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집값 상승해도 가계소비는 오히려 줄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택가격 상승이 소비증대 유발' 기존 연구결과와 배치
자산가격 상승이 소비 증대를 유발하는 게 일반적인 경제 현상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주택가격 상승 시 소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은 경제연구원의 김기호 연구위원은 최근 발간한 '부(富)의 효과의 분위 추정'(BOK 경제연구) 논문에서 "주택가격지수로 본 실물자산이 소비에 음(-)의 부의 효과를 보여 기존 연구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경제학자들은 금융자산이나 실물자산의 가격이 오를 경우 일반적으로 소비도 함께 증가(양의 부의 효과)하는 경향이 있다고 본다.
특히 부동산 등 실물자산이 주식 등 금융자산보다 더 큰 양의 부의 효과를 발휘한다는 게 미국 등 해외 연구사례에서 나타난 결과다.
김 연구위원이 2003∼2018년 자료를 토대로 새로운 실증분석 방법을 사용해 각종 경제변수가 가계 최종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에서도 소득(가처분소득), 금융자산(주가지수)이 가계소비에 양의 부의 효과를 미친 것으로 파악했다.
이는 기존 연구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다.
그러나 주택매매지수로 살펴본 실물자산의 경우 가계소비와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집값이 오를수록 가계가 씀씀이를 오히려 줄이는 경향이 나타났다는 의미다.
김 연구위원은 이런 결과가 나온 배경에 대해 "주거 이전의 유인이 없거나 주택규모 확대를 원하는 주택 소유자는 주택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소비를 증가시킬 유인이 없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주택가격 변동이 가계 구매력의 불확실성을 높인 게 오히려 소비 감소를 유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도 분석했다.
한편 김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증가 역시 소비를 확대하는 양의 부의 효과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대출 용도를 구분하지 않고 분석한 결과여서 가계대출의 용도별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고 김 연구위원은 부연했다.
/연합뉴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은 경제연구원의 김기호 연구위원은 최근 발간한 '부(富)의 효과의 분위 추정'(BOK 경제연구) 논문에서 "주택가격지수로 본 실물자산이 소비에 음(-)의 부의 효과를 보여 기존 연구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경제학자들은 금융자산이나 실물자산의 가격이 오를 경우 일반적으로 소비도 함께 증가(양의 부의 효과)하는 경향이 있다고 본다.
특히 부동산 등 실물자산이 주식 등 금융자산보다 더 큰 양의 부의 효과를 발휘한다는 게 미국 등 해외 연구사례에서 나타난 결과다.
김 연구위원이 2003∼2018년 자료를 토대로 새로운 실증분석 방법을 사용해 각종 경제변수가 가계 최종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에서도 소득(가처분소득), 금융자산(주가지수)이 가계소비에 양의 부의 효과를 미친 것으로 파악했다.
이는 기존 연구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다.
그러나 주택매매지수로 살펴본 실물자산의 경우 가계소비와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집값이 오를수록 가계가 씀씀이를 오히려 줄이는 경향이 나타났다는 의미다.
김 연구위원은 이런 결과가 나온 배경에 대해 "주거 이전의 유인이 없거나 주택규모 확대를 원하는 주택 소유자는 주택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소비를 증가시킬 유인이 없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주택가격 변동이 가계 구매력의 불확실성을 높인 게 오히려 소비 감소를 유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도 분석했다.
한편 김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증가 역시 소비를 확대하는 양의 부의 효과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대출 용도를 구분하지 않고 분석한 결과여서 가계대출의 용도별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고 김 연구위원은 부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