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S는 '제2의 키코사태'…파생상품 구제특위 발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키코 피해기업 기자간담회
“키코(KIKO)와 금리연계형 파생결합증권(DLS)은 본질적으로 같은 구조의 상품입니다. 차이점은 기업에서 개인으로 피해자가 바뀌었다는 것뿐입니다.”
10여 년 전 고위험 파생금융상품인 키코에 가입했다가 손실을 입은 중소기업들이 DLS 사태를 ‘키코 사건의 재판(再版)’으로 규정하고, DLS 피해자들과 연대해 은행의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키코 피해기업 모임인 키코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19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대위가 주도하는 ‘파생상품 피해구제 특별대책위원회’를 발족해 DLS 사태 해결을 함께 도모하겠다”며 “DLS 피해자에게 우리가 축적한 전문가풀을 제공해 민·형사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키코는 환율이 일정 범위에서 움직이면 미리 정한 환율로 외화를 팔 수 있지만, 범위를 벗어나면 큰 손실을 보는 구조의 파생상품이다. 2007년께 국내 은행들이 환율 급변동 위험을 줄여주는 상품임을 내세워 수출 중소기업에 많이 팔았다. 이듬해 미국발(發) 금융위기로 환율이 급등하면서 관련 기업이 줄도산하는 등 경제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공대위 측은 “DLS 사태는 은행들의 이익 우선주의와 금융당국의 허술한 감시·규제가 원인”이라며 “키코 사건 관련자를 일벌백계하지 않아 같은 사건이 또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조붕구 공대위 위원장은 “은행들이 팔을 걷어붙이고 판매한 키코는 기업을 파괴했고, DLS는 가정을 파괴하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금융감독원은 이달 분쟁조정위원회를 열어 키코의 불완전판매 여부를 결론 지을 예정이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10여 년 전 고위험 파생금융상품인 키코에 가입했다가 손실을 입은 중소기업들이 DLS 사태를 ‘키코 사건의 재판(再版)’으로 규정하고, DLS 피해자들과 연대해 은행의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키코 피해기업 모임인 키코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19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대위가 주도하는 ‘파생상품 피해구제 특별대책위원회’를 발족해 DLS 사태 해결을 함께 도모하겠다”며 “DLS 피해자에게 우리가 축적한 전문가풀을 제공해 민·형사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키코는 환율이 일정 범위에서 움직이면 미리 정한 환율로 외화를 팔 수 있지만, 범위를 벗어나면 큰 손실을 보는 구조의 파생상품이다. 2007년께 국내 은행들이 환율 급변동 위험을 줄여주는 상품임을 내세워 수출 중소기업에 많이 팔았다. 이듬해 미국발(發) 금융위기로 환율이 급등하면서 관련 기업이 줄도산하는 등 경제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공대위 측은 “DLS 사태는 은행들의 이익 우선주의와 금융당국의 허술한 감시·규제가 원인”이라며 “키코 사건 관련자를 일벌백계하지 않아 같은 사건이 또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조붕구 공대위 위원장은 “은행들이 팔을 걷어붙이고 판매한 키코는 기업을 파괴했고, DLS는 가정을 파괴하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금융감독원은 이달 분쟁조정위원회를 열어 키코의 불완전판매 여부를 결론 지을 예정이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