중국에 대한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등이 잇따른 결과다.
신흥국 통화 중에서도 유독 원화 가치가 많이 떨어진 데는 미중 무역분쟁에 일본의 수출규제 등 다른 악재까지 겹친 탓이다.
한국 경제는 무역 의존도가 37.5%로 주요 20개국(G20) 중 3번째로 높은 데다, 주요 교역국이 미국과 중국이다.
가뜩이나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경제의 펀더멘털에 대한 의구심이 커져 환율이 급등했다.
한은 관계자는 "일본의 수출규제로 원화 약세 기대감이 지속한 가운데 예상보다 덜 완화적인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회의 결과,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으로 환율이 대폭 상승했다"고 말했다. 하루에만 환율이 장중 20원 급등했던 '검은 월요일(지난 5일)' 이후 다소 안정되는 모습도 나타났지만, 당분간 환율은 하락보다는 상승 압력을 더 크게 받으리라는 관측이 다수다.
상황에 따라선 달러당 1,250원 가까이 오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이는 2016년 2월의 전고점(장중 1,245.3원)을 넘어서는 수치다.
우리은행 민경원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박스권에서 움직이겠지만, 다른 악재가 터질 경우 금세 튀어 오를 수 있는 상황"이라며 "1,245원까지는 상승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KEB하나은행 서정훈 수석연구원은 "한국의 성장률 둔화, 일본의 수출규제, 미중 무역갈등이 바탕이 된 상태에서 환율이 올랐다는 점에서 2016년과는 상황이 다르다"며 "큰 폭으로 다시 떨어지지 않으면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고 환율이 더 오를 수 있는데, 반락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예상했다.
미국의 경제전문가인 손성원 미 로욜라 메리마운트대학 교수는 8일 한국 특파원들과 간담회에서 한국 경제에 어려움이 겹치면서 내년에는 원/달러 환율이 1,250원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시장의 예상이 환율 상승 쪽으로 급격히 쏠린 것은 원화가 '위안화 블록'에 편입됐다는 점과 밀접히 연관돼 있다.
위안화 움직임에 원화가 연동하는 경향이 강해졌는데,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할 경우 이미 포치로 '저항선'을 넘어선 중국이 적극적인 위안화 평가절하(환율 상승)로 맞서리라는 전망에서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중국의 포치와 관련해 내놓은 지난 6일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신흥·개발도상국가들의 통화가 '런민비(위안화) 블록'에 포함됐다면서 "위안화 약세가 지속하면 이들 통화가치도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BoA메릴린치는 "중국이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충격 완화를 위해 위안화의 추가 약세를 원한다"며 올해 말까지 달러당 7.3위안까지 오를 것으로 봤고, 씨티도 같은 이유로 달러당 7.5위안을 예상했다.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에서 고착화해 상승 쪽으로 기울면 외국인투자자는 물론 국내 개인투자자들의 자금 유출로 이어지고, 이 때문에 환율이 더 오르는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김소영 교수는 "진짜 문제는 경기 악화와 환율 상승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라며 "경기 악화로 투자심리가 나빠져 환율이 오르고, 외국인들이 환차손 때문에 돈을 빼 가고, 자본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다시 환율이 오르는 상황"을 우려했다.
삼성선물 전승지 연구원은 "2017년 이후 자산가들을 중심으로 달러화 자산에 대한 선호가 확산하고 있는데, 최근 불안한 대내외 여건들이 이를 자극하는 것 같다.
채권뿐 아니라 국내 증시 부진에 따른 해외주식펀드나 직접투자가 증가세"라며 "이들 투자금은 기관과 달리 '환 오픈(헤지를 하지 않은 상태)'으로 거래돼 만만치 않은 환율 상승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