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차관에 수은행장까지…은성수 후폭풍 관가·금융권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용범, 두자리에 동시 거론…최희남·유광열 등 수은 행장 후보군
은성수 수출입은행 행장이 차기 금융위원장으로 내정되면서 범금융권에 인사 후폭풍이 몰아치게 됐다.
특히 이번 후속 인사는 기획재정부 1차관 보직까지 연동될 수 있어 돌을 어떻게 놓는지에 따라 대규모 인사로 번질 소지가 있다.
13일 관가와 금융권에 따르면 기재부 1차관과 수출입은행장 보직이 현재 공석이다.
언뜻 보기에는 경제 관련 범 차관급 자리들로 보이지만 경제관료들 사이에서 두 보직은 주요 스코어링 포지션을 의미한다.
당장은 차관이거나 차관급에 상응하는 보직이지만 추후 장관급으로 올라설 수 있는 도약대로 보는 것이다.
기재1차관은 한국 경제정책 라인의 야전사령관 격이다.
경제부총리가 정무적 성격이 강한 만큼 기재부 내 주요 거시경제정책 보직을 거친 엘리트 공무원이 실력으로 가는 사실상 마지막 보직으로 분류된다.
기재1차관은 보직을 마치고 영전한 사례가 많다.
김석동·신제윤·임종룡 전 기재1차관은 금융위원장이 됐다.
전임 이호승 차관은 청와대 경제수석으로 이동했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나 국무조정실장, 주(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표부 대사로 올라선 사례도 있다.
수출입은행은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 중 하나지만 최종구 현 위원장과 은성수 후보자 등 2차례 연속 금융위원장을 배출한 요람이다.
업무 내용이 정책금융 본연의 모습에 가까운 데다 현장을 체험해볼 기회라는 점에서 경제·금융정책라인의 잠룡들이 거쳐 가는 코스다.
진동수 전 금융위원장도 수출입은행장을 거쳤다.
기재1차관과 수출입은행장은 이런 특수성 때문에 추후 장관급 보직을 노리는 전·현직 경제관료들의 격전장이다.
기재1차관 보직의 경우 지난 8·9 개각에서 함께 발표될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빠졌다.
당초 차영환 국무조정실 제2차장, 송인창 아시아개발은행(ADB) 이사 등의 이름의 거론됐으나 현 상황에서는 이들이 선임 가능성이 그리 크지 않다는 분석이 많다.
기재부 현직 1급 중에선 이승철 재정관리관과 김병규 세제실장이 고참이지만 거시경제정책 라인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기재부 경제정책라인 중 외청으로 나온 정무경 조달청장의 이름도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김용범 전 금융위 부위원장의 기용 가능성도 제기된 상태다.
대표적인 모피아 금융정책 라인으로 분류되는 김 전 부위원장은 지난해 초 가상화폐 대책, 9·13 주택시장 안정방안 중 금융대책 등을 수립하는 데 기여한 바 있다.
고시 기수를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호승 전 차관 32회·김 전 부위원장 30회)은 부담 요인이다.
김 전 부위원장은 차기 수은 행장으로도 유력하게 거론된다.
이번 금융위원장 인선에서도 숏리스트(최종 후보군 명단)까지 남아 있었던 만큼 중용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최희남 한국투자공사(KIC) 사장과 유광열 금감원 수석부원장, 이병래 예탁결제원 사장,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도 차기 수은 행장을 가시권에 두고 있다.
IBK기업은행장 역시 이들이 후보군이 되는 금융공기업이다.
김용범 전 부위원장이 기재1차관으로 입성한다면 수은 행장은 반대 급부로 기재부 출신에 돌아갈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경우 최희남 사장이나 현직 고참 1급 기재부 공무원들에 우선순위가 간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파주출판단지에서 진행한 디스플레이 업계 간담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1차관에 대한 검증 작업이 진행중"이라면서 "1차관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기에 최대한 조속히 보임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은성수 수출입은행 행장이 차기 금융위원장으로 내정되면서 범금융권에 인사 후폭풍이 몰아치게 됐다.
특히 이번 후속 인사는 기획재정부 1차관 보직까지 연동될 수 있어 돌을 어떻게 놓는지에 따라 대규모 인사로 번질 소지가 있다.
13일 관가와 금융권에 따르면 기재부 1차관과 수출입은행장 보직이 현재 공석이다.
언뜻 보기에는 경제 관련 범 차관급 자리들로 보이지만 경제관료들 사이에서 두 보직은 주요 스코어링 포지션을 의미한다.
당장은 차관이거나 차관급에 상응하는 보직이지만 추후 장관급으로 올라설 수 있는 도약대로 보는 것이다.
기재1차관은 한국 경제정책 라인의 야전사령관 격이다.
경제부총리가 정무적 성격이 강한 만큼 기재부 내 주요 거시경제정책 보직을 거친 엘리트 공무원이 실력으로 가는 사실상 마지막 보직으로 분류된다.
기재1차관은 보직을 마치고 영전한 사례가 많다.
김석동·신제윤·임종룡 전 기재1차관은 금융위원장이 됐다.
전임 이호승 차관은 청와대 경제수석으로 이동했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나 국무조정실장, 주(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표부 대사로 올라선 사례도 있다.
수출입은행은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 중 하나지만 최종구 현 위원장과 은성수 후보자 등 2차례 연속 금융위원장을 배출한 요람이다.
업무 내용이 정책금융 본연의 모습에 가까운 데다 현장을 체험해볼 기회라는 점에서 경제·금융정책라인의 잠룡들이 거쳐 가는 코스다.
진동수 전 금융위원장도 수출입은행장을 거쳤다.
기재1차관과 수출입은행장은 이런 특수성 때문에 추후 장관급 보직을 노리는 전·현직 경제관료들의 격전장이다.
기재1차관 보직의 경우 지난 8·9 개각에서 함께 발표될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빠졌다.
당초 차영환 국무조정실 제2차장, 송인창 아시아개발은행(ADB) 이사 등의 이름의 거론됐으나 현 상황에서는 이들이 선임 가능성이 그리 크지 않다는 분석이 많다.
기재부 현직 1급 중에선 이승철 재정관리관과 김병규 세제실장이 고참이지만 거시경제정책 라인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기재부 경제정책라인 중 외청으로 나온 정무경 조달청장의 이름도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김용범 전 금융위 부위원장의 기용 가능성도 제기된 상태다.
대표적인 모피아 금융정책 라인으로 분류되는 김 전 부위원장은 지난해 초 가상화폐 대책, 9·13 주택시장 안정방안 중 금융대책 등을 수립하는 데 기여한 바 있다.
고시 기수를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호승 전 차관 32회·김 전 부위원장 30회)은 부담 요인이다.
김 전 부위원장은 차기 수은 행장으로도 유력하게 거론된다.
이번 금융위원장 인선에서도 숏리스트(최종 후보군 명단)까지 남아 있었던 만큼 중용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최희남 한국투자공사(KIC) 사장과 유광열 금감원 수석부원장, 이병래 예탁결제원 사장,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도 차기 수은 행장을 가시권에 두고 있다.
IBK기업은행장 역시 이들이 후보군이 되는 금융공기업이다.
김용범 전 부위원장이 기재1차관으로 입성한다면 수은 행장은 반대 급부로 기재부 출신에 돌아갈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경우 최희남 사장이나 현직 고참 1급 기재부 공무원들에 우선순위가 간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파주출판단지에서 진행한 디스플레이 업계 간담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1차관에 대한 검증 작업이 진행중"이라면서 "1차관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기에 최대한 조속히 보임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