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경제 수출, 투자 부진 흐름 지속"...기재부 분석
최근 우리 경제는 생산이 완만하게 증가했으나 수출과 투자의 부진한 흐름이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획재정부는 16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8월호에서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경제에 대해 "대외적으로 제조업 경기 등 세계 경제 성장세 둔화와 반도체 업황 부진이 지속하는 가운데 최근 일본 정부 수출규제 조치와 함께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7월 수출은 반도체 업황 부진이 지속하는 가운데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11.0% 줄면서 2018년 12월부터 8개월 연속 감소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6월 경기동행지수는 전달보다 0.1포인트 하락했고 전망을 보여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2포인트 내렸다.

7월 소비 관련 속보지표를 보면 국산 승용차 내수판매량은 1년 전보다 3.7% 감소했고 백화점과 할인점 매출액도 각각 전달보다 3.4%, 10.7% 줄었다.

이에 반해 온라인 매출액(1.7%)과 카드 국내승인액(3.8%)은 늘었고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도 26.9% 증가했다.

7월 고용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1년 전보다 29만 9천 명 증가했고 실업률은 3.9%로 1년 전보다 0.2%p 상승했다.

국내 금융시장은 이달 들어 주가는 하락하고 환율은 원화 약세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일본 수출규제 대응 등 위험 관리에 만전을 기하면서 추가 경정예산 등 재정 집행을 가속화하고 가용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 수출·투자·소비 활성화 등 경제활력 제고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얼마 전 `KDI 경제동향 8월호`를 통해 다섯달 연속으로 "경기가 부진하다"고 평가한 바 있다.

박준식기자 parkjs@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