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강제징용 언급 않고
"동아시아 번영 함께 이끌자"
나루히토 日王 "과거 반성"
문 대통령은 이날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74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일본이 이웃나라에 불행을 준 과거를 성찰하는 가운데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이끌어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일 관계가 사상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광복절 경축사에 대한 국내외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았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강제징용’ 등의 표현을 일절 삼간 채 일본에 미래지향적 역할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자유무역의 질서 속에 분업을 통해 성장한 나라가 뒤따라 성장하는 나라의 사다리를 걷어차서는 안 된다”며 일본의 경제보복을 우회적으로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평창에서 평화의 한반도를 봤듯이 도쿄올림픽에서 우호와 협력의 희망을 갖기를 바란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과거사와 최근의 경제갈등에 대한 절제된 표현을 통해 미래지향적 관계를 만들어가자는 메시지를 일본에 보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같은 유화적 대일 메시지와 별개로 문 대통령은 ‘아무도 흔들 수 없는 새로운 한반도’의 비전도 내놨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충분히 강하지 않고 여전히 분단돼 있기 때문에 아직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며 ‘책임 있는 경제강국’ ‘동아시아의 교량국가’ ‘평화경제’ 등 3대 목표를 제시했다.
한편 나루히토 일왕은 이날 도쿄 부도칸에서 열린 ‘전국 전몰자 추도식’에서 “과거를 돌아보며 깊은 반성 속에서 또다시 전쟁의 참화가 반복되지 않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文 "도쿄올림픽은 우호·협력 기회"…강제징용·日보복 언급은 없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일본의 경제보복을 ‘사다리 걷어차기’라고 지적하면서도 적극적인 대화 의지를 밝혔다. 무엇보다 연설문에 일본을 직접적으로 자극할 만한 ‘강제징용’ 등의 표현을 절제하면서 동아시아 번영을 위한 일본의 역할을 강조했다.
청와대는 “위안부, 강제징용 문제는 지금까지 충분히 메시지를 냈기 때문에 경축사에는 반영하지 않았다”고 했지만 일본을 불필요하게 자극하지 않겠다는 정치적 함의를 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광복절 경축사를 계기로 한·일 양국 정부가 물밑에서 본격적으로 해법 모색에 나설지 관심이 쏠린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전날 지난 7월 경제보복 이후 처음으로 공식석상에서 “한·일 간 민간교류는 이어져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점도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국제 분업체계 속에서 어느 나라든 자국이 우위에 있는 부분을 무기화한다면 평화로운 자유무역질서가 깨질 수밖에 없다”며 “먼저 성장한 나라가 뒤따라 성장하는 나라의 사다리를 걷어차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 경제도 자유무역 질서 속에서 분업을 이루며 발전해왔다”며 일본의 경제보복이 지닌 ‘자기모순적’ 속성을 지적했다.
하지만 일본의 경제보복에 대해 ‘명백한 무역보복’ ‘이기적 민폐행위’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던 것과 달리 이날 연설은 한·일 관계의 과거보다 미래에 방점을 뒀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문 대통령은 특히 “일본과 안보 경제협력을 지속해왔으며, 일본과 함께 일제강점기 피해자들의 고통을 실질적으로 치유하고자 했고, 역사를 거울삼아 굳건히 손잡자는 입장을 견지해왔다”고 평가했다. 이전까지 한·일 양국 정부의 과거사 치유 노력을 나름대로 인정하면서 아베 정부의 태도 변화를 우회적으로 촉구한 것이다. 이원덕 국민대 일본학과 교수는 “언어 자체를 순화하고 보편적 개념을 인용하는 등 대일 메시지에서는 국면 전환을 위한 고민이 느껴진다”며 “‘일본과 함께’란 표현은 과거사 문제 해결을 위한 일본의 노력에 대한 평가, 안보협력에는 GSOMIA(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이날 도쿄 올림픽을 동아시아 우호·협력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한 대목도 주목할 부분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평창 올림픽에 이어 내년 도쿄 하계올림픽,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등 사상 최초로 동아시아에서 릴레이로 열리는 올림픽은 공동 번영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어 “평창에서 ‘평화의 한반도’를 보았듯이 도쿄 올림픽에서 우호와 협력의 희망을 갖게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아베 정부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도쿄 올림픽의 성공 기원을 통해 한·일 관계 회복의 진정성을 보여준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최근 한국 정부가 올림픽 경기가 열리는 후쿠시마 지역의 방사능 오염수 방출과 관련해 단호한 대처 입장을 천명한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양국 갈등이 올림픽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역으로 시사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는 “정제된 표현을 쓰면서 동아시아 분업체계와 일본의 역할 등 미래지향적 메시지를 낸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김형호/임락근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