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 모집인원 87% 학생부 전형…'수능 최저학력' 폐지에 대비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달 6일부터 원서 접수
모집 인원 작년보다 더 늘어 26만8776명
특성화고 졸업자 등 '고른기회전형' 증가세
학생부 서류 간소화 … 면접서 변별력 둬야
모집 인원 작년보다 더 늘어 26만8776명
특성화고 졸업자 등 '고른기회전형' 증가세
학생부 서류 간소화 … 면접서 변별력 둬야

학생부 위주 전형 강세 여전

고른기회전형 모집 인원과 선발 비율은 늘어나고 있다. 2018학년도 4만306명(11.6%)에서 2019학년도 4만3371명(12.4%), 2020학년도 4만6327명(13.3%)으로 증가세다. 고른기회전형은 특성화고 졸업자,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 국가보훈대상자, 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지원 대상자, 장애인 등을 위한 전형이다. 해당 지원 자격을 충족하는 수험생은 적극적으로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수능최저학력기준 변화 많아

수시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 유무는 실질 경쟁률과 직결된다. 상위권 대학 논술전형은 평균적으로 전체 지원자의 절반 이상이 수능최저학력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해 실질 경쟁률은 표면적인 경쟁률의 30~40%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이 폐지되면 지원자 모두가 동일 선상에서 경쟁하게 돼 경쟁률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전형 분석해 최적의 조합 찾아야”
전문가들은 자신이 강점을 가진 전형 요소를 분석해 최적의 조합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수시 지원은 학생부 성적, 서류나 면접 등 비교과 영역 준비와 함께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 여부, 정시에서 수능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원권 등의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수험생은 최대 여섯 곳의 대학 수시모집에 지원할 수 있다.
신설학과를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것도 합격률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다. 올해부터 새로 신입생을 모집하는 학과는 전년도 입시 결과가 없어 수험생이 상대적으로 지원을 부담스러워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가천대는 올해 인문계열에서 심리학과와 자연계열 AI소프트웨어학부의 인공지능전공을 신설했다. 가톨릭대는 자연계열에서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를, 경희대는 국제캠퍼스에 글로벌한국학과를 새롭게 만들었다. 비인기 학과를 공략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수시 지원을 할 때에는 정시 지원 기회가 남아 있기 때문에 소신 지원하는 수험생이 많아 주요 대학 및 특정 인기학과로 지원 쏠림 현상이 나타난다. 꼭 가고 싶은 대학이 있다면 인기학과보다 비인기학과에 지원하는 게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