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극일, 경제정책 전환서 시작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침체국면서 불거진 한·일 갈등
수습돼도 공급체인 복원 힘들듯
경제체질 전면개선 기회 삼아야"
김원식 < 건국대 경제통상학과 교수 >
수습돼도 공급체인 복원 힘들듯
경제체질 전면개선 기회 삼아야"
김원식 < 건국대 경제통상학과 교수 >
![[시론] 극일, 경제정책 전환서 시작해야](https://img.hankyung.com/photo/201908/07.20285039.1.jpg)
한국 경제는 악화일로다. 소득주도성장 정책 탓에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1%대까지 떨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실업률은 지난 20년 사이 최고 수준이며, 실업자 수도 통계 작성 이래 최대일 정도로 심각하다. 일본이 한국을 견제할 목적으로 화이트리스트(수출절차 간소화 국가) 배제를 결정했을 때 한국의 이런 경제 사정을 고려하지 않았을 리 없다.
ADVERTISEMENT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한 상황에서 해당 소재나 부품을 국내 생산하거나 수입처 다변화로 대응하면 문제될 게 없다고 하지만, 경제 전체적으로 보면 그렇게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첫째, 한·일 경제전쟁이 끝난다고 해도 모든 것이 원상으로 돌아가지는 않을 것이다. 공급체인이 망가진 탓에 한국의 무역 상대는 다른 거래처를 찾을 수밖에 없다. 한·일 무역관계가 복원된다고 해도 공급체인은 원래대로 환원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한·일 갈등은 양자가 대승적으로 처리하고 장기적 신뢰관계를 유지하지 않는 한 되풀이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남아 있다.
둘째, 문재인 정부가 핵심 대선공약으로 내건 양극화 해소는 더욱 멀어지게 될 것이다. 소득주도 성장 정책으로 양극화가 더 심화된 것은 이미 통계로 입증되고 있다.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가장 먼저 피해를 입는 것은 취약한 대다수 중소기업일 것이다. ‘보이콧 재팬’은 상업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일본과 관련된 모든 일반 영세자영업자들에게는 엎친 데 덮친 격이다.
ADVERTISEMENT
넷째, 한·일 경제전쟁으로 양국이 다른 나라 거래처를 찾게 되면 한국을 턱밑까지 추격한 동남아국가들만 유리해질 것이다. 이들 국가는 반도체 등의 첨단산업 외에 한국이 만드는 것을 다 만들 수 있을 만큼 발전해 있다. 결국 한국은 대외거래에서 되돌릴 수 없는 고립무원의 상황에 놓일지도 모른다.
국민에게는 남북평화도 중요하지만 현실적인 ‘경제평화’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경제체질을 더욱 강하게 개선해 다른 나라가 경제전쟁을 일으킬 생각조차 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국민도 일본의 경제보복을 큰 피해 없이 극복할 수 있기를 원한다. 국민을 경제 전쟁터로 끌어들이는 ‘구호’만으로는 가능하지 않다. 상대가 넘볼 수 없는 강인한 경제체질을 구축하기 위한 민간중심의 자유주의적 ‘경제정책 대전환’이 절실한 시점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